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5 - ele_society_5-1_tutor
P. 195
수업 참고 자료
1
18 차시 우리나라의 인구 분포 단원
•1960년대 이전
인구 밀도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농경 사회로 살아왔기 때문에
어떤 지역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모여 살고 있는지를
인구 분포의 차이를 가져온 가장 중요한 요인은 농경지
나타내는 것으로, 인구의 공간적 분포 상황을 보여 준
의 분포와 규모였다. 주로 기후가 온화하고 저평한 남부
다. 보통 1 km 당의 인구수로 나타낸다. 따라서 인구 밀
2
와 서부의 평야 지대와 해안 저지대에 인구가 밀집하였
도는 절대적인 인구의 수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
으며, 추운 북부와 동부 산간 지역으로 갈수록 인구가 희
정 공간 안에 상대적으로 인구가 얼마나 밀집되어 있는
박하였다. 그 후 어업과 해상 교통이 발달함에 따라 해
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양식이나 기술
안 지역에도 인구가 집중하게 되었고, 산업이 발달하고
이 높고 경제적으로 발달하여 인구 수용력이 큰 지역일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태백산맥이나 일부 산악 지대의
수록 인구 밀도는 높아진다.
광산이 개발됨에 따라 광산 지역에 인구가 다소 집중하
우리나라의 인구 밀도는 2020년 기준 약 516명/km 2
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우리나라의 인구 분포 패
으로 세계적으로 인구 밀도가 높은 나라에 속한다. 더욱
턴은 커다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 국토의 약 70%가 산지이며,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대도시 중심으로 인구가 매우 밀집되어 있다. •1960년대 이후
인구 밀도는 국가 단위뿐 아니라 한 국가의 지역 단위 1960년대 이후 급격하게 진행된 산업화로 도시화가
별로도 중요하다. 한 국가 안에서 지역에 따른 인구 밀 가속화되었고, 서울과 부산 등의 대도시에서는 인구 과
도를 비교해 봄으로써 국가적인 인구 분포 상황을 파악 밀화 현상이 나타나지만, 농어촌 지역에서는 인구가 감
할 수 있으며, 이는 국가 정책 결정에 중요하다. 특히 과 소하였다. 우리나라의 급속한 도시화 현상은 농촌 인구
거에는 기후나 지형 등 자연적 요인의 영향이 컸으나 오 가 도시로 유입되어 생긴 것이다. 특히, 1960년대 후반
늘날에는 점점 경제적·사회적 요인의 영향이 커지면서 우리나라 도시화의 3/4은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으로 이
지역 간 인구 밀도의 차이가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각 루어졌다. 그러나 1990년 이후 도시화는 도시 자체의 높
종 산업 및 편의 시설이 발달한 대도시 중심으로 인구가 은 자연 증가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집중되는 현상이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상대적 후반 행정 구역의 개편에 따라 도시화율이 높아진 측면
으로 낙후된 농어촌 지역이나 지방의 소도시들은 점차 도 있다.
- 이희연, 『인구학』, 법문사, 2005, 166~169쪽 -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국가는 인구의 지
방 분산과 국토의 균형 발전을 새로운 과제로 삼아 정책
을 마련하고 있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화
(명/km ) 2 서울의 전국 대비 인구 점유율 감소와는 대조적으로
600 516.2
500 437.7 463.9 485.6 경기도의 인구 점유율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경기
400 378.8 도는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인구가 성장하고 있
320.4
300 는데, 이는 서울의 인구 분산 정책으로 서울 주변에 신
200
도시를 건설하여 인구가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100
경기도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인구 비중은 2005년도
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년) 에 22.2%가 되면서 서울의 점유율을 넘어서게 되었고,
[출처: 통계청, 2021]
▲ 우리나라 인구 밀도의 변화 이에 따라 서울과 인천,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의 인구
- 두피디아(doopedia.co.kr) - 점유율은 1960년 20.8%에서 1990년 42.7%로 증가하
국토와 우리 생활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