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2 - ele_science_3-1_tutor
P. 112
1 3 차시 『과학』 8 쪽~9 쪽 『실험 관찰』 14 쪽
관찰하고 분류하기 관찰, 분류
탐구 대상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을 관찰이라고 합니다. 관찰할 때에는
눈, 코, 입, 귀, 피부 등을 사용하여 자세히 살펴봅니다. 돋보기, 현미경, 청진기 등의
도구를 사용하면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나라는 누리집에서 고양이 사진과 영상을 보다가 재미있는 사실을
탐구 대상을 종류나 특징에 따라 무리 짓는 것을 분류라고 합니다. 분류할 때에는
알게 되었습니다. 고양이들이 생김새는 서로 비슷하지만, 눈 색깔,
먼저 탐구 대상을 관찰하여 특징을 찾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분류 기준을
털 색깔, 무늬 등은 많이 달랐습니다.
세웁니다.
다음 고양이를 자세히 살펴보고 그 특징에 따라 두 무리로 나누어
봅시다.
『실험 관찰』 14 쪽 사고 탐구
동
활 활동 고양이를 관찰하고 분류하기 “눈 색깔이 푸른색인가?”
4 교31-231-P03 라는 것은 고양이를
1 『과학』 8`쪽 ̄9`쪽에 있는 고양이를 살펴보고 그 특징을 정리합니다. 두 무리로 나누는
기준이 될까?
2 과정 1의 내용을 바탕으로 고양이를 두 무리로 나누어 봅니다.
이 고양이를 자세히 살펴보니
눈 색깔이 노랗고,
털 색깔이 검은색이네요.
1 5
2
관찰과 분류를 잘하려면?
관찰할 때에는 관찰 결과를 꼼꼼하게
6 적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분류할 때에는 누가 하더라도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객관적인 분류
기준을 세웁니다.
8 8 과학 탐구 시작하기 과학 탐구 시작하기 9 9
초등과학3-1__탐구(07~14)OK.indd 8 2022-06-17 오전 11:42:41 초등과학3-1__탐구(07~14)OK.indd 9 2022-06-17 오전 11:42:43
차시 운영 방안
핵심역량 활동
학습 목표 • 과학적 사고력 고양이를 분류한 기준이 타당한지 여부를
• 관찰과 분류의 뜻을 설명할 수 있다. 확인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사고력을 기른다.
• 탐구 대상을 관찰하여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 과학적 탐구 능력 고양이를 관찰하고 분류하는 과정에서 과
• 탐구 대상을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분류 기준을 세워 학적 탐구 능력을 기른다.
두 무리로 분류할 수 있다.
차시 수업 전개도 지도상의 유의점
• 고양이를 관찰할 때 고양이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외
도입 고양이를 본 경험 이야기하기
(5 분) 형적 특징 위주로 살펴보게 한다.
• 고양이를 분류할 때 관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분류하게 하
•[활동] 고양이를 관찰하고 분류하기
전개
(30 분) •관찰과 분류의 뜻과 방법 이야기하기 고, 여러 가지 분류 기준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 고양이의 자세나 행동은 고양이 고유의 특성이 아니므로
정리 관찰과 분류 정리하기
(5 분) 과학적인 분류 기준이 될 수 없음을 알게 한다.
• 관찰과 분류를 잘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할 시간을 준다.
수업 전 확인 사항
• 고양이와 관련된 영상을 준비하여 수업 시작 전에 보여
전자저작물 이용
주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수업 자료 학습 지도안, 수업 PPT
• 『과학』 8`쪽 ̄9`쪽에 제시된 고양이 사진 이외의 다른 고
양이나 다른 종류의 동물로 대체해도 된다. 멀티미디어 자료 개념 영상
110 과학 탐구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