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0 - ele_society_6-1_tutor
P. 150
7~8 차시
교과서 32~33 쪽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국가의 일이나 사회 문제를
두고 사람들 간의 소통이 더욱 활발해졌다. 온라인 서명 운동이나 우리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운동 참여하기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를 활용하여 누구나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에 우리 주변의 문제를 생각해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운동을 친구들과 함께
계획하고 참여해 보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 결과 사회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참여하는 시민층이 확대
1 우리 주변의 문제와 해결 방법을 2 어떤 방법으로 시민운동을 할 것
되었고 시민들의 영향력도 더욱 커졌다. 떠올린다. 인지 결정한다.
그러게. 우리 학교에
운동장에서 놀 때
촛불 집회 미세 먼지 농도를 알 수 미세 먼지 신호등이 캠페인 활동 벌이기
설치되면 좋겠어.
없어서 불편해. 누리집에 글 올리기
온라인 서명 운동 하기
3 실천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고, 4 친구들과 소감을 나눈다.
직접 참여해 본다. 앞으로도 우리 주변의
누리집에 직접 참여해 보니 문제에 꾸준히 관심을
글을 올릴게 ! 정말 뿌듯했어. 가져야겠어.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소통하면서
대규모 집회가
확산되기도 해.
우리 주변의 문제점
해시태그 운동 해결 방법
□ 캠페인 활동 벌이기 □ 누리집에 글 올리기
해시태그 운동이란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상에서 사람들이 활동 방법 □ 온라인 서명 운동 하기 □ 기타 ( )
같은 해시태그를 달며 사회적으로 화제를 일으키는 운동이다. • 문제 해결을 요구할 대상 :
오늘날 인종 차별,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루며 사회에 실천 계획 • 실천할 날짜 :
• 실천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 :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참여한 후 느낀 점
해시태그 운동은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사람들의
지지와 관심을 빠르게 모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순
히 해시태그를 달기만 한다면 일시적인 화젯거리에 그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활동 노력도 필요하다.
해시태그 특정 낱말이나 문구 앞에 해시 기호인 ‘#’을 붙여 써서 관련 정보를 묶거
오늘날 시민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검색에 활용하도록 하는 표시 방법. 최고야 잘했어 아쉬워
32 32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33 33
• 2000년대부터는 어떤 변화가 생겼나요? ➎ 아 ! 그렇구나 _ 해시태그 운동
–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국가의 일이나 사회 문제를 •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상에서 사람들이 같은 해시태그
쉽게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를 달며 사회적으로 화제를 일으키는 운동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사람들 간의 소통이 더욱 활
발해졌습니다. – 해시태그 운동이라고 합니다.
• 인터넷의 대중화로 사회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참여 • 해시태그 운동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나요?
하는 방법이 어떻게 달라졌나요? – 인종 차별,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루며 사회에
– 온라인 서명 운동,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를 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용한 의견 제시 등 사회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 해시태그 운동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참여하는 방법이 이전보다 다양해졌습니다. –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의 대중화가 사회 공동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 – 빠른 속도로 사람들의 지지와 관심을 모을 수 있습
여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니다.
– 사회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참여하는 시민층이 • 해시태그 운동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에는 무엇이 있나요?
확대되었습니다. – 단순히 해시태그를 달기만 하고 실제로 문제 해결을
– 시민들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위해 활동하지 않는다면, 일시적인 화젯거리에 그
• 오늘날 열리는 대규모 집회는 온라인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 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촛불 집회 등 대규모 집회는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 해시태그 운동이 사회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노
소통하면서 확산되기도 합니다. 력이 필요할까요?
148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