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5 - ele_society_5-2_tutor
P. 155

수업 참고 자료
                                                                                                                   1

                  1 2     차시                                                                                       단원
                   ~
                                                                     0  100 km
                    고조선 명칭                                            비파형 동검
                                                                      탁자식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처음 역사책에 등장할 때 ‘조선’이라고 하였다. 고조선                     고조선 관련 문화 범위
                 이라는 명칭은 『삼국유사』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때 고                               오 허 강
                 조선이라고 한 것은 기자 조선이나 위만 조선과 구분하                        다  링 강  랴            백두산
                 기 위해서였다. 그 뒤 이승휴가 쓴 『제왕운기』에서는 단                                      압 록 강
                 군 조선을 ‘전 조선’, 기자 조선을 ‘후 조선’이라고 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 고조선이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                                       평양
                                                                                                   동 해
                 는데, 이는 이씨 조선과 구분되는 ‘고대의 조선’이라는                                      구월산
                                                                                        마니산
                 의미이다. 고조선이 포괄하는 범위에 대해서는 기원전                                              한 강
                                                                                    황 해
                                                                                         부여
                 2세기 초에 위만 조선이 등장하기 전에 존재한 조선만을                                               낙
                                                                                              동
                                                                                              강
                 칭하는 경우와 위만 조선까지 포괄하여 고조선이라고
                 칭하는 경우로 나뉜다. 정치사적 측면에서는 전자를 취                                                남 해
                                                                                        제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위만 조선의 사회 문화가 앞
                 시기의 조선과 이어지는 면이 있기 때문에, 사회 문화적
                                                                  ▲ 고조선의 문화 범위
                 측면에서는 위만 조선 시기까지를 포괄하여 고조선이라
                                                                                  - 강종훈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1』,
                 고 한다.
                                                                                       웅진지식하우스, 2015, 63~64쪽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www.encykorea.aks.ac.kr) -
                                                                   3 4     차시
                                                                     ~
                    고조선 사람들의 생활권

                   고조선을 세운 정치 세력들은 공간적으로는 오늘날                        율령
                 요서(랴오닝) 지역과 한반도의 서북부에 걸쳐 흩어져 살                     율령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용어로, 글자 자체의 의미는
                 았다. 이 지역은 일찍부터 농경이 발달하였으며, 이곳                    법과 제도를 뜻한다. ‘율’은 지금의 형법에 해당하고, ‘영’
                 주민은 언어와 풍속이 서로 비슷한 예족과 맥족으로 불                    은 행정법의 성격을 지닌다. 진·한 이래 중국 왕조들은 강
                 리는 종족이었다. 고조선은 처음에 조그만 정치 세력이                    력한 권력을 가진 황제가 관료를 선발하여 그들을 통해
                 었지만, 차츰 우세한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다른 정치                   모든 영토의 인민을 직접 통치하는 국가 통치 방식을 시

                 세력을 정복하거나 통합하였을 것이다.                             행하였는데, 그 방법과 내용을 기록한 것이 율령이다.
                   고조선 사람들이 남긴 문화를 흔히 ‘비파형 동검 문화’                   우리나라와 일본 등 중국의 주변 국가들은 고대 국가
                 라고 한다. 비파형 동검을 비롯하여 고인돌, 미송리식                    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율령을 도입하여 왕권 중심의 중
                 토기, 팽이형 토기가 그들의 대                                앙 집권 체제를 이루었다. 삼국의 율령 반포는 단순히 법
                 표적인  유물이다.  특히  탁자식                              과 제도를 만들었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것은 강력한 왕
                 고인돌은 요동(랴오둥) 지역에서                                권 중심의 권력 구조를 확립하고, 관료제에 입각하여 영
                 한반도 서북부에 걸쳐 집중적으                                 토 내의 모든 구성원을 직접 통치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

                 로  분포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하기 시작하였다는 의미를 지닌다.
                 고조선 사람들의 생활권과 문화                                   고구려는 소수림왕 3년(373)에, 신라는 법흥왕 7년
                                             ▲ 미송리식 토기(평안북도
                 권을 짐작할 수 있다.                의주 출토)               (520)에 율령을 반포하였다. 백제는 구체적인 율령 반포


                                                                                                         153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