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4 - ele_society_5-1_tutor
P. 154
비무장 지대 줍깅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유행과 이색적
비무장 지대(DMZ, Demilitarized Zone)는 조약이나 인 경험을 추구하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소셜 네트워크
협정에 의하여 무장이 금지된 완충 지대로 군대 주둔과 서비스(SNS)를 타고 빠르게 퍼지고 있다.
무기 배치, 군사 시설 설치가 금지되는 지역이다. 우리 - 『국민일보』, 2021. 9. 15. -
나라의 비무장 지대는 6·25 전쟁 이후 정전 협정(1953
년)을 통해 동해안의 고성에서 서해안의 강화도까지 군 5 차시
사 분계선을 정하고, 이 군사 분계선으로부터 남쪽과 북
지역의 구분
쪽으로 각각 2 km, 총 4 km 구역을 비무장 지대로 설정
지역이란 지리적 특성이 다른 곳과 구별되는 지표상
하였다.
의 공간 범위를 뜻한다. 지역은 지형, 기후와 같은 자연
현재 군사 분계선의 길이는 약 239.4 km이고, 군사 분
환경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산업, 종교, 언어와 같은 인
계선을 중심으로 각 2 km 이격된 경계선 내에 포함된 비
문환경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지역 구분에 있어 가장 일
2
무장 지대의 면적은 889.7 km 이다.
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동질 지역과 기능 지역으로
북방 한계선
황해 DMZ 북방 한계선 구분하는 것이다.
2 km (NLL)
2 km 군사 분계선 DMZ 동해 동질 지역은 특정한 지리적 현상이 동일하게 나타나
남방 한계선
는 공간 범위를 말하는데, 농업 지역, 기후 지역, 문화권
황해도
백령도 등이 이에 해당한다. 동질 지역의 사례로 농업 지역을 벼
대청도 북방 한계선 임진강
소청도 (NLL) 경기도 강원도 농사 지역과 밭농사 지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
대연평도 우도 말도 서울특별시
0 50 km 인천광역시 비무장 지대 후 지역을 열대·온대·냉대 기후 지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 지역은 중심지와 그 기능이 미치는 배후지가
-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리지 비무장 지대』, 2021, 10~17쪽 -
기능적으로 결합한 공간 범위를 말하는데 상권, 통학권,
통근권, 도시 세력권 등이 이에 해당한다. 기능 지역은
비무장 지대(DMZ) 평화의 길
중심에서 기능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주변으로 갈
우리 정부는 비무장 지대에 평화를 공고히 정착시키 수록 기능의 영향이 점차 줄어든다.
고, 주변 지역의 번영·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DMZ 평
화의 길’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DMZ 평화의 길’ 체험 방언(사투리)에 의한 지역 구분
은 2018년 9월 19일 남북 군사 합의에 따라 감시 초소
방언은 지역 구분의 중요 0 100 km
철거, 유해 발굴 등 긴장 완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 지표가 되고 있다. 한국
3개 지역(경기도 파주시, 강원도 철원군, 강원도 고성 동북
어 방언은 다양한 구분 방법 방언
군)에서 할 수 있다. 서북
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서 방언
- 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국가 지도집Ⅰ』, 2019, 31쪽 -
북, 동북, 중부, 서남, 동남, 동해
울릉도
제주 방언의 여섯 계열로 나 중부
방언
국토를 보호하는 실천 방법, 줍깅 뉜다. 방언의 사용 지역을 독도
황해
동남
국토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줍깅이라는 개념이 엄밀히 구분하는 것은 쉽지 방언
서남
등장하고 있다. 줍깅은 우리말 ‘줍다’와 ‘달리다’라는 뜻 않은 일이지만, 대체로 도 방언
의 영어의 ‘조깅(Jogging)’을 합친 단어이다. 줍깅은 걷거 단위의 행정 구역을 기준으 남해
이어도종합 제주
해양과학기지 방언
나 뛰면서 주변의 쓰레기를 줍는 환경 보호 운동으로 스 로 방언 구획을 이해하는 경 [출처: 대한민국 국가 지도집 I, 2019]
웨덴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평소 운동을 하는 것에 장 향이 있다. 서북 방언은 평안남도와 평안북도를 중심으
갑이나 집게만 있으면 가능하다. 로 하며, 동북 방언은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중심으로
152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