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6 - ele_society_5-1_tutor
P. 196

였다.  그리고  2000년에는  46.3%로  증가하였으며,                 피라미드 모양은 유소년층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
           2005년에는  48.2%,  2010년에는  49%,  2015년에는           형이고, 종 모양은 출생률이 낮아 유소년층 비율이 낮고
           49.5%로 높아져 우리나라 국민의 절반 정도가 수도권                    노년층 비율이 높은 경우이다. 방추 모양은 출생률이 더

           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욱 낮아져서 인구 감소 현상까지 보이는 경우이다. 생산
                       - 이희연, 『경제 지리학』, 법문사, 2018, 827쪽 -    연령층이 많은 도시와 공업 지역에서는 별 모양의 구조
                                                             가, 청년층의 인구가 도시로 대거 전출된 농촌에서는 표
             19   차시                                         주박 모양의 인구 구조가 나타난다.


              인구와 인구 성장                                             65              65           65
                                                                    50              50           50
             인구란 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총수를 말한다. 인구는
                                                                    20              20           20
           한 사회나 국가를 형성하는 근본적인 요소이므로 인구                             15              15           15
                                                                    5 0             5 0          5 0
           현상은 그 국가나 사회가 가진 자연적·문화적·경제적인                        피라미드 모양           종 모양         방추 모양
           여러 가지 여건을 반영한다. 인구 현상을 설명하는 가장
                                                                    65              65
           근본적인 개념은 인구 규모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50              50
           인구 규모의 변동을 인구 성장이라고 하는데, 이때 인구                           20              20
                                                                    15              15
           성장의 개념은 인구가 증가되는 것뿐만 아니라 인구가                             5 0             5 0
                                                                별 모양(도시형)     표주박 모양(농촌형)
           감소되는 경우도 통틀어 지칭한다.
                                                             ▲ 인구 피라미드 유형
             인구 성장은 크게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로 구분
                                                                 - 한주성, 『인구 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15, 177~178쪽 -
           된다. 자연적 증가는 출생과 사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인구의 증가를 의미하고, 사회적 증가는 일정 지역으로
           전출하는 사람 수와 전입하는 사람 수의 차이를 의미하                       고령화
           는 것이다.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라 총인구 중에 차지하는 고령

                        - 이희연, 『인구학』, 법문사, 2005, 4쪽, 54쪽 -   층(노인)의 인구 비율이 점차로 많아지는 사회 현상을
                                                             말한다. 우리나라 사회는 산업화·도시화·현대화로 보
              인구 피라미드                                        건 의료 기술이 발달하고, 영양·안전·위생 환경이 개선
             인구 피라미드는 인구의 성별, 연령별 구조를 함께 그                   되었으며, 생활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국
           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총인구에 대하여 남녀의 연령별                     민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 노인 인구의 절대수가 증가하
           인구를 차례로 나타낸 그래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세                     였다. 그리고 노동력이 경제적 부와 직결되던 농경 사회
           로축에 연령을 1세 또는 5세 단위로, 가로축에는 연령별                   에서 기계가 노동력을 대체하는 산업 사회로 변화되면
           인구의 실제 수 또는 비율을 남녀별로 좌우에 그린다. 인                   서 자녀를 적게 낳는 가치관이 확산하여 노인 인구의 상

           구 피라미드는 특정 사회의 인구 특성을 개괄적·일괄적                     대적 비율이 증가하였다.
           으로 살펴보는 데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 그리고 장래의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고령층의 인구 비율이
           경제나 고용 문제를 진단할 수 있다.                              점차 높아져 가는 현상 또는 그러한 상태를 고령화라고
             인구 피라미드의 유형은 직접적으로는 출생, 사망, 인                   한다.
           구 이동의 세 가지 인구 성장의 구성 요인에 의해 결정                     고령화는 한 사회의 출생률과 사망률의 저하가 장기
           된다. 인구 피라미드의 유형에서 자연 증감의 특성을 나                    간 지속된 결과이며, 최근에는 사망률의 저하로 고령 인
           타내는 유형은 피라미드 모양, 종 모양, 방추 모양으로,                   구가 증가하였다기보다는 오히려 출생률의 저하로 총인

           사회적 증감의 지역성을 나타내는 유형은 별 모양, 표주                    구의 증가율이 감소하였다는 데 더 큰 원인이 있다.
           박 모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고령화가 진행되어 총인구 중에 고령 인구 비율이 점


           194    각론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