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5 - ele_society_6-2_tutor
P. 175
수업 참고 자료
1
단원
것과 관련 깊다. 저위도일수록 태양이 좁은 범위에 수직
10 차시
으로 내리쬐어 기온이 높지만,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이
기후와 날씨
넓은 범위를 비스듬하게 내리쬐면서 태양의 복사 에너지
기후는 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기간 나타나는 대기 현 양이 줄어들어 기온이 낮다.
상의 평균적인 상태를 말한다. 날씨가 시시각각 변화하 하지만 적도 부근이라고 해서 모두 기온이 높은 것은
는 순간적인 대기 현상이라면, 기후는 장기간의 대기 현 아니다. 적도 가까이에 있는 케냐의 킬리만자로산 정상
상을 종합한 것이다. 은 연중 흰 눈에 덮여 있는데, 이것은 해발 고도가 높기
기후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날씨가 사람들의 때문이다. 해발 고도가 100 m 상승할 때마다 기온은 약
삶에 미치는 영향이나 날씨의 물리적 과정에 대한 충분 0.65 ℃씩 낮아진다. 킬리만자로산의 높이가 5,895 m임
한 이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비가 내리면 우산을 쓰 을 고려하면 산 정상의 기온은 아래보다 약 38.35 ℃
고, 더우면 시원한 옷을 입는 것은 날씨에 대한 사람들 (0.65×59) 정도 낮다. 즉 산 아래가 30 ℃라면 산 정상
의 반응이다. 어느 지역에 살든 상관없이 사람들은 같은 은 -8.35 ℃ 정도로 낮아 쌓인 눈이 녹지 않는 것이다.
반응을 보인다. 이처럼 기후를 구성하는 주요 기후 요소인 기온은 위
그러나 기후에 대한 반응은 지역마다 다르다. 사람들 도와 해발 고도 등의 기후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
은 오랜 경험을 통해 기후 환경에 적절히 적응하면서 독 서 어떤 지역의 기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후를 구성
특한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 눈이 많이 내리는 곳은 지 하는 기후 요소의 특색을 잘 알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붕의 경사가 급하다. 바람이 강한 지역에서는 바람에 견 기후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
딜 수 있는 구조의 주거를 만든다. 다시 말해 기후라는 하다.
용어에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개념이 반영되어 - 전국지리교사연합회, 『살아 있는 지리 교과서』 1, 휴머니스트,
있다. 이것이 날씨와의 차이점이다. 2011, 82~83쪽 -
- 반기성, ‘지구 과학 산책’(terms.naver.com) -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
기온
“열대 기후는 일 년 내내 덥고 비가 많이 내린다.”, “온
기후의 지역 차가 나타나는 가장 기본적인 까닭은 위
대 기후는 기온과 강수량이 적당하고, 지역에 따라서는
도에 따른 기온 차이 때문이다. 태양 빛이 지표면에 수
계절풍이나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이처럼 우리는 각
직으로 내리쬘 때 지표면 온도가 가장 높으며, 비스듬히
기후의 특색을 이야기할 때, 주로 기후의 3요소라고 불
내리쬘 때에는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런데 지구에
리는 기온, 강수량, 바람 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기온,
서 태양과 지구 표면이 수직일 수 있는 한계 위도가 있
강수량, 바람 외에도 습도, 일사량, 안개, 서리 등과 같
다. 이를 각각 북회귀선과 남회귀선이라고 한다.
이 대기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들을 일컬어 기후를 구성
저위도 지역에 열대 기후가 나타내는 것은 이 지역이
하는 ‘기후 요소’라고 한다. 각 기후 요소는 지역에 따라
일 년 내내 남·북회귀선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반
다르게 나타나는데 지역에 따라 위도, 지형, 해발 고도,
면, 중위도 지역은 일 년 중 일부 기간에만 태양과 수직
수륙 분포, 해류, 기단, 전선 등의 ‘기후 요인’이 다르기
인 상태이고, 나머지는 비스듬히 내리쬐기 때문에 기온
때문이다.
의 변화가 크다. 위도 60° 부근의 일사량은 적도의 절반
적도가 지나는 아프리카 기니만 연안에 있는 카메룬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
은 연평균 기온이 25 ℃~30 ℃에 이르고, 연평균 강수
수록 기온은 낮아지며 계절별 온도 차도 커진다.
량은 1,500 mm일 정도로 연중 덥고 비가 많이 내리는 - 김영래 외, 『세계 지리: 경계에서 권역을 보다』, 사회평론, 2020,
열대 우림 기후가 나타난다. 이는 카메룬의 위도가 낮은 142쪽 -
173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