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5 - ele_society_5-1_tutor
P. 155
한다. 중부 방언은 수도권과 충청권, 강원 영서 지방과 선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적인 지역 구분과 유사 1
황해도를 중심으로 하고, 서남 방언은 전라권을 중심으 하다. 전통적인 지역 구분에서 관서 지방은 조선 시대 행
단원
로 한다. 동남 방언은 경상권과 강원 영동 지방을 중심 정 구역 기준으로 평안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며, 관
으로 하고, 제주 방언은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다. 북 지방은 함경도, 관동 지방은 강원도를 중심으로 하는
- 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국가 지도집 Ⅰ』, 2019, 45쪽 - 지역이다. 해서 지방은 황해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
며, 경기 지방은 한양을 포함한 경기도를 뜻하였다. 호
철령 서 지방은 충청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고, 호남 지방
오늘날 북한 지역의 강원도 회양군과 고산군 사이에 은 제주도를 포함한 전라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다.
있는 약 685 m 높이의 고개이다. 예로부터 중부 지방과 영남 지방은 경상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다.
북부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군사상 중요한 곳으로 일찍 - 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국가 지도집Ⅰ』, 2019, 45쪽 -
부터 관(적을 방어하거나 그곳을 드나드는 사람과 화물
등을 조사하는 곳)이 세워졌다. 북한의 행정 구역
1945년 광복 당시 북한 지역의 행정 구역은 강원도 일
6 7 차시 부, 황해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의
~
6개 도와 9개 시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후 몇 차례의 행
행정 구역 정 구역 개편을 통해 현재 북한의 행정 구역은 1개의 직
우리나라 행정 구역 체계는 「지방 자치법」에 따르면 광 할시(평양직할시), 3개의 특별시(나선특별시, 남포특별
역 자치 단체로는 특별시·특별자치시·광역시·도·특별 시, 개성특별시), 9개의 도로 구성되어 있다.
자치도가 있고, 기초 자치 단체로는 시·군·구가 있다. 0 100 km
직할시₩특별시₩도청 소재지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특별자치도는 정부의 직 시청 소재지 회령
나선
직할시₩특별시₩도계 나선특별시
할로 두고, 시는 도의 관할 구역 안에, 군은 광역시·특별 시₩군계 함경북도
청진
자치시·도의 관할 구역 안에 두며, 자치구는 특별시와
혜산
혜산
광역시·특별자치시의 관할 구역 안에 둔다. 만포 강계 양강도
강계
자강도 김책(성진)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가 아닌 인구 50만 이상의
단천
시에는 자치구가 아닌 구를 둘 수 있고, 군에는 읍·면을 신의주 평안북도 희천 함경남도 신포
구성 개천 함흥
덕천
두며, 시와 구(자치구를 포함한다)에는 동을, 읍·면에는 정주 안주 평안남도
순천 동 해
리를 둔다. 평성 문천
평양직할시 원산
<2020년 5월 기준 행정 구역 현황> 남포특별시 평양 강원도
송림
송림
남포
남포
황해북도
사리원
사리원
특별시 1 구 69 (자치구가 아닌 구 32) 황해남도
해주 개성특별시
해주
광역시 6 (특별자치시 1) 읍 230 개성
▲ 현재 북한의 행정 구역
도 8 (특별자치도 1) 면 1,182
시 75 (행정시 2) 동 2,079 우리나라 정부는 북한이 개편한 행정 구역을 인정하지
군 82 않고, 기존의 황해도·평안북도·평안남도·함경북도·함경
남도의 5곳만을 법적으로 인정하며, 이곳의 도지사와 군
- 행정안전부, 『행정 구역 실무 편람』, 2020, 181·271쪽 -
수를 임명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이북 5
도청’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있으며, 도지사와 군수를 실
행정 구역 중심의 지역 구분
향민들의 추천을 받아 행정안전부에서 임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 구분에는 도 중심의 행정 구역이 중
- 성정원, 『경제를 읽는 쿨한 지리 이야기』, 맘에드림, 2020,
요하게 고려되어 왔다. 실제 지역 구분도 고려 시대와 조 223~225쪽 -
국토와 우리 생활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