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3 - ele_science_6-1_tutor
P. 243
➋ 씨가 퍼지는 다양한 방법 알아보기 형성 평가
• 열매는 씨를 퍼뜨리는 역할을 합니다. 식물이 씨를
1 다음 중 오른쪽의 민들레가 씨를
퍼뜨리고 나면 어떻게 될까요?
퍼뜨리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 씨는 새로운 장소에서 싹을 틔우고 자라 자손을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남겨 생명을 이어 나갑니다.
( ① )
• 씨가 퍼지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요?
① 바람에 날려서 씨가 퍼진다. ▲ 서양민들레
- 열매 끝이 갈고리 모양이어서 동물의 털이나 사람
② 동물의 털에 붙어서 씨가 퍼진다.
의 옷에 붙어서 씨가 퍼집니다. 도꼬마리, 도깨
③ 열매가 경사면을 굴러서 씨가 퍼진다.
비바늘, 가막사리, 우엉 등
④ 열매껍질이 터지면서 씨가 튕겨 나가 퍼진다.
- 열매에 날개가 있어서 돌면서 멀리 날아가 씨가
⑤ 동물에게 먹힌 뒤 배설물을 통해 씨가 퍼진다.
퍼집니다. 단풍나무, 가죽나무 등
풀이 민들레는 가벼운 솜털이 있어 바람에 날려 씨가 퍼진다.
- 열매껍질이 터지면서 씨가 튕겨 나가 퍼집니다.
봉선화, 제비꽃, 괭이밥, 콩 등 2 다음의 산수유와 머루가 씨를 퍼뜨리는 공통적인 방 4
- 열매가 동물에게 먹힌 뒤 동물의 배설물을 통해 법을 설명해 봅시다. 단원
씨가 퍼집니다. 산수유, 벚나무, 머루, 다래, 담
쟁이덩굴 등
- 가벼운 솜털이 있어 바람에 날려서 씨가 퍼집니
다. 민들레, 박주가리, 버드나무 등
- 열매가 두꺼운 껍질로 싸여 있고 물에 오랫동안
▲ 산수유 ▲ 머루
떠 있을 수 있어서 물에 떠서 멀리 이동하여 씨가
예시 답안 열매가 동물에게 먹힌 뒤 배설물을 통해 씨가 퍼진다.
퍼집니다. 연꽃, 수련, 코코야자 등
풀이 산수유, 머루는 열매가 동물에게 먹힌 뒤에 배설물과 함께
- 열매가 둥글고 단단하여 경사면을 굴러서 씨가 퍼
씨가 나와서 퍼진다.
집니다. 밤나무, 호두나무 등
평가 기준
두 식물이 씨를 퍼뜨리는 공통적인 방법을 옳게 설
탐색 결과 정리 상
명했다.
확인 해요 두 식물의 씨가 퍼지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
중
급하지 않고 동물을 통해 퍼진다는 것만 설명했다.
1 식물은 ( 씨 )을/를 퍼뜨려서 자손을 남겨 생명을
하 식물이 씨를 퍼뜨리는 까닭을 설명했다.
이어 나갑니다.
2 의사소통 능력 열매나 씨의 생김새와 씨가 퍼지는 방
법은 어떤 관련이 있을지 이야기해 봅시다. 참고 자료
지도 방향 식물이 씨를 퍼뜨리기 위해 어떤 방법을 이용하는지
식물이 씨를 퍼뜨리는 까닭
생각해 보게 한다.
식물은 동물과 달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 씨가 어미
예시 답안 열매나 씨의 생김새는 씨가 퍼지는 방법에 따라 씨를
식물 아래에 있으면 어미 식물의 그늘에 가려 햇빛을 받기
멀리 퍼뜨리기에 유리한 구조로 생겼다.
어렵고, 어미 식물의 뿌리는 새로운 씨가 뿌리를 내리기 어
풀이 식물의 열매나 씨의 생김새는 씨를 멀리 퍼뜨리기에 유리
렵게 한다. 한정된 땅에서 어미 식물과 경쟁해야 한다. 그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꼬마리는 열매 끝이 갈고리 모양이어서
래서 될 수 있는 대로 어미 식물로부터 씨를 멀리 퍼뜨려
다른 동물의 털이나 사람의 옷에 붙기에 좋고 단풍나무는 열매에
날개가 있어 돌면서 멀리 날아가기에 좋다. 또, 봉선화는 탄력이 새로운 곳에서 살아갈 영역을 만들고 다시 씨를 만들어 멀
있는 열매껍질이 터지면서 씨가 튕겨 나갈 수 있고, 민들레는 가 리 퍼뜨린다. 이렇게 하여 씨를 넓은 지역으로 퍼뜨려 자손
벼운 솜털이 있어 바람에 잘 날릴 수 있다. 이 생존하고, 종족이 유지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4. 식물의 구조와 기능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