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6 - ele_society_6-2_tutor
P. 176
쾨펜의 기후 구분 지붕과 벽은 야자나뭇잎이나 바나나잎을 엮어 만들고,
세계의 기후 체계와 기후 지역 구분은 기후학자 쾨펜 바닥은 나무를 엮어 만든다.
의 연구를 기초로 한다. 쾨펜은 식생 분포를 바탕으로 기
화전 농업
후를 나누었다. 먼저 나무가 자랄 수 있는 기후와 자랄
수 없는 기후로 나누어 나무가 자랄 수 있는 기후는 기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은 비가 많이 내려 땅속의 영양분
온에 따라 더운 열대 기후, 온난한 온대 기후, 추운 냉대 이 폭우에 쉽게 쓸려 나가며 나무가 우거져 농경지를 개
기후로 나누었다. 그리고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기후는 간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삼
기온은 높지만, 강수량이 너무 적어서 나무가 자라지 못 림이나 초지를 불태워 경지를 만든 후에 얌, 카사바, 옥
하는 건조 기후와 너무 추워서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한 수수 같은 식량 작물을 재배하였다.
대 기후로 나누었다.
•더운 기후
열대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위 20 ℃ 사이에 분포
기후
•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 18 ℃ 이상
나무가 ▲ 얌 마와 비슷한 뿌리 식물 ▲ 카사바 고구마처럼 생긴 뿌리 식물
온대 • 온화하고 사계절이 나타나는 기후
자랄 수
기후 •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 -3 ℃~18 ℃
있는 기후 경작지를 만든 후 3~4년 동안 농사를 지으면 토양이 척
• 추우면서 사계절이 있는 기후
냉대 박해지기 때문에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경지를 만
•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 -3 ℃ 이하, 가장
기후 들었다. 이러한 방식의 화전 농업이 지나치게 많이 이루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 10 ℃ 이상
건조 • 강수량이 적어서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기후 어지면서 열대 우림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나무가
기후 • 연 강수량 500 mm 이하
자랄 수
한대 • 추워서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기후 플랜테이션
없는 기후
기후 •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이 10 ℃ 이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기업적인 농업
- 김은하, 『방방곡곡 세계 지리 여행』, 봄나무, 2019, 54쪽 - 경영 방식으로, 선진국들의 자본과 기술, 무더운 기후를
견딜 수 있는 원주민이나 이주 노동자의 값싼 노동력을
11 12 차시 이용하였다. 주로 무역
~
품으로서 가치가 높은
밀림
고무, 차, 커피, 카카오,
밀림 또는 정글(jungle)은 열대 기후 지역에 자리 잡은
사탕수수, 바나나 등의
빽빽한 숲을 부르는 말이다. 일 년 내내 고온 다습한 기후
한 가지 작물만 대규모 ▲ 카카오 초콜릿의 원료로 이용된다.
가 이어지는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은 식물의 크기나 생장
로 재배하였다. 지역적으로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속도가 매우 빨라 다양한 종류의 상록 활엽수가 우거진 밀
인도, 스리랑카를 비롯하여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림이 형성된다. 생물종의 다양성이 가장 높은 밀림은 다
지의 식민지 및 반식민지에서 이루어져 왔다.
양한 종류와 크기의 나무들로 이루어져 있다.
고상 가옥 오아시스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은 연중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 사막 안에 있는 낮은 웅덩이에 지하수가 솟아 나와 물
아 매우 덥고 습하기 때문에 지면에서 올라오는 뜨거운 이 고여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지표면의 모래
열기와 습기를 차단하고, 뱀이나 각종 해충 등을 피하는 층 아래에 고여 있는 풍부한 지하수가 단층 등의 수맥이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집을 지을 때 땅에 기 끊어진 틈을 따라 스며 올라오면서 만들어진다. 사막 지
둥을 박고, 집의 바닥 면을 띄워서 짓는 것이 일반적이 역에서는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는데, 사막
다. 바람을 잘 통하게 하려고 문과 창문은 크게 만들며, 지역 인구의 약 70 %가 이곳에 정착하여 생활한다.
174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