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9 - ele_society_6-2_tutor
P. 179

~                                              가나 부족들의 장례식: 가나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천
                  14 15 차시                                                                                         1
                                                                    당으로 간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에 장례를 축제처럼
                    젠네의 모스크                                                                                        단원
                                                                    치른다. 장례 당일 아침에는 큰 북을 울리며 함께 조
                   젠네의 모스크는 1280년에 세워졌으나 파괴된 것을 옛                   가(弔歌)를 부른다.
                 모습 그대로 복원한 것이다. 야자나무로 골조를 만들고                        특히 장례에 사용하는 관 모양이 독특한데, 고인이
                 진흙으로 지은 웅장한 구조물로, 네 변의 길이는 150 m,                  평소 좋아했거나 가지고 싶어 했던 것들을 관 모양으
                 높이는 20 m이다. 진흙 건축물로는 세계 최대라는 젠네                    로 제작한다. 이렇게라도 고인의 한을 풀어 주려는 의
                 의 모스크는 허허벌판 위에 솟아오른 웅장한 성처럼 보                      도와 함께 재미라는 요소를 도입한 것이다.

                 여 보는 이를 압도한다.                                                                ◀ 요즘에는 동물, 자동차
                   일반적으로 모스크 하면 떠오르는 돔 지붕이나 첨탑                                                등 죽은 사람이 좋아했던
                                                                                              것, 또는 그들의 직업을 나
                 이 없는 형태를 통해 아프리카화한 이슬람 건축물의 진                                                타내는 독특한 관을 만들
                                                                                              어 죽은 사람을 기리기도
                 수를 볼 수 있다. 진흙 때문에 온통 붉은색인 건물 곳곳                                              한다.
                 에 가로로 박힌 나무 지주가 밖으로 튀어나와 장식 효과
                 를 내고 있다. 우기에 진흙이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우
                                                                   -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회, 『세계의 장례와 문화』, 구름서재,
                 기가 끝나면 한 달간 보수 공사를 한다.
                                                                                               2019, 237쪽, 240쪽 -
                  16   차시                                            라마단
                                                                    라마단은 이슬람력에서 9월을 뜻하며, 천사 가브리엘
                    시에스타
                                                                  이 무함마드에게 『쿠란』을 가르친 신성한 달이다. 이슬
                   점심을 먹은 뒤 잠깐 자는 낮잠을 ‘시에스타’라고 한                  람교도는 이 기간 동안에는 일출에서 일몰까지 의무적
                 다. 지중해 연안 및 라틴아메리카, 서남아시아의 일부                    으로 금식하고 날마다 다섯 번의 기도를 드린다. 여행
                 나라에서 나타난다. 시에스타 시간은 나라마다 다르지                     자, 병자, 임신부 등은 면제되지만, 그 대신 이후에 별도

                 만, 에스파냐는 오후 1~4시, 이탈리아는 오후 1시~3시                 로 수일간 금식해야 한다.
                 30분, 그리스에서는 오후 2시~4시까지 시행한다. 이 시                   라마단은 이슬람교에서 신자에게 부여된 다섯 가지
                 간에는 상점이나 음식점, 관공서까지 문을 닫는다. 최근                   의무 가운데 하나이며, ‘라마단’이라는 용어 자체가 금식
                 일부 국가에서는 관공서 시에스타를 폐지하였다.                        을 뜻하는 경우도 있다.
                   시에스타로 인해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게으르다                      라마단 기간에는 해가 떠 있는 동안에 음식을 먹는 것
                 고 여겨지기도 했지만, 과학적 연구를 통해 30분 정도의                  뿐만 아니라 물, 담배 등도 금지된다.
                 짧은 낮잠은 원기를 회복하고 지적·정신적 능력을 향상                                          - 『매경프리미엄』, 2019. 5. 16. -

                 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다른 문화를 보는 관점
                    서아프리카의 춤추는 장례식 풍속                                문화 상대주의: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한 사회의

                   말리 부족들의 장례식: 도곤족의 장례는 참석자들에게                    문화를 그 사회가 처한 특수한 환경과 역사적·사회적
                  장엄한 가면을 씌우고 군무를 추는 것으로 유명하다.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태도이다.
                  사후에는 고인의 영혼과 활력이 육체에서 분리되어 불                       자문화 중심주의: 자기가 속한 사회의 문화만이 우월하
                  안정한 상태에 있다고 믿기 때문에 영혼을 고인의 집에                    다고 생각하며, 다른 사회의 문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
                  묶어 두기 위해서이다. 이들의 장례는 먼저 죽음을 애                    고 배척하는 태도이다.

                  도하고 사후 세계로 영혼을 보내는 단계와 고인을 조상                      문화 사대주의: 다른 사회의 문화를 수준 높고 우수한
                  들의 혼령으로 바꿈으로써 새로운 사회 관계를 맺는 단                    것으로 여기고, 자기가 속한 사회의 문화를 부정적으로
                  계로 진행된다.                                         여기는 태도이다.


                                                                                                         177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과 문화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