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5 - ele_society_6-2_tutor
P. 265

1  중단원 개관                                        4  중단원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이 단원은 지구촌의 환경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미                   지속 가능한 미래
                 래를 만들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알아보고, 이를 해                    지속 가능한 미래란 오늘날 우리의 건강한 환경과 인                   2
                 결하려고 서로 협력해 노력하는 세계 시민의 자세를 기                    류의 발전이 미래 세대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사회적 지
                                                                                                                   단원
                 르고자 설정되었다. 먼저 지구촌에서 발생하고 있는 환                    속 가능성(평화와 평등), 환경적 지속 가능성(보전), 경
                 경 문제를 찾아보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알아보면서                    제적 지속 가능성(적당한 개발), 정치적 지속 가능성(민

                 직접 실천하려는 자세를 기른다. 한편 환경 문제 외에 지                  주주의) 모두가 유지되는 사회이다.
                 구촌의 건강한 환경과 인류의 발전을 위협하는 빈곤과                        - 최돈형, 『지속 가능한 미래와 학교 환경 교육』, 한국환경교육학회,
                 기아 문제와 문화적 편견과 차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2005, 29쪽 -
                 조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탐구한다. 마지막                    세계 시민(Global citizen, 世界市民)
                 으로 세계 시민의 역할과 책임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지                      세계 시민이란 지구촌 문제가 우리의 문제임을 알고 이

                 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자                    를 해결하고자 협력하는 자세를 지닌 사람이다. 세계 시
                 세를 지니도록 한다.                                      민은 지구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폭넓게 인식하고, 다
                                                                  양성을 존중한다. 또한 어떻게 세계가 정치·경제·사회·
                  2  중단원 목표                                       문화·기술·환경 분야의 영역에서 작동되는지 이해하고,

                                                                  사회적 불공정에 저항하며, 지역과 세계적 차원에서 공
                           • 지구촌 환경 문제와 그 원인을 알 수 있다.
                    지식                                            동체에 기여하고자 참여한다. 나아가 세계 시민은 지속
                           • 지속 기능한 미래의 의미를 알 수 있다.
                                                                  가능한 장소로서의 세계를 만들려고 행동하며, 그 행동
                           • 지속 가능한 미래를 건설하고자 해결해야 할 과제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일어나는 환경 문제, 빈곤          에 책임 의식이 있는 사람이다.
                             과 기아 문제, 문화적 편견과 차별 문제)를 조사할
                    기능                                                     - 김용신, 『글로벌 시민 교육론』, 이담북스, 2013, 78쪽 -
                             수 있다.
                           •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문제 해            5
                             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및 누리집
                           •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세계 시민의 자              데이비드 웨스트, 올리버 웨스트, 『환경 오염, 지구가
                  가치·태도      세를 알고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려는 자세를             아파요!』, 지구별 어린이, 2021.
                             가진다.
                                                                   -  지구촌에서 일어나는 환경 오염 문제를 삽화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3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녹색연합, 『에코왕 챌린지』, 책밥, 2021.

                                                                   -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지구촌 환경 문제 해결 사례
                                지구촌 환경 문제를
                                                                     를 소개하고 있다.
                                 알아보고 원인과
                                해결 노력 탐색하기                           환경부(me.go.kr)
                                                                   -  환경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국가 정책과 캠페인 등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을 제공하고 있다.
                    지구촌         만들기 위해 해결해야         지속 가능한           지속가능발전포털(ncsd.go.kr)
                     문제          할 과제를 조사한 후        미래 건설
                                해결 방안 제시하기                         -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국가 및 세계의 목
                                                                     표를 안내하고 있다.

                               세계 시민으로서 지구촌                          그린피스(greenpeace.org/korea)
                                 문제에 협력하고                          -  지구촌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행동으로 실천하는
                                참여하는 자세 기르기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63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