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6 - ele_math_5-2_teacher
P. 86
동영상
Tip
진화 생물학에 따르면 좌우
대칭은 생존 경쟁의 결과로
설명된다. 생물 자체로도 좌
우 대칭은 몸의 균형을 잡기 수 학
편하기 때문에 땅 위에서 이 대칭의 아름다움
동할 때 유리하다. 이동하기 알 기
편하다는 것은 천적으로부터 대칭의 아름다움
도망가기 유리하다는 이야기
이다. 또 좌우 대칭은 아름답
기 때문에 꽃의 경우 벌이나
나비를 유혹할 때 도움이 된
다. 여러분도 미술 시간에 한 번쯤은 해 보았을
벌은 색맹이고 사물과의 거
거예요. 종이 한쪽에 여러 가지 색의 물감을 묻힌
리를 판단하지 못해 끊임없
이 사물들과 충돌한다. 그러 다음, 종이를 반으로 접었다 펴면 접은 선을
나 벌이 자기 역할을 잘할
수 있는 것은 대상물이 대 기준으로 양쪽에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지요.
칭이기 때문이다. 벌은 본능 이것은 미술 장식 기법 중 하나인 ‘데칼코마니’
적으로 대칭을 강하게 인식
한다. 결국 동물이나 식물에 예요. 데칼코마니를 수학적으로 보면 대칭, 더
게 대칭은 생존에 적합하고 데칼코마니로 만든 작품
정확히 말하면 선대칭도형이에요.
유리한 필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대칭은 데칼코마니뿐만 아니라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눈의 결정, 동물,
식물, 건축물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대칭을 이루는 도형은 균형이
참고 자료
데칼코마니 기법 잡혀 안정적이고 아름다운 느낌을 주기 때문이지요. 같은 모양이 반복되는 횟수와
데칼코마니 기법은 ‘전사법’ 크기, 위치를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바꾸면 수많은 무늬를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어요.
이라는 뜻이며 화면을 밀착
시킴으로써 물감의 흐름으로 출처: 동아사이언스, 『수학동아』, 2016년 12월호.
생기는 우연한 얼룩이나 어
긋남의 효과를 이용한 기법
이다. 종이 위에 물감을 두껍
인도의
게 칠한 다음 그것을 반으로
접거나 다른 종이를 그 위에 타지마할
겹쳐 압착했다가 떼어 내면
그곳에 색다른 채색 상태가
생겨 다양하고 환상적인 효
과가 나타난다. 인쇄기에 넣
을 수 없는 물체에 장식을 하
거나 상표를 붙일 때 주로 사
용한다.
만화
86 수학 5 - 2
20개정_초등_수학[523](059~086)_수정본-2교.indd 86 2022. 4. 12. 오후 6:07
20개정_초등_교사용_수학[523](059~086)_사교.indd 86 2022. 7. 4. 오후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