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6 - ele_society_5-1_tutor
P. 196
였다. 그리고 2000년에는 46.3%로 증가하였으며, 피라미드 모양은 유소년층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
2005년에는 48.2%, 2010년에는 49%, 2015년에는 형이고, 종 모양은 출생률이 낮아 유소년층 비율이 낮고
49.5%로 높아져 우리나라 국민의 절반 정도가 수도권 노년층 비율이 높은 경우이다. 방추 모양은 출생률이 더
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욱 낮아져서 인구 감소 현상까지 보이는 경우이다. 생산
- 이희연, 『경제 지리학』, 법문사, 2018, 827쪽 - 연령층이 많은 도시와 공업 지역에서는 별 모양의 구조
가, 청년층의 인구가 도시로 대거 전출된 농촌에서는 표
19 차시 주박 모양의 인구 구조가 나타난다.
인구와 인구 성장 65 65 65
50 50 50
인구란 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총수를 말한다. 인구는
20 20 20
한 사회나 국가를 형성하는 근본적인 요소이므로 인구 15 15 15
5 0 5 0 5 0
현상은 그 국가나 사회가 가진 자연적·문화적·경제적인 피라미드 모양 종 모양 방추 모양
여러 가지 여건을 반영한다. 인구 현상을 설명하는 가장
65 65
근본적인 개념은 인구 규모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50 50
인구 규모의 변동을 인구 성장이라고 하는데, 이때 인구 20 20
15 15
성장의 개념은 인구가 증가되는 것뿐만 아니라 인구가 5 0 5 0
별 모양(도시형) 표주박 모양(농촌형)
감소되는 경우도 통틀어 지칭한다.
▲ 인구 피라미드 유형
인구 성장은 크게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로 구분
- 한주성, 『인구 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15, 177~178쪽 -
된다. 자연적 증가는 출생과 사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인구의 증가를 의미하고, 사회적 증가는 일정 지역으로
전출하는 사람 수와 전입하는 사람 수의 차이를 의미하 고령화
는 것이다.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라 총인구 중에 차지하는 고령
- 이희연, 『인구학』, 법문사, 2005, 4쪽, 54쪽 - 층(노인)의 인구 비율이 점차로 많아지는 사회 현상을
말한다. 우리나라 사회는 산업화·도시화·현대화로 보
인구 피라미드 건 의료 기술이 발달하고, 영양·안전·위생 환경이 개선
인구 피라미드는 인구의 성별, 연령별 구조를 함께 그 되었으며, 생활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국
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총인구에 대하여 남녀의 연령별 민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 노인 인구의 절대수가 증가하
인구를 차례로 나타낸 그래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세 였다. 그리고 노동력이 경제적 부와 직결되던 농경 사회
로축에 연령을 1세 또는 5세 단위로, 가로축에는 연령별 에서 기계가 노동력을 대체하는 산업 사회로 변화되면
인구의 실제 수 또는 비율을 남녀별로 좌우에 그린다. 인 서 자녀를 적게 낳는 가치관이 확산하여 노인 인구의 상
구 피라미드는 특정 사회의 인구 특성을 개괄적·일괄적 대적 비율이 증가하였다.
으로 살펴보는 데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 그리고 장래의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고령층의 인구 비율이
경제나 고용 문제를 진단할 수 있다. 점차 높아져 가는 현상 또는 그러한 상태를 고령화라고
인구 피라미드의 유형은 직접적으로는 출생, 사망, 인 한다.
구 이동의 세 가지 인구 성장의 구성 요인에 의해 결정 고령화는 한 사회의 출생률과 사망률의 저하가 장기
된다. 인구 피라미드의 유형에서 자연 증감의 특성을 나 간 지속된 결과이며, 최근에는 사망률의 저하로 고령 인
타내는 유형은 피라미드 모양, 종 모양, 방추 모양으로, 구가 증가하였다기보다는 오히려 출생률의 저하로 총인
사회적 증감의 지역성을 나타내는 유형은 별 모양, 표주 구의 증가율이 감소하였다는 데 더 큰 원인이 있다.
박 모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고령화가 진행되어 총인구 중에 고령 인구 비율이 점
194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