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3 - ele_society_6-1_tutor
P. 183
– 국가 기관의 누리집을 방문하여 자신의 의견을 올릴 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1
수 있습니다. – 투표는 한 나라의 주인으로서 행사할 수 있는 당연
단원
– 우리가 원하는 법이나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 시민 한 권리이기 때문입니다.
단체의 활동이나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외국에 살고 있다고 해서 선거를 하지 못하게 하는
수업 제안 공공 기관 누리집에 의견 쓰기, 언론사의 인터넷 것은 국민 주권의 원리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게시판에 글쓰기, 인터넷 기사에 댓글 달기 등 다양한 정치 참여
방법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직접 실천해 보도록 할 수 있다. 정리
학습 내용 정리하기
➎ 별별 이야기 _ 어디에 있든지 투표할 수 있어요
• 국민 주권의 뜻을 정리해 봅시다.
• 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은 우리나라 대통
• 생활 속에서 국민 주권이 적용된 사례를 정리해 봅시다.
령 선거에서 투표를 할 수 있을까요?
• 국민 주권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태도를 정리해 봅시다.
– 외국에서 살고 있어도 우리나라 국민이므로 투표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확인해요
– 우리나라에 살고 있지 않으므로 투표를 할 수 없을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것 같습니다.
① ( 주권 )은/는 나라의 일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 선원들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면 몇 달 동안 배에서 생
있는 최고의 권력을 말한다.
활하기도 합니다. 만약에 선거를 하는 날에 먼 바다에서 배
② 국민이 나라의 중요한 일을 스스로 결정하는 민주
를 타고 있다면 투표를 할 수 있을까요?
정치의 원리를 ( 국민 주권 )(이)라고 한다.
– 선거를 하는 날에 투표소에 갈 수 없으므로 투표를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분명
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히 하고 있다. ( ◯, × )
– 투표소에 갈 수 없어도 투표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
국민은 선거에 참여함으로써 주권자로서의 권리를
을 것 같습니다. 실천할 수 있다. ( ◯, × )
수업 제안 별별 이야기의 사례를 제시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외국에 살고 있는 국민은 우리나라 선거에서 투표를 할 수 있을 차시 예고하기
지, 먼 바다에서 배를 타고 있는 선원들은 투표를 할 수 있을지
• 다음 시간에는 국가 기관인 국회가 하는 일을 공부하겠습
예상해 보도록 한 후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니다.
• 교과서 59쪽의 첫 번째 사례는 어떤 내용인가요?
– 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도 국회 의 판서하기
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다는 내용
5. 국민 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
입니다. 우리 국민은 독재와 장기 집권을 위한 부정 선거,
– 헌법재판소가 외국에 살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도 선 언론 탄압 등에 맞서고 국민 주권을 지키기 위해
거에서 투표할 수 있어야 한다고 결정을 내렸습니다.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등
• 두 번째 사례는 어떤 내용인가요? 을 일으킴.
– 대통령 선거나 국회 의원 선거를 하는 날에 먼 바다 국민 주권을 지키려고 노력하여 정치 발전을 이
룩함.
에서 배를 타고 있어서 투표소에 올 수 없는 선원들
은 배 위에서 투표를 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6. 국민 주권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함.
– 선원들은 배에서 팩스를 이용하여 투표할 수 있다는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고 함께 행동함.
내용입니다.
자신의 의견을 캠페인, 온라인 서명 운동 등의 다
• 외국에 살고 있는 사람이나 투표하는 날에 배에 타고 있어
양한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알림.
서 투표를 하기 힘든 사람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