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7 - ele_society_6-2_tutor
P. 177

사막 지역의 전통 의복                                     서부 유럽의 농업                                     1

                   사막 지역은 햇볕이 피부에 화상을 입힐 정도로 뜨겁고                    서부 유럽은 과거에 빙하로 덮였던 지역으로 땅 표면
                                                                                                                   단원
                 습도가 매우 낮다. 그래서 사람들은 헐렁하게 늘어지는                    이 매우 얕아 토양은 비옥하지 않지만, 기후가 온화하고
                 천으로 온몸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의 옷을 주로 입는다.                   강수량이 적당하여 목초 재배에 알맞다. 이러한 조건을
                 이러한 의복은 통풍이 잘되고, 모래바람과 큰 일교차로부                   이용하여 서부 유럽에서는 경작지에 밀과 보리 등의 식
                 터 몸을 보호해 준다.                                     량 작물을 재배하고, 다른 곳에 사료 작물을 재배하여 가
                   얼굴에 적당한 그늘을 만들어 주는 두건 역시 매우 중                  축을 기르는 혼합 농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요하다. 여성이 쓰는 차도르나 남성이 쓰는 케피에는 낮                     19세기 후반 이후에는 신대륙에서 값싼 육류가 수입
                 에는 뜨거운 햇볕과 모래바람을 막아 주고, 밤에는 몸에                   되자 대도시를 시장으로 하는 낙농업과 원예 농업이 발
                 둘러 체온을 유지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달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오늘날까지 서부 유럽에서는

                                                                  혼합 농업, 낙농업, 원예 농업 등의 상업적 농업이 활발
                    흙집
                                                                  히 이루어지고 있다.
                   사막 지역은 강수량이 부족              평평한 지붕
                                                                     지중해성 기후 지역의 수목 농업
                 하여 나무가 자라기 어려우므
                                                      작은 창문
                 로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흙을                                   지중해 연안에서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중해식
                 재료로 벽돌을 만들어 집을 지                                 농업이라고도 한다. 지중해성 기후 지역에서는 고온 건
                 었다. 낮에는 강한 햇볕을 막                                 조한 여름철 기후 조건을 활용하여 포도, 오렌지, 레몬
                 고 밤에는 추위를 막기 위해 집           좁은 골목   두꺼운 벽        등을 재배하였다. 특히 고온 건조한 기후에 잘 견디는 올
                 의 벽은 두껍고 창문은 작게 만들며, 비가 거의 오지 않                  리브를 많이 재배하였다. 반면 겨울에는 비가 자주 내리
                 아 배수의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지붕은 평평하게 만들                    고 기온이 온화하므로 밀, 보리 등을 재배하는 곡물 농
                 었다. 또한 강한 햇빛을 피할 수 있는 그늘이 생기도록                   업이 이루어진다.
                 건물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여 다닥다닥 붙여 지었다.
                                                                     아시아 지역의 벼농사

                    유목                                              벼는 전 세계의 90 % 이상이 아시아에서 재배되고 있
                   물과 풀을 찾아 가축과 함께 이동하며 생활하는 목축                   다. 그중에서 벼농사를 많이 짓고 있는 나라는 중국, 인
                 업 방식으로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북부 아프리카에                    도 등이다. 쌀은 단위 면적당 인구 부양력이 높아 전통
                 걸쳐 분포하는 스텝 기후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최                   적인 벼농사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게 나타나며, 생산지

                 근에는 석유 등의 자원 개발과 도시화의 진행, 지하수와                   인 벼농사 지역에서 주로 소비된다.
                 바닷물의 담수화를 이용한 관개 농업의 확대로 정착 생                       툰드라 기후 지역의 생활 모습
                 활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툰드라 기후 지역에서는 순록, 바다표범 등 툰드라의
                    게르                                            혹독한 추위에 적응한 동물들의 털을 이용하여 만든 온
                                                                  몸을 감싸는 형태의 옷을 입는다. 신발은 순록의 가죽으
                   몽골 사람들은 가축에게 먹일 풀이 있는 곳을 찾아 자
                                                                  로 만든 것을 두 겹으로 신는다.
                 주 옮겨 다니며 생활하였기 때문에 짓기도 편하고 헐기
                                                                    툰드라 기후 지역에서는 생활에 필요한 대부분의 것
                 도 편한 ‘게르’라는 큰 천막집을 짓고 살았다. 게르는 나
                                                                  을 순록에게서 얻는다. 순록의 젖과 고기는 먹고, 가죽
                 무로 된 큰 우산살 같은 것을 펼쳐 지붕 뼈대를 만들고,
                                                                  은 의복과 천막집, 구두, 장갑, 가죽끈 등의 생활용품을
                 나무 기둥을 세운 다음 양털로 짠 넓은 천을 덮어서 완
                                                                  만드는 데 사용하며, 순록의 뼈와 뿔로는 칼이나 장식품
                 성하였다.
                 - 김현숙,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재미있는 의식주 이야기』,           을 만든다. 또한 순록이 끄는 썰매를 교통수단으로 이용
                                   23권, 가나출판사, 2013, 186~187쪽 -   하기도 한다.


                                                                                                         175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과 문화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