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2 - ele_society_6-2_tutor
P. 262

국제연합의 설립 목적: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고                    며, 최빈국과 재난 구호를 대상으로 한 인도적 차원의
            민족의 평등권 및 자결 원칙에 기초하여 국가 간의 우                     활동을 한다.
            호 관계를 발전시키며, 경제적·사회적·문화적 또는 인                      개발 도상국의 장기적 경제 발전 지원을 목적으로 국토

            도적 성격의 국제 문제를 해결한다. 모든 사람의 인권                     개발, 자원 개발, 사회 간접 자본, 농수산 제조업 및 환
            및 기본적 자유에 대한 존중을 촉진하기 위한 국제적                      경 등의 분야에서 개발 조사 대상 기업 발굴, 사전 조
            협력을 달성하며, 이러한 공동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사, 양해 각서 체결 및 본조사 실시 등을 추진한다.
            서 각국의 활동을 조화시키는 중심이 된다.                            우리나라의 경제 개발 경험과 산업 기술을 개발 도상국
              국제연합 회원국 지위: 국제연합은 「유엔 헌장」의 의무                  에 이전해 주기 위하여 연수생을 초청하거나 전문가를
            를 수락하고, 이러한 의무를 이행할 능력과 의사가 있                     파견하는 사업을 한다.
            다고 판단되는 모든 평화 애호국에 개방되어 있다. 유                      개발 도상국에 파견되어 현지 주민들과 함께 생활하면
            엔 가입은 안전보장이사회의 권고에 따라 총회의 결정                      서 그 나라의 경제·사회·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
            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유엔 헌장」은 또한 원칙을 위반                   록 기술·교육·지역 사회 개발 등에 봉사활동을 할 청년

            하는 회원국에 대한 권리 및 특권 행사 정지와 제명에                     해외 봉사단 및 국제 협력 요원의 파견 사업도 한다.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이 규정이 실제로 적용된 예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최빈국 주민들에게 의료를
            는 아직 없다.                                          지원하고 태권도를 보급하여 체육 문화를 전수할 목적
                                   - 외교부 누리집(mofa.go.kr) -    으로 의료단과 태권도 사범을 파견하고 있다.
                                                               국제기구 및 선진 원조 기관과의 공동 협력 사업을 발

              한국국제협력단                                         굴해 추진하고, 정보 교류와 국제 회의 지원 등의 사업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정부 차원의 대외 무상 협                   을 한다. 또한 국내 민간 원조 단체에 대해서도 지원하
           력 사업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우리나라와 개발 도상 국                     여 협력 사업을 다변화하고 사업을 연계시키며 정보를
           가와의 우호 협력 및 상호 교류를 증진하고 이들 국가의                     교류해 개발 도상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원조 효과가

           경제·사회 발전을 지원하여 국제 협력에 기여하고자 설                      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립되었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 -
             본부에서는 사회·경제 개발팀이 분야별 사업 전략을
           수립·추진하고, 4개 지역부(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중
                                                                 ~
                                                              13 14 차시
           남미) 산하 8개 지역 팀(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동·서
           아프리카, 중동·아프가니스탄, 중남미 팀 등)이 국가별                      월드 카페 운영
           세부 사업을 집행한다. 한편 월드프렌즈코리아 사업 본                      주제로 제시된 질문(월드 카페는 질문 형태로 주제를
           부는 한국 정부 파견 해외 봉사단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제시)에 참가자들은 포스트잇, 도식화 등 각종 기록 도
           이 외에도 범분야 이슈인 양성평등, 환경 등에 관한 업                    구를 활용해 자유롭게 대화하고 집단 지성을 통해 새로

           무를 세분화하고 성인지 담당관, 환경 담당관을 지정하                     운 통찰과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함께 찾아 간다. 대
           여, 각각 성평등 중장기 전략과 환경 정책 감독 등을 맡                   화 시간을 정하고 테이블을 여러 번 이동할 수 있도록 함
           고 있다. 해외에서는 28개 해외 사무소 및 16개국 파견                  으로써 여러 주제에 관해 토론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주재원이 각 개발 도상국 현장에서 사업을 총괄·관리하                     모을 수 있도록 한다.
           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카페 형식을 차용하는 것이 핵심인 만큼 최대한 자유
              장기적으로 공여 대상국의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할                    로운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도록 배경 음악과 다과, 카
            수 있도록 수원국 공공 개발 사업에 필요하거나 인간의                    페와 같은 테이블 세팅이 이루어지면 훨씬 더 효과적으

            기본 욕구 충족에 필요한 기자재를 공여하고, 각 협력                    로 진행할 수 있다. 월드 카페는 1995년에 워니터 브라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프로젝트형 사업을 실시하                      운과 데이비드 아이작스가 큰 규모의 토론회가 우천으


           260    각론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