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ele_society_5-2_tutor
P. 147

•  대조영을 비롯한 고구려 유민들은 왜 요서 지역에서 살고                  해설                                             1
                   있었나요?                                              수막새나 치미 등 건축 관련 유물의 생김새가 비슷
                                                                                                                   단원
                  –  고구려가 멸망한 뒤에 당이 고구려 유민들을 강제로                    하다는 것은 건축물을 세운 기술자가 고구려 출신이거
                    중국 곳곳에 옮겨 살게 하였습니다.                             나 고구려인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대조영과 함께 요서 지역을 탈출한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2.  <자료 1>과 <자료 2>를 보고 발해는 고구려와 어떤
                  –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입니다.                                   관계라고 생각했는지 써 보자.
                 •  대조영이 도읍으로 정하고 발해를 세운 지역은 어디입니까?                 예시 답안
                  – 만주 동모산 근처입니다.                                     발해는 스스로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라고 생각하였
                 •  발해가 스스로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라고 내세운 까닭은                   습니다.
                   무엇인가요?
                  – 발해를 세운 대조영이 고구려 출신입니다.                         정리

                  –  발해는 고구려의 옛 땅에서 고구려 유민들이 세운
                                                                     학습 내용 정리하기
                    나라였습니다.
                                                                  •  발해의 건국과 발전 과정을 정리해 봅시다.
                                                                  •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임을 알 수 있는 근거를 정리
                 ➋  발해의 발전 과정 알아보기
                                                                    해 봅시다.
                 •  발해와 당 사이의 관계는 어땠나요?
                                                                     확인해요
                  –  발해는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을 적이라고 생각하였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습니다.
                  –  발해는 처음에 당과 사이가 좋지 않았습니다.
                                                                    •   ( 대조영 )은/는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만주
                  –  발해는 점차 당과 교류하면서 당의 문물이나 제도를                      동모산 근처에 도읍을 정하고 발해를 건국하였다.

                    받아들였습니다.                                           발해는 스스로 (    고구려 )을/를 계승한 나라라고
                 •  당은 발해를 ‘해동성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 뜻은                  내세웠다.
                   무엇인가요?
                  –  ‘바다 동쪽에서 기운차게 일어나 번성하는 나라’라                     차시 예고하기
                    는 뜻입니다.                                       •  다음 시간에는 삼국의 문화를 알아보겠습니다.
                 • 당은 발해를 왜 ‘해동성국’이라고 불렀나요?
                                                                    판서하기
                  –  당의 동쪽에 있는 발해가 발전하였기 때문입니다.
                                                                    1. 발해의 건국
                  –  발해가 영토를 크게 넓히고 주변 나라와도 활발하게
                                                                        고구려가 멸망한 뒤 당이 고구려 유민들을 강제로
                    무역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였기 때문입니다.                            중국 곳곳에 옮겨 살게 함.
                                                                        고구려 출신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
                 ➌ 탐구해요 _ 발해와 고구려의 관계
                                                                       끌고 요서 지역을 탈출하여 만주 동모산 근처에 도
                                                                       읍을 정하고 발해를 건국함.
                   1.  <자료 1>에서 고구려와 발해의 유물을 살펴보고 비
                                                                        발해는 스스로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라고 내세움.
                     슷한 점을 찾아보자.
                                                                    2. 발해의 발전
                   예시 답안
                                                                        건국 초기에는 당과 사이가 좋지 않았음. → 이후
                           •연꽃무늬를 새긴 것이 비슷합니다.                         당과 교류하면서 당의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임.
                    수막새
                           •꽃잎의 배치가 비슷합니다.                              영토를 넓히고 일본 등 주변 나라와 활발하게 무역
                           •모양이 비슷합니다.                                 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함. → 당이 발해를 ‘해동성
                     치미
                           •선의 흐름이 비슷합니다.
                                                                       국’이라고 부름.


                                                                                                         145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