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1 - ele_society_5-2_tutor
P. 151
– 신라 시대에 많은 사람이 황룡사에 와서 자신의 소망 판서하기 1
을 빌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2. 삼국의 불교문화 단원
• 교과서 31쪽을 봅시다. 미륵사를 세운 사람은 누구인가요? 왕실이 절과 탑을 많이 만듦. → 큰 절을 지어 왕실
– 백제의 무왕이라고 전해집니다. 의 위엄을 높이고, 여러가지 불교 행사를 열어 나
• 무왕은 왜 미륵사를 만들었나요? 라의 평화와 발전을 빌었음.
- 신라: 선덕 여왕은 불교의 힘으로 이웃 나라가 쳐
– 나라의 힘을 모으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들어오는 것을 막아 내고자 황룡사 9층 목탑을
• 미륵사는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던 큰 절입니다. 복
세움.
원 모형을 통해 본 미륵사의 모습을 말해 볼까요?
- 백제: 무왕은 나라의 힘을 하나로 모으고 왕권을
– 황룡사 9층 목탑과 비슷한 모습의 9층 탑이 있습니다.
강화하고자 미륵사를 세움.
– 절의 동쪽과 서쪽에 모양이 같은 탑이 있습니다.
백제의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고구려의
• 삼국 시대에는 절과 탑뿐만 아니라 불상도 만들어졌습니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금동 미륵보살 반가
다. 어떤 불상이 있나요?
사유상 등 많은 불상이 만들어짐.
– 백제의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이 있습니다.
– 고구려의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이 있습니다. 교과서 자료
–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이 있습니다. 교과서 30쪽 삽화 황룡사 9층 목탑
승려 자장의 건의에 따라 선덕 여왕이 백제의 기술
지도서 부록 316쪽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자인 아비지를 초청하여 기술 지도를 받아 세우게 한
삼국의 문화유산 카드 만들기 탑이다. 9층은 각각 일본, 말갈 등 당시 신라의 주변
– 문화재청이나 박물관 누리집을 방문하여 삼국의 문 나라를 상징하였다. 신라는 이 탑을 세우면 주변 나
화유산을 조사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라들이 신라에 항복하고 조공하며, 외적이 침입하는
① 문화재청이나 국립중앙박물관 또는 각 지역 박물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믿었다.
관 누리집을 방문하게 한다. 교과서 31쪽 사진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② 해당 누리집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와 관련된 문 충청남도 서산시 가야산 계곡의 절벽 바위에 새겨
화유산을 찾아보게 한다. 진 불상이다. 거대한 여래 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③ 문화유산을 한 개 선택하여 그 특징을 문화유산 카 는 보살 입상, 왼쪽에는 반가 사유상이 조각되어 있
드에 정리하게 한다. 다. 세 불상이 모두 자비로운 미소를 띠고 있어 ‘백제
④ 모둠별로 모여 자신이 조사한 문화유산을 소개하 의 미소’라고 알려져 있다.
게 한다.
교과서 31쪽 사진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수업 제안 문화유산을 알리는 홍보물, 신문 등을 만들어 고구려와 관련된 글이
반에 전시할 수 있다. 새겨져 있는 불상으로, 경
황룡사 9층 목탑의 높이 알아보기 상남도 의령 지방에서 발
– 황룡사 9층 목탑의 높이를 현재 우리 주변의 건물 견되었다. 광배의 뒷면에
높이와 비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제작 연도로 추정되는 ‘연
① 인터넷을 검색하여 황룡사 9층 목탑의 높이를 찾 가 7년’이라는 글자를 포
아보게 한다. 함하여 47자의 명문이 새
② 황룡사 9층 목탑의 높이가 약 80m에 이르고, 현재 겨져 있다. 글에 따르면,
아파트 1층 높이가 약 2.5m임을 알려 준다. 이 불상은 평양 동사의 승 ▲ 글귀가 새겨진 불상의 뒷면
예 80 ÷ 2.5 = 32(층) 려들이 세상에 널리 퍼뜨
③ 우리 주변에서 황룡사 9층 목탑과 비슷한 높이의 리기 위해 만든 천 개의 불상 가운데 29번째로 만들
건물을 찾아보게 한다. 어진 것이다.
149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