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9 - ele_society_6-2_tutor
P. 259
수업 참고 자료
8 9 차시 70 % 이상이 이슬람교를 믿고 있었다. 종교로 보자면
~
파키스탄으로 포함되어야 했지만, 그 당시 카슈미르의 2
지구촌 갈등 및 국제 분쟁 사례
지도자가 힌두교를 믿고 있어 인도에 속하기로 결정하 단원
영토로 인한 갈등: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였다. 그러자 카슈미르 지역의 이슬람교도가 반발했고,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이 대(對) 투르크 전쟁에서 인도와 파키스탄 간에 전쟁이 일어났다. 1949년에 국제
아랍인의 협력을 받는 대가로 아랍 국가 독립을 약속하 연합의 중재로 전쟁은 멈추었지만, 카슈미르에는 인도
는 한편, 유대인에게도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건 와 파키스탄이 나누어 점령하는 통제선이 그어졌다. 이
설하는 것을 지원하는 약속을 하였다. 이러한 이중 외교 후 1962년에 중국이 카슈미르 동쪽 지역을 공격해 아크
가 팔레스타인 분쟁의 기원이 되었다. 1947년에 국제연 사이친 지역을 점령하면서 카슈미르는 파키스탄, 인도,
합이 팔레스타인 분할안을 채택함으로써 유대인 국가 중국의 세 나라 영토로 나뉘었다. 영토의 경계는 나누어
이스라엘이 탄생하였다. 이에 아랍 국가들이 반발해 전 졌지만 종교가 서로 다르다 보니 카슈미르 지역을 둘러
쟁이 벌어지고 많은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하였다. 싼 갈등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인도와 파키스탄 간에 두
1948년에 이스라엘이 건국을 선언한 이후 전쟁으로 영 차례의 전쟁이 더 일어났고, 여러 차례 테러도 발생했다.
토를 확장하고 아랍 국가들이 패퇴하는 가운데 팔레스
타인 사람들이 만든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가 전쟁 자원으로 인한 갈등
의 주역으로 등장하지만 열세가 계속되었다. 1987년에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경제적 가치를 가진 자원인 석
이스라엘에 의한 장기간의 점령 상태에 반발한 팔레스 유와 천연가스 역시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동중국해
타인의 민중 봉기를 계기로 이스라엘과 PLO가 서로 양 는 천연가스 매장지로 중국과 일본이 서로 영유권을 주장
보하여 1993년에 역사적인 「팔레스타인 잠정 자치 공동 하는 대표적인 곳이다. 심지어 양국은 서로 무인 정찰기
선언」을 체결하였지만, 1995년에 평화를 추진해 왔던 를 동중국해에 배치하여 서로의 해양 활동을 추적 감시하
이스라엘의 라빈 총리가 반대파에게 암살당하고 2000 는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
년에 가자 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최종적인 귀속
동해
대한민국
을 협의한 최종 지위 협정의 교섭이 결렬되면서 지금까
황해 일본
지 대립이 지속되고 있다.
중국
일본 주장
경계선
중국 주장 태 평 양
경계선
타이완
0 300 km
▲ 동중국해 자원 선점을 위한 대립
또 튀르키예, 시리아, 이라크는 티그리스강과 유프
▲ 이스라엘이 안전 보장을 이유로 서안 지구에 건설한 분리 장벽 라테스강의 수자원을 두고 분쟁 중이다. 특히 유프라
종교로 인한 갈등: 카슈미르 분쟁 테스강의 수자원을 둘러싼 분쟁은 전체 아랍권의 안정
카슈미르는 인도, 파키스탄, 중국이 경계를 이루고 있 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미묘한 사안이다. 튀르키
는 지역이다. 1947년에 영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가 독립 예는 유프라테스강의 영유권이 역사적으로 튀르키예
하면서 힌두교도가 많은 인도, 이슬람교도가 많은 파키 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댐을 건설할 계획인 데 반해 식
스탄으로 분리되었다. 이때 카슈미르 지역은 주민의 수 공급원이 부족한 시리아로서는 튀르키예의 이러한
257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