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1 - ele_society_6-2_tutor
P. 261

⑤  마지막 정리 단계에서 교사는 전체 내용을 관통하는                     11   차시
                   마무리 질문을 하여 학생들의 사고가 정리될 수 있도
                                                                     국제기구
                   록 돕는다.
                 ⑥  세미나가 끝나면 학생들에게 전체 세미나 진행 과정과                    세계의 많은 나라는 서로 협력하고 경쟁하면서 많은                    2
                   자신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평가할 기회를 준다.                      문제를 함께 해결해 가고 있다. 이에 주권을 가진 국가                   단원
                   주의할 점                                          중 두 개 이상의 국가가 합의에 의해 만든 국제 협력체
                 -  교사의 개입은 최소로 한다. 기본 방법을 충분히 숙지                 로 국제법에 의해 설립되며, 독자적인 지위를 갖는 기관
                   시킨 뒤 사회자 없이 참여자들이 알아서 돌아가며 말                   으로 구성된 기구를 국제기구라고 한다. 국제기구에서
                   하도록 한다.                                        는 자신들이 속한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를 정의하
                 - 발언 시간을 독점하지 않도록 한다.                            고, 그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어떠한 방안을 도출해 낼
                 - 시선은 교사가 아닌 참여자끼리 주고받도록 한다.                     것인지를 논의하고 결정하여 그해 각 정부들이 우선순
                 - 자신의 의견을 근거를 들어 밝히도록 한다.                        위로 결정해야 할 정책을 마련하도록 도움을 준다. 국제

                 -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발언 기회를 적극적으로 얻                  기구는  국제  비정부  기구(INGO)와  국제  정부  기구
                   도록 하되 손을 드는 등의 방해가 없도록 한다.                     (IGO) 두 종류로 나뉜다.
                                                                              - 김찬환, 『시사 논술 개념 사전』, 아울북, 2010. -
                 -  자신의 논리를 용기 있게 주장하되 새로운 깨달음이
                   생긴다면 견해를 바꾸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도록
                   한다.                                               국제연합(United Nations)
                        - 교육부, 2015 개정 교육 과정 교수·학습 자료 『사회』 -        국제연합(UN)은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유지하며,
                    국제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구분      현실주의        이상주의         구성주의          모든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국가는 상대국          증진하는 역할을 하는 국제          ▲ 국제연합(UN)의 깃발
                         인간의 본성은     인간은 이성적인
                                                 과의 상호 작용
                         이기적이며 국가    존재이고 국가                      기구이다.
                   전제                            을 통해 정체성
                         역시 본질적으로    역시 이성적이고                        국제연합(UN)의 기원: ‘United Nations’이라는 명칭은
                                                 을 형성하고 관
                         이기적이다.      합리적이다.
                                                 계를 정립한다.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고안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
                         국가의 이익이                                   전 중 26개국 대표가 모여 추축국에 대항하여 계속 싸
                                                 국가 간의 사회
                         도덕성과 충돌     국가 간의 오해
                                                 적 상호 작용의          울 것을 서약하였던 1942년 1월 1일 「연합국 선언」에서
                   분쟁    할 때 도덕성보    와 잘못된 제도
                                                 본질에 변화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1945년 4월 25일부터 6월 26일
                   원인    다 국가의 이익    때문에 분쟁이
                                                 나타났기 때문
                         을 우선하기 때    발생한다.                         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국제기구에 관한 연합
                                                 이다.
                         문이다.
                                                                   국 회의’에 참석한 50개국 대표는 1944년 8월부터 10
                         국가 간의 갈등    국제기구, 국제    국가 간의 긍정          월 미국 덤버어튼 오크스에서 회합하였던 미국, 영국,
                   분쟁    해결은 세력 균    법 등의 제도적    적인 상호 작용
                   해결    형을 통해 가능    개선을 통해 해    을 통해 해결한          중국, 소련 등 4개국 대표들이 합의한 초안을 기초로
                         하다.         결할 수 있다.    다.                「유엔 헌장」을 작성하였다. 50개국 대표들은 1945년 6
                         모겐소: 국제 정                                 월 26일 「유엔 헌장」에 서명하였으며, 회의에 참석하지
                                     칸트: 국제 분쟁   웬트: 국제 관계
                         치는 국가 이익
                  대표적                은 국가 간의 도   는 국가 간 상호         않았던 폴란드가 추후 서명함으로써 51번째 서명국이
                         의 관점에서 정
                  사상가                덕성을 확보해     작용을 통해 구
                         의된 권력을 위                                  되었다. 국제연합은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소련과
                                     야 해결된다.     성된다.
                         한 투쟁이다.                                   여타 서명국 과반수가 「유엔 헌장」을 비준한 1945년 10
                                                                   월 24일에 공식 출범하였으며, 이후 매년 10월 24일을
                   - 박찬구·변희순·전정화, 『청소년을 위한 생활과 윤리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윤리 이야기』, 세창미디어, 2017. -       유엔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259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