Page 287 - ele_science_5-1_tutor
P. 287
• 광학 현미경을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실험용 장갑과 - 글로 그림의 내용을 보충해서 기록합니다.
실험복을 착용하게 한다.
➌ 광학 현미경 사용법 익히기
전자 저작물 이용
광학 현미경 사용법 익히기
멀티미디어 자료 개념 영상, 실험 영상
학습 지도안, 수업 PPT, ‣ 구성 의도 광학 현미경 각 부분의 이름과 하는 일을 알
교수 · 학습 자료실 다른 탐구 활동지, 형성 평가, 단원 평가, 고, 광학 현미경 사용법을 익혀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하
수행 평가, 서술형 평가 였다.
‣ 탐구 목표 광학 현미경 사용법을 익혀 순서에 맞게 사용
할 수 있다.
수업 흐름 ‣ 탐구 유의 사항 학교마다 가지고 있는 광학 현미경의 종
해캄과 짚신벌레의 특징은
2 무엇일까요 류가 다르므로 미리 사용법을 익힌다.
탐색
어떻게 할까요
➊ 물속에 사는 생물 알아보기 다양한 생물이
모였군.
• 연못이나 하천에 사는 생물에는 1 광학 현미경 각 부분의 이름과 하는 일을 알아봅시다.
물속에는 붕어와 같은 동물, 검정말과 같은
무엇이 있을까요?
식물뿐만 아니라 해캄과 짚신벌레 등도 삽니다. 접안렌즈 회전판 5
해캄과 짚신벌레 같은 생물은 광학 현미경으로 눈으로 보는 대물렌즈의 배율을 단원
- 붕어, 송사리 등이 있습니다. 렌즈이며, 상을 조절하는 나사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광학 현미경을 살펴 확대해 주는 렌즈 조동 나사
- 검정말과 물수세미가 있습니다. 관찰 대상이 보이도록
보고 사용법을 익혀 봅시다. 대물렌즈 초점을 맞출 때
사용하는 나사
- 메기와 다슬기가 있습니다. 관찰 대상 쪽 렌즈
관 찰, 의사소통 • 물속에는 또 어떤 생물이 있을까요? 이며, 상을 확대해 클립 미동 나사
주는 렌즈
『실험 관찰』 46 쪽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재물대
관찰 대상이 정확히
동물과 식물이 아닌 생물이 살 것 같습니다.
-
광학 현미경 사용법 익히기 관찰 대상을 보이도록 초점을
올려놓는 곳
맞출 때 사용하는
나사
- 맨눈으로 볼 수 없지만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
안전 준비물 광학 현미경, 표본, 실험용 장갑, 실험복 조리개
• 광학 현미경을 사용할 때에 는 작은 생물이 있을 것 같습니다. 빛의 양을 조명 조명 조절 나사
는 실험용 장갑과 실험복을 어떻게 할까요 조절하는 장치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나사
착용해요. 수업 도우미 수업 도입을 위한 또 다른 방법
• 표본이 깨지지 않게 주의해요. 1 광학 현미경 각 부분의 이름과 하는 일을 알아봅시다.
• 광학 현미경을 떨어뜨리지 연못이나 하천에는 동물과 식물 이외에 해캄, 짚신벌레와 같은 생 ▲ 광학 현미경
않게 주의해요. 물도 있음을 안내한다. 다양한 원생생물의 사진이나 영상 자료 등
• 현미경 렌즈를 손으로 만지지 접안렌즈 회전판 안전 도우미 광학 현미경은 실험대 안쪽으로 놓아 떨어지지 않
않아요. 을 제시함으로써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게 하고 이후 관찰 활동에
눈으로 보는
대물렌즈의 배율을
• 대물렌즈가 표본에 닿지 않게 렌즈이며, 상을 조절하는 나사 조동 나사 게 한다.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주의해요. 확대해 주는 렌즈
관찰 대상이 보이도록 수업 도우미 광학 현미경의 구조 지도 방법
초점을 맞출 때
대물렌즈 사용하는 나사 광학 현미경 각 부분의 이름과 하는 일을 암기하게 하거나 지식을
➋ 해캄과 짚신벌레 관찰 준비하기
관찰 대상 쪽 요구하는 평가는 지양한다. 광학 현미경 사용법 익히기는 해캄과
렌즈이며, 상을 클립
• 해캄과 짚신벌레를 관찰할 때 무엇이 필요할까요?
확대해 주는 렌즈 미동 나사 짚신벌레를 관찰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학생들이 각 부분의 이름
재물대
관찰 대상이 정확히
관찰 대상을
- 돋보기가 필요합니다. 보이도록 초점을 과 하는 일을 암기해야 한다는 학습 부담을 느끼지 않게 한다.
올려놓는 곳
맞출 때 사용하는
나사
- 돋보기보다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이 2 광학 현미경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실험 관찰
조리개
필요합니다. 조명 조절 나사
빛의 양을 조명 ① ② ③
조절하는 장치 조명의 밝기를
수업 도우미 관찰 도구로 현미경을 생각하게 하는 방법
조절하는 나사
학생들이 맨눈과 돋보기만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특징에 흥미와
102
호기심을 가지게 한다. 관찰 대상을 더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현
미경을 떠올리게 하고, 이를 통해 과학 탐구 능력을 기르게 한다.
④ ⑤ ⑥
초등과학5-1_⑤단원(95~118)OK.indd 102 2022-04-20 오후 5:53:35
• 해캄과 짚신벌레를 관찰한 내용은 어떻게 기록할 수
있을까요?
- 관찰한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냅니다.
5.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