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5 - ele_society_6-2_tutor
P. 235
수업 참고 자료
1 차시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도
독도는 동해 2,000 m 아래에서 분출된 용암이 굳어져 2
독도의 영토 주권 행사
형성된 화산섬으로, 그 형성 시기는 대략 460만 년 전부 단원
현재 대한민국은 독도에 대해서 입법·행정·사법적으
터 250만 년 전 사이로 추정된다. 이는 약 250만 년 전
로 확고한 영토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그 근
에 형성된 울릉도와 약 150만 년 전에 형성된 제주도보
거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이 상주하여 독도
다 먼저 형성된 것이다. 독도의 지질은 화산 활동에 의
를 경비하고 있다. 둘째, 우리 군이 독도 영해와 영공을
하여 분출된 알칼리성 화산암인 현무암 및 조면암 등으
수호하고 있다. 셋째, 독도 관련 각종 법령을 시행하고
로 구성되어 있다. 독도는 최고 높이가 약 2,000 m가 넘
있다. 넷째, 등대와 접안 시설 등 여러 가지 시설물을 설
고, 하부 지름이 약 30 km에 이르는 대형 화산의 일부이
치·운영하고 있다. 다섯째, 우리 국민이 독도에 거주하
다. 독도 주변 바다에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1,000 m
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이 독도에 대한 관리, 통제 능력
이상의 이사부 해산, 심흥택 해산, 안용복 해산이 있다.
을 가져 실제로 통치하고 있는 것을 뜻한다.
깊이 (m)
- 외교부 독도, 『한국의 아름다운 섬, 독도(팸플릿)』(dokdo. 울릉도
-2500 -2000 -1500 -1000 -500 0 500
mofa.go.kr) - 안용복 해산
독도
독도의 현황 심흥택 해산 이사부 해산
독도는 신라 시대 이사부가 우산국을 편입한 512년부
터 우리 영토가 되었다. 독도(獨島)라는 이름은 1906년
▲ 독도 주변의 해저 지형도
울릉 군수 심흥택이 최초로 사용하였으며, 1914년 행정
- 동북아역사재단, 『고등학교 독도 바로알기』, 2017, 19쪽 -
구역 개편으로 경상북도에 편입되었다. 독도의 총면적
은 약 187,554 ㎡이며, 동도와 서도 간 최단 거리는 해안
선을 기준으로 약 151 m이다. 2019년 12월 기준으로 독 독도의 기후
도의 주민 등록상 거주민은 14명이고, 경비대원 약 40 독도는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
명, 등대 관리원 3명, 울릉군청 소속 독도 관리사무소 직 후로 연평균 기온은 약 12 ℃이다. 1월 평균 기온은 약
원 2명이 독도에서 근무하고 있다. 1 ℃로 비교적 온난하며, 8월 평균 기온은 24 ℃를 넘지
- 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국가 지도집 Ⅰ』, 2019, 23, 26쪽 -
않는다.
연평균 강수량은 1,400 mm 정도로 우리나라의 평균
독도 등대
강수량과 거의 비슷하다. 겨울철 강수는 대부분 적설 형
우리 정부는 1954년 8월 10일 동도에 무인으로 운영
태로 폭설이 자주 내리는 것이 특징이다.
되는 독도 등대를 설치하였다. 이후 1998년 12월 현재
- 울릉군 독도관리사무소(www.ulleng.go.kr) -
규모로 등대를 보강하고 직원이 상주하는 유인 등대로
전환하였다. 현재 포항지방해양수산청 소속 등대 관리
독도의 생태계
원이 3명씩 2개 조(총 6명)를 이루어 1개월 단위로 교
대 근무를 하고 있다. 1998년 높이 15 m 규모로 재정 독도는 각종 식물, 곤충, 조류,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비된 독도 등대는 10초에 한 번씩 약 46 km 떨어진 곳 또한 철새 이동 경로상 중간 피난처 및 휴식처로서, 우
까지 불빛을 비춰 동해를 지나는 선박의 길잡이가 되 리나라 생물의 기원과 분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연구
고 있다. 가치를 가진다. 이에 따라 독도는 1982년 11월 16일 ‘천
- 『연합뉴스』, 2019. 6. 2. - 연기념물 독도 해조류 번식지’로 지정되었다.
233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