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9 - ele_science_6-2_tutor
P. 359

⑶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 자료를 표나 그래프와 같이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하거나, 이를 분석해 자료를 설명하는 능력

                 ⑷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수학과 컴퓨터를 사용해 변인 간의 관계를 표현하고, 나아가
                   이를 이용해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
                 ⑸   모형의 개발과 사용: 탐구 대상의 특징을 명확히 나타내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현상을 이해하거나 설명하는 능력
                 ⑹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증거를 들어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고, 자신과 타인의 주장
                   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기능 및 비판적인 태도로 주장이나 지식을 파악해 토론할 수 있

                   는 능력
                 ⑺   결론 도출 및 평가: 증거를 들어 원리를 설명하거나 과학적 이론을 적용해 특정 관측 및
                   현상을 설명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⑻   의사소통: 각종 문헌 자료를 수집해 읽고 이해하여 언어를 통해 소통하는 능력으로, 주변
                   의 다양한 정보를 조사해 이를 바탕으로 교류하는 기능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위의 여덟 가지 ‘기능’은 교육과정 문서 내에서는

                 구체적인 정의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기존의 사파(SAPA) 방식의 구분인 ‘기초 탐구 과정 기
                 능’, ‘통합 탐구 과정 기능’과 혼란이 있고 그 차별점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
                 고 있다(권문호 외, 2020).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기능’은 ‘성취 기준’의 기대 수행 능력이며
                 성취 기준은 ‘교과를 통해 배워야 할 내용’인 ‘내용 요소’와 ‘수업 후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
                 를 기대하는 능력’인 ‘기능’이 결합한 형태를 의미한다(교육부, 2015). 따라서 위의 ‘기능’은

                 과학과의 성취 기준을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사파(SAPA)에 기초한 탐구 과정 기능이나 NGSS의 과학적 실천에 기초한 기능은 앞으
                 로 과학 교육 연구를 통해 좀 더 명료하게 정의되고 체계화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학 교육
                 에서는 내용 지식이나 원리의 학습뿐만 아니라 그것을 생성하는 과정으로써 탐구 활동이 중
                 요하고 그러한 탐구 활동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다만 앞서 언
                 급한 바와 같이 탐구 과정 기능은 한 상황에서 학습한 것이 다른 상황에 일반화되어 전이되

                 는 독립된 능력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탐구 과정 기능은 내용 특이적이고 서로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과학적 아이디어나 개념과 탐구 과정 기능을 발
                 달시키려는 교육적 시도는 환원적, 개별적 관점보다는 총체적, 유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2. 과학 탐구 과정    357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