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ele_society_6-1_tutor
P. 147
교과서 28 쪽
예시 답안 1
4
우리나라는 학생들과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민주주 단원
6월 민주 항쟁 이후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을 되짚어 보기 의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이에 우리
민주화 과정을 알아볼까요
나라에서 독재가 끝나고 여러 분야에서 민주화가 이루
어졌습니다.
대통령 직선제 시행
활동 Tip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헌법이 개정되어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게 되었다. 대통령 직선제는 민주적인 절차가 지켜지는 가운데 오늘
활동에 제시된 그림과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과
날까지 계속 시행되고 있다.
정을 연결해서 생각할 수 있다.
높은 열기 줄 이은 주권 행렬
활동 평가
1 다음 질문을 읽고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평가 내용 평어
13대 대통령 투표 행렬(『동아일보』, 1987. 12. 16.)
19대 대통령 투표 행렬
•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나요? 토의에 잘 참여하여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였다. 상
•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우리 사회는 어떤 점이 달라졌나요?
•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발전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인가요? 토의에 잘 참여하였으나,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지 못
6월 민주 항쟁 이후 대통령 직선제로 선출된 역대 대통령
하였다. 중
2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알게 된 점을 써 보자.
토의에 잘 참여하지 않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지
하
못하였다. 13대 노태우 14대 김영삼 15대 김대중 16대 노무현
(1988. 2. ~ 1993. 2.) (1993. 2. ~ 1998. 2.) (1998. 2. ~ 2003. 2.) (2003. 2. ~ 2008. 2.)
정리
6월 민주 항쟁에서 시민들은 대통령 ( 간선제 / 직선제 )를 요구하였다.
20대 윤석열 19대 문재인 18대 박근혜 17대 이명박
(2022. 5. ~ ) (2017. 5. ~ 2022. 5.) (2013. 2. ~ 2017. 3.) (2008. 2. ~ 2013. 2.)
28 28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학습 내용 정리하기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29
• 6월 민주 항쟁 과정에서 나타난 국민들의 민주화 노력을
정리해 봅시다.
확인해요
– 민주화 운동을 하다 감옥에 들어간 사람들을 석방한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6월 민주 항쟁에서 시민들은 대통령 ( 간선제 /
➎ 활동해요 _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을 되짚어
직선제 )를 요구하였다.
보기
차시 예고하기
1. 다음 질문을 읽고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 다음 시간에는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 과정에 대해 공
예시 답안
부하겠습니다.
•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판서하기
6월 민주 항쟁 등 학생들과 시민들의 끊임없는 민주
화 노력을 통해 발전하였습니다. 2. 6월 민주 항쟁의 과정
전두환 정부의 독재를 반대하고 대통령 직선제로 헌
•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국민이 원하는 대통령을 직접
선출하고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는 등 사회에 변화가 법을 바꿀 것을 요구하는 시위가 전국에서 일어남.
전두환 정부가 시위를 진압하려 했지만, 학생들과
생겼습니다.
•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각계각 시민들은 격렬하게 항쟁함.
층의 사람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민주화를 위해 끊임 3.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없이 노력하였기 때문입니다. 전두환 정부가 당시 대통령 후보였던 노태우를 내
세워 6·29 민주화 선언을 발표함.
2.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알게 된 점을
우리나라의 오랜 독재가 끝나게 되었음.
써 보자.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