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8 - ele_society_6-1_tutor
P. 148
7~8 차시
교과서 29 쪽
4 6월 민주 항쟁 이후 지방 자치제의 실시 시민 참여의 확대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을 되짚어 보기 1990년대부터는 지역의 일을 각 지역에서 스스로 결정하고 처리하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적인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시민들이
민주화 과정을 알아볼까요 는 지방 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 지역 주민들은 지역을 대표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더 자유롭게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많은
하는 지방 의회 의원과 지방 자치 단체장을 직접 선출하고 있다. 선출 시민 단체가 결성되어 공정한 사회를 만들고 시민의 권리를 보장받기
된 지역 대표는 주민의 의견을 모아 지역의 문제를 민주적으로 해결 위한 운동을 활발하게 벌이고 있다. 시민 단체의 활동은 우리나라의
대통령 직선제 시행 하고 있다. 각종 사회 제도와 사람들의 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헌법이 개정되어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이 밖에도 노동 환경 개선 운동,
양성평등 실천 운동 등
뽑게 되었다. 대통령 직선제는 민주적인 절차가 지켜지는 가운데 오늘 다양한 시민운동이 우리 사회가
지방 자치제 실시가 가져온 변화
날까지 계속 시행되고 있다. 변화하는 데 영향을 주었어.
시민 단체들의 다양한 활동
높은 열기 줄 이은 주권 행렬 우리 지역의 대표는 우리가 직접 뽑자 !
환경 보호 운동 인권 보호 운동
주민의 복지 향상을 위해
병원 세우기
지역 축제 활성화로
관광객 늘리기
1 다음 질문을 읽고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기업을 이끌어 들여
지역 일자리 만들기
•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나요? 13대 대통령 투표 행렬(『동아일보』, 1987. 12. 16.) 19대 대통령 투표 행렬
•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우리 사회는 어떤 점이 달라졌나요? 지방 자치제는 5·16 군사 정변 때 폐지되었다가 이에 따라 각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지역 발전을
•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발전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인가요? 1990년대부터 다시 시행되었다. 위한 정책을 주도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6월 민주 항쟁 이후 대통령 직선제로 선출된 역대 대통령
지역 예산으로 지하철역에
2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알게 된 점을 써 보자. 친환경 빗물 제거기를 사회 복지 발전 운동 소비자 권익 향상 운동
설치하면 어떨까요?
좋은 민주주의 지역 발전
13대 노태우 14대 김영삼 15대 김대중 16대 노무현 생각이에요.
(1988. 2. ~ 1993. 2.) (1993. 2. ~ 1998. 2.) (1998. 2. ~ 2003. 2.) (2003. 2. ~ 2008. 2.) 지
방
자
치
6월 민주 항쟁에서 시민들은 대통령 ( 간선제 / 직선제 )를 요구하였다. 지역 주민들은 지역의 일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 지방 자치제를 실시함으로써 지역 발전과 민주
20대 윤석열 19대 문재인 18대 박근혜 17대 이명박
(2022. 5. ~ ) (2017. 5. ~ 2022. 5.) (2013. 2. ~ 2017. 3.) (2008. 2. ~ 2013. 2.) 게 되면서 지역의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주의 발전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29 30
28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29 30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31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수업의 흐름 • 6월 민주 항쟁이 일어난 원인은 무엇인가요?
6월 민주 항쟁 과정에서 나타난 국민들의 민주화 – 전두환 정부가 국민의 직선제 개헌 요구를 무시하였
도입
노력 떠올리기 기 때문입니다.
➊ 대통령 직선제 시행 살펴보기 • 6월 민주 항쟁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➋ 지방 자치제의 실시 알아보기
– 전국에서 학생들과 시민들이 독재 타도, 대통령 직선
➌ 아 ! 그렇구나 지방 자치제 실시가 가져온 변화
전개 ➍ 시민 참여의 확대 살펴보기 제로의 헌법 개정 등을 외치며 시위를 벌였습니다.
➎ 아 ! 그렇구나 해시태그 운동 – 전두환 정부가 시위를 진압하려 하였지만, 학생들과
➏ 활동해요 우리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들의 시위는 계속되었습니다.
시민운동 참여하기
• 6월 민주 항쟁의 결과는 무엇인가요?
정리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 과정 정리하기
– 대통령 직선제 내용을 포함한 6·29 민주화 선언이
발표되었습니다.
– 오랜 독재가 끝나고 민주적인 사회로 거듭나게 되었
습니다.
146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