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3 - ele_society_5-2_tutor
P. 143

•  6세기 말에 고구려가 주변 지역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  신라는 당을 한반도에서 몰아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                1
                   맺으며 나라의 힘을 키울 무렵 어떤 일이 일어났나요?                    나요?
                                                                                                                   단원
                  –  중국 지역을 차례로 통일한 수와 당이 고구려를 여                    –  신라는 고구려의 유민과 힘을 합쳐 당과의 전쟁에
                    러 번 공격하였습니다.                                      나섰습니다.

                 •  고구려가 당과 전쟁을 하고 있을 때 신라의 김춘추가 고구               • 신라와 당이 벌인 전쟁의 결과를 말해 볼까요?
                   려에 군사 지원을 요청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  신라가 전쟁 끝에 당군을 몰아내고 삼국을 통일하였

                  –  신라가 백제의 공격을 받아 여러 성을 빼앗기는 위                      습니다.
                    기에 처했기 때문입니다.                                   –  신라가 전쟁에서 승리하고 대동강~원산만을 경계
                 • 고구려의 왕은 김춘추의 도움 요청에 어떻게 대답하였나요?                    로 그 아래 지역을 차지하였습니다.
                  –  신라가 빼앗아 간 옛 고구려의 땅을 돌려주지 않으
                                                                  ➌  활동해요 _ 김춘추의 외교 활동 평가하기
                    면 신라를 도울 수 없다고 거절하였습니다.
                 •  김춘추는 왜 당으로 건너갔나요?                                   내가 김춘추였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지 이야기해

                  –  당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서입니다.                         보자.
                  –  당이 고구려를 공격할 때 신라가 협력하겠다고 하면                    예시 답안
                    당도 신라를 도와줄 것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  당에 도움을 요청하겠습니다. 백제와 고구려의 공격
                 • 김춘추의 제안에 당 태종은 어떻게 대답하였나요?                         을 받아 신라가 멸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당의 도움

                  –  신라의 요청을 받아들여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킨                       을 받아서라도 나라를 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백제, 고구려와 협상하여 스스로 위기 상황을 해결
                    뒤 대동강 이남의 땅을 신라에 주겠다고 하였습니다.
                                                                      할 것입니다. 당이라는 외세의 도움을 받아 같은 민
                     지도상의 유의점  교과서 22~23쪽에 있는 ‘김춘추의 외교 활
                                                                      족을 공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동 평가하기’의 삽화를 이용하여 신라와 당의 연합 과정을 파악
                   하게 한다.                                             지도상의 유의점  자신이 선택한 까닭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하되, 학생의 선택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않도록
                 ➋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알아보기
                                                                    한다.
                 •  교과서 23쪽의 지도를 보면서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을 살
                   펴봅시다. 백제와 고구려는 언제 멸망하였나요?
                  –  백제는 660년에 멸망하였습니다.
                                                                    판서하기
                  – 고구려는 668년에 멸망하였습니다.
                                                                    1. 신라와 당의 연합
                 • 백제와 고구려는 왜 멸망하였나요?
                                                                        6세기 말부터 수와 당이 고구려를 여러 번 공격
                  –  신라군과 당군이 연합하여 공격하였기 때문입니다.                        하였지만 고구려가 이를 잘 막아 냄.
                 •  고구려는 여러 차례 수·당의 공격을 막아 냈는데, 신라와                     백제의 공격으로 신라가 위기에 빠짐. → 신라의
                   당 연합군의 공격을 왜 막아 내지 못하였나요?                           김춘추가 고구려에 도움을 요청하였으나 거절당
                  –  수·당과 여러 차례 전쟁을 치르면서 힘이 약해졌기                       함. → 김춘추가 당으로 건너감. → 신라와 당이 연
                    때문입니다.                                             합함.
                  –  고구려 지배층의 권력 다툼으로 나라가 혼란하였기                     2. 신라의 삼국 통일
                    때문입니다.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과 당군이 함께 백제와 고
                 •  연합군을 이루었던 신라와 당이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에                      구려를 차례로 멸망시킴.
                   전쟁을 벌인 까닭은 무엇인가요?                                    당이 한반도 전체를 차지하려고 함. → 신라가 고
                                                                       구려의 유민과 힘을 합쳐 전쟁에 나섬.
                  –  당이 한반도 전체를 차지하려고 하였습니다.
                                                                        신라가 전쟁 끝에 당을 한반도에서 몰아냄. → 삼
                  –  당이 대동강 이남의 땅을 신라에 준다는 약속을 지키
                                                                       국 통일을 이룩함.
                    지 않았습니다.


                                                                                                         141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