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7 - ele_society_5-1_tutor
P. 197
점 높아 가는 사회 또는 현저하게 높아진 사회를 고령화 에 초점을 둔 신도시 개발이 이루어졌다. 2000년대에 들 1
사회라고 하는데, 국제연합(UN)은 전체 인구 중 65세 어서면서 수도권의 인구 분산 및 균형 개발 차원에서 행
단원
이상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면 고령화 사회, 정 중심 복합 도시와 혁신 도시가 추진되고 있으며, 고
14%면 고령 사회, 20%면 초고령 사회 또는 후기 고령 용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기업 도
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시가 추진되고 있다. 이 외에도 동북아 차원에서 국가 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 쟁력 강화를 위한 경제 자유 구역이 개발되고 있으며, 지
역 내의 불균형 발전 시정을 위한 도청 이전 정책으로 무
안, 홍성, 안동 등에 신도시가 조성되고 있다.
20 차시
구분 개념 사례
우리나라 도시화의 특징
민간 주도로 개발되는 사업으로 산업, 연
원주, 충주,
우리나라의 도시화 과정은 여러 가지 특징이 나타난 구, 관광 등의 경제 기능과 함께 정주에
기업 도시 태안, 영암,
필요한 주택, 교육, 의료, 문화 등 자족적
다. 첫째는 도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우리나 해남 등
복합 기능을 갖춘 도시
라의 급속한 도시화 추세는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에서
행정 중심 행정 기능을 중심으로 교육, 문화, 복지
주로 기인한 것이다. 복합 도시 등이 어우러진 자족형 복합 도시 세종
둘째, 우리나라의 도시화는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가 수도권 소재 공공 기관의 지방 이전을 계
진천, 나주,
주도하는 종주 도시화 특징이 나타난다. 서울과 같은 대 혁신 도시 기로 산·학·연·관이 서로 협력하여 새 김천 등
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미래형 도시
도시의 비대화 및 종주 도시화는 국토의 불균형 발전이
라는 중대한 문제를 일으킨다. - 한국도시지리학회, 『도시 지리학 개론』, 법문사, 2020,
셋째, 대도시의 거대화 현상은 필연적으로 시가지의 707~708쪽, 729쪽 -
확대와 근교화의 촉진을 수반하게 된다.
넷째, 도시의 거대화와 연담화는 도시 주변의 활발한
도시화에 의해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대도시 외 21 차시
곽의 근교에서 관찰할 수 있는 도시화는 주로 택지화 현
우리나라 제조업의 변화
상이다. 즉 도시 주변 지역에 도시적 주거 환경이 이루
•1960년대 수출 주도형 경공업의 육성과 산업 단지 조성
어진다는 것이다.
1962년에 수립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전략은 노
다섯째, 우리나라는 대도시 문제가 대두되면서 신도
동력이 풍부한 우리나라의 현황을 살펴 노동 집약적 수
시의 건설 문제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출 산업의 신장을 통해 고용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었다.
여섯째, 대도시와 농촌을 연결해 주는 중소 도시 또는
이에 따라 1960년대는 섬유, 합판, 가전제품, 신발류 등
소도읍 체계를 완성하지 못한 채 도시화를 경험하였다.
의 경공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1962년 최초로 울산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의 도시』, 법문사, 2005, 110~114쪽 -
공업 단지가 지정되었고, 1965년 서울 구로와 인천 주
안, 부평에 수출 공업 단지가 조성됨을 시작으로 서울,
신도시 개발 부산, 대구, 인천 등 대도시에 공업 단지가 조성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가 건설된 것은 •1970년대 중화학 공업의 육성과 전문 공업 단지 조성
1960년대 이후이며, 신도시 개발은 크게 국토 및 지역 경공업 수출의 한계 및 경공업 제품에 대한 선진국의
개발과 대도시의 문제 해결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수입 규제 조치가 강화됨에 따라 정부는 중화학 공업을
초기에는 국토 및 지역 개발 차원에서 공업 도시 정책 육성하는 정책적 전환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화학
이 추진되었으며, 그 후 대도시 인구 집중과 그에 따른 공업 육성 계획이 수립되었고, 특히 중화학 공업 가운데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 공급과 도심 기능 분산 산업 연관 효과가 가장 큰 철강, 기계, 조선, 석유화학
국토와 우리 생활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