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8 - ele_society_5-1_tutor
P. 198

등이 전략 산업으로 지정되어 임해 지역을 중심으로 중                     형 체제에서 혁신 창출형 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산업 입
           화학 산업 단지가 조성되었다.                                  지 정책이 추진되었다.
             한편, 제1차 국토 종합 개발 계획(1972~1981년)이                 2004년 산업 단지의 혁신 클러스터 사업이 국정 과제

           수립되면서 입지 조건이 양호한 지역에 전략적으로 대                      로 채택되어 7개 시범 단지에 대한 사업이 추진되었다.
           규모 공업 단지를 조성하는 동시에 서울, 부산 등 대도                    또한 문화 산업 단지, 정보 통신 산업 단지 등 다양한 형
           시로의 공업화 집중 현상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태의 전문화된 산업 단지 조성과 함께 복합 산업 단지 조
                                                             성도 추진되고 있다.
           •1980년대 산업 합리화 정책과 지방 공업 단지 조성
             1986년부터 1990년까지 부산의 명지, 녹산 지구와 광                •2010년 이후 제조업의 융·복합화와 산업 단지의 경쟁력 제고
           주 첨단 산업 단지, 군장 국가 산업 단지, 대불 국가 산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선진국들의 경우 다시 제
           업 단지 등 대단위 산업 단지들을 신규로 지정하였다. 특                   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히 서남권 개발을 위해 대불과 군장에 대규모 산업 단지                    경우 제조업종 중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 업종들이 국
           를 개발하고, 지방 산업 단지와 농공 단지 개발도 병행                    제 경쟁력을 갖추고 경제 발전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
           하여 국토의 균형 개발과 인구의 지방 정착에 역점을 두                    고 있다. 또 혁신 도시와 기업 도시를 조성하였고, 지역
           면서 중소 규모 공단을 지방에 분산, 배치하는 지방 중                    의 산업 기반을 고려한 맞춤형 도시 첨단 산업 단지도 조

           심의 입지 정책을 추진하였다.                                  성하고 있다.
             한편, 제2차 국토 종합 개발 계획(1982~1991년)의                        - 이희연, 『경제 지리학』, 법문사, 2018, 548~556쪽 -
           공업 입지 방향을 보면 대규모 산업 단지 개발 정책에 따
           른 거점 개발이 지역 격차를 확대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22 차시
           는 판단하에 국토의 균형 개발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였
           다. 공업을 지방에 배치하되 중소 규모의 공업 단지를 각                     교통
           지역에 확산, 배치하며, 지방의 기존 공업을 중심으로                      좁은 의미에서의 교통은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장소를
           계열화와 집적 이익을 고려한 공업 지대를 형성하고, 대                    이동하는 것을 뜻한다. 인간의 사회생활은 항상 일정하
           도시 내의 부적합한 공업은 이전하여 도시 환경을 개선                     게 지역적인 확대를 한다. 이 지역적인 확대, 즉 공간적

           하는 것이었다.                                          거리를 극복하는 행위가 교통이다.
                                                              교통의 기능은 이와 같은 공간적 거리를 좁혀 가능한
           •1990년대 첨단 기술 산업의 육성과 첨단 산업 단지 조성
                                                             한 가장 작은 시간적·경제적 손실을 극복하는 데 있으
             1990년대 산업 입지 정책은 1980년대의 정책을 이어
                                                             며, 교통수단의 발달과 개량은 그 기능의 강화를 가져온
           받아 산업 입지의 지역 간 균형을 더욱 강조하는 한편,
                                                             다. 교통에 의한 인간이나 재화의 이동은 장소적인 효용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역점을 두었다.
                                                             을 창조하므로, 경제학상 교통은 생산의 일부라고 간주
             산업 입지의 지역 간 균형을 위해 수도권의 공업 집중
                                                             된다.
           비율을 줄이고 낙후된 지역의 산업 단지 개발을 확대하
                                                                                    - 두피디아(doopedia.co.kr) -
           였다. 특히 중부와 서남부 지역에 신산업 지대를 개발하고
           동남해안 공업 벨트는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는 한편, 낙후                     생활권
           지역 개발을 위해 중소 공업 단지 개발을 추진하였다. 아
                                                              생활권은 통근, 통학, 쇼핑, 오락, 사회적 관계 등 사
           울러 첨단 산업 육성을 위해 첨단 산업 단지 개발 정책이
                                                             람이 일상생활을 해 나가는 공간적인 범위를 말하며, 시
           수립되었다. 1990년에는 광주, 전주, 부산, 대구, 강릉
                                                             대나 장소 및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등 권역별로 과학 산업 연구 단지가 조성되었다.
                                                              생활권은 여러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일
           •2000년대 지식 기반 산업의 성장과 복합 산업 단지 조성                 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비교적 작은 지역 단위를 1차 생활
             2000년대는 지식 기반 경제로 진전되면서 요소 투입                   권, 일상의 패턴은 아니지만 더욱 넓은 의미에서 생활에


           196    각론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