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ele_society_6-1_tutor
P. 44

(나) 성취 기준 해설
                              •   이 단원은 고대 시기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나라의 성장과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의 삶을 알아보고,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   [6사 03- 01], [6사 03- 02]에서는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살펴보고, 고대 시기(삼국,
                                 통일 신라, 발해)에 나라를 세우고 발전시킨 인물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의
                                 성장 과정을 파악하도록 한다. 인물들의 생애사보다는 나라의 발전과 관련된 주요한
                                 사건들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인물의 활동을 조명하도록 한다.

                              •   [6사 03- 03], [6사 03- 04]에서는 대표적인 인물들의 활동과 문화유산을 통해 고려의
                                 개창과 외침 극복, 제도 정비 과정 등을 이해하고 고려 문화의 우수성을 파악하도록
                                 한다.
                              •   [6사 03- 05], [6사 03- 06]에서는 조선을 세우는 데 공헌한 인물들의 업적을 이해하

                                 고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의 활동을 통해 조선 전기 문화의 우수성을 파악하도록
                                 한다. 또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들의
                                 활동을 통해 역사적인 교훈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과거의 문화유산을 이해하거나 사람들의 삶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기 위해 극화 학습
                                 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문화유산 학습의 경우 그와 관련된 설화에 등장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할 수 있다.
                              •   인물 및 문화유산과 관련된 사진, 동영상, 지도 등의 시청각 자료와 위인전, 이야기책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주변에 역사적 인물과 문화유산과 관련된 장소가 있다면 이를 적극 활용하여 현장 학
                                 습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때 준비 및 정리 활동을 통해 장소가 갖는 역사적 의의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역사 지도 등을 이용하여 대외 관계 및 국난 극복의 과정, 각 나라의 영토 범위 등을
                                 시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역사적 맥락과 주변국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서술형 평가, 보고서법, 포트폴리오법 등을 활용하여 고대 시기부터 조선 전기에 이
                                 르는 인물과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다.
                              •   극화 학습을 통해 평가할 경우 체크리스트법, 상호 평가 방식 등을 활용하거나 활동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활용할 수 있다.

                              •   프로젝트법을 활용할 경우 인물이나 문화유산 관련 역사 신문 만들기 등의 과제를 부
                                 과하여 평가할 수 있다.
                              ② 유의 사항
                              •   서술형 평가의 경우 단편적인 사실 지식을 측정하기보다는 문화유산 및 인물들과 관련

                                 된 사건 혹은 사실들을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연관지어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42   총론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