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0 - ele_society_5-2_tutor
P. 150

7~8 차시
                                                                                        교과서  30~31   쪽

                                   삼국의 불교문화                      백제의 무왕은 미륵사를 지어 나라의 힘을 하나로 모으고, 왕권을
                                    삼국 시대에는 왕실이 절과 탑을 많이        강화하고자 하였다.
                                   만들었다. 신라의 황룡사와 백제의 미륵사는
                                   대표적인  삼국  시대의  절이다.  신라와
                                   백제는 이러한 큰 절을 지어 왕실의 위엄을
                                   높이고, 여러 가지 불교 행사를 열어 나라의
                                   평화와 발전을 빌었다.
                                    특히 신라의 선덕 여왕은 황룡사 9층
                                   목탑을  세워  불교의  힘으로  이웃  나라가
                                   쳐들어오는 것을 막아 내고자 하였다.
                                                                      미륵사
                                                                   (복원 모형, 국립익산박물관)


                                                                 삼국은 불상도 만들었다. 백제의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은
                                                                산속 절벽 바위에 새겨진 불상이고, 고구려의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은 뒷면에 새겨진 글을 통해 어느 때 만들어졌는지를 추정할 수 있는
                                                                불상이다. 또한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도 많이 만들어졌다.


                                  황룡사 9층 목탑
                                  (복원도, 상상화)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충청남도 서산시)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30 30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 나라의 등장과 발전 31 31




           ➋  삼국의 불교문화 살펴보기                                  • 황룡사 9층 목탑은 누가 만들었나요?
           •  삼국은 발전하는 과정에서 불교를 받아들였습니다. 불교                   – 선덕 여왕이 만들었습니다.
             는 어떤 역할을 하였나요?                                  • 선덕 여왕은 왜 이 탑을 세웠나요?

             –  백성이 왕을 부처처럼 섬기도록 하면서 왕권을 강화                   –  불교의 힘으로 이웃 나라가 쳐들어오는 것을 막아
               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내기 위해 세웠습니다.
                지도상의 유의점  교과서 18쪽 삼국의 성립과 발전 과정에서            • 필름을 열어 봅시다. 무엇이 보이나요?
             불교 수용과 관련하여 공부한 내용을 떠올릴 수 있게 유도한다.
                                                              – 탑이 보이지 않고, 바닥에 돌과 계단만 있습니다.
           •  삼국 시대에는 왕실이 절과 탑을 많이 만들었는데, 왕실이
                                                             •  현재의 황룡사터 모습입니다. 황룡사 9층 목탑은 고려 시
             세운 대표적인 절을 말해 볼까요?
                                                              대에 몽골의 침략으로 불타 없어졌습니다.
             – 신라에는 황룡사, 백제에는 미륵사가 있었습니다.
                                                                 수업 제안  황룡사 9층 목탑이 그려진 필름을 활용하여 현재
           •  신라와 백제가 황룡사와 미륵사처럼 큰 절을 세운 까닭은                  의 모습과 옛날 모습을 살펴보게 한다.
             무엇인가요?
                                                             •  선덕 여왕 때 세운 황룡사 9층 목탑의 높이는 현재 약 30
             – 왕실의 위엄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층 아파트 높이와 비슷하였다고 하는데, 이를 통해 절의 규
             –  여러 가지 불교 행사를 열어 나라의 평화와 발전을                   모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빌기 위해서입니다.                                    •  황룡사 9층 목탑의 모습을 살펴보면서 어떤 생각을 하였

           •  교과서 30쪽에 있는 필름의 그림을 봅시다. 이 탑의 이름                나요?
             은 무엇인가요?                                         –  옛날에도 이런 높은 탑을 세울 수 있었다는 것이 놀

             – 황룡사 9층 목탑입니다.                                    라웠습니다.


           148    각론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