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ele_society_5-2
P. 104
강화도 조약
청에 갔다가 서양의 발전된 문물을 보고 온 사람들은 서양의
제도를 받아들여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흥선 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직접 정치에 나서면서 더욱
힘을 얻었다.
1875년, 일본이 강화도를 공격하고 영종도를 약탈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일본은 오히려 조선 군대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며 군함을
보내 통상을 요구하였다. 결국 조선은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맺고 개항
하였다. 강화도 조약은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지만 조약
에 담긴 일부 내용이 조선에 불평등하였다.
최익현을 비롯한 조선의 선비들은 개항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강화도 조약을 맺은 뒤에는 궁궐 앞에 엎드려 통곡하며 조약을 반대
하였다.
강화도 조약의 불평등한 요소
제7관 일본인이 조선의 해안을 자유롭게 제10관 일본국 국민이 조선국 항구에서 죄
측량하는 것을 허가한다. 를 지었을 경우, 일본국 관리가 심
판한다.
조선의 해안을
자유롭게 측량하면 조선에 우리가
침입할 때 유리한 조선에서 나쁜 짓을
지점을 알 수 있겠군. 해도 조선 사람은
우리를 벌할 수 없지!
일본인이 조선에서 죄를 지어도 조선의 법
해안을 자유롭게 측량할 수 있는 권한은 군
으로 처벌하지 못하여 일본인의 불법 행위에
사적 침입의 여지를 줄 수 있었다.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
1 흥선 대원군은 적극적으로 조선을 개항하고자 하였다. ( ◯, )
×
2 강화도 조약은 조선과 일본이 대등한 관계에서 맺은 평등한 조약이었다. ( ◯, )
10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