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1 - ele_science_5-2_tutor
P. 181

형성   평가                                           예시 답안

                 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자연 현상을 써 봅시다.


                      밤에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
                     가 응결해 지표면 근처에 떠 있는 것이다.
                                                                         삿갓구름                    비늘구름
                                                (    안개     )
                    풀이  안개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면 근처에서 응결해 만들어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진다.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구름의 이름과 그렇게 이름 붙인
                                                                                                                   3
                                                                      까닭을 친구들에게 설명하게 한다.
                 2  이슬, 안개, 구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봅시다.                                                                 단원
                                                                    •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구름
                   ⑴ 공통점:    예시 답안  수증기가 응결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의 모양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각 구름을 볼 수 있
                                                                      는 장소나 날씨 등을 탐색하게 한다.
                   ⑵ 차이점:    예시 답안  만들어지는 곳이 다르다.
                    풀이  이슬, 안개, 구름은 차가운 물체의 표면, 지표면 근처, 하늘
                   높은 곳과 같이 서로 다른 곳에서 만들어지지만 모두 수증기가 응
                   결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참고  자료

                                채점 기준                 배점(%)       구름의 종류와 이름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100          세계기상기구(WMO)에서는 구름을 모양과 고도에
                    공통점과 차이점 중 한 가지만 옳게 설명한                       따라 크게 10`가지로 분류한다. 권운, 권적운, 권층운,
                                                        50
                    경우                                            고적운, 고층운, 층운, 난층운, 층적운, 적운, 적란운으
                                                                  로 구름을 분류하는데, 이 구름들은 구름의 모양에 따
                                                                  라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권운은 새의 깃털 모
                                                                  양을 닮아 새털구름, 고적운은 양 떼가 모여 있는 모양
                                                                  을 닮아 양떼구름이라고 한다. 또, 고적운, 권적운, 층
                                                                  적운 중 렌즈 또는 비행선 단면 모양을 닮은 구름을 렌
                   ‣  활용 방법
                                                                  즈구름이라고 한다.
                   다양한 모양의 구름과 모양에 따라 붙인 구름의 이름
                   을 알아보고, 구름의 이름을 붙여 보며 구름에 대해 흥                           고도               구분      기본 유형
                   미와 호기심을 가질 수 있게 한다.                                                                 권운

                                                                        6`km ̄13`km          상층운       권적운
                                                                                                      권층운
                                                                                                      고적운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2`km ̄6`km           중층운
                                                                                                      고층운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의 모양을 보고 구름의 이름을 만
                                                                                                       층운
                 들어 봅시다.
                                                                          2`km 이하           하층운       층적운
                 지도 방향  다양한 구름의 사진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거나, 운동장
                                                                                                      난층운
                 에 나가서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의 모양을 관찰해 비슷한 모양을 떠
                                                                                                       적운
                 올려 보게 한다. 스마트 기기로 다양한 모양의 구름 사진을 찾고, 그               여러 고도에 걸쳐 발달          수직운
                 위에 비슷한 모양의 사물이나 동물을 그려 보게 하는 활동도 할 수                                                 적란운
                 있다.                                                         ▲ 모양과 고도에 따른 구름의 분류


                                                                                        3. 날씨와 우리 생활    179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