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9 - ele_science_3-1_tutor
P. 129

참고 도서                                              활동 과정 길잡이
                •  전예름 외 3 명, 『과알못도 문제없는 엄마표 과학놀이』,
                                                                    ➊  모둠원 중에서 한 사람이 교실에 있는 물체 한 가지를
                  예문아카이브(2018)
                                                                      골라 그 이름을 붙임쪽지에 적습니다.                         1
                •  서준호, 『서준호 선생님의 교실놀이백과 239』, 지식프레임
                                                                    ➋  나머지 사람들이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그 물체에 대해                단원
                  (2014)                                              하나씩 질문합니다.
                                                                    ➌  물체를 고른 사람은 “예.” 또는 “아니요.”로만 대답
                                                                      합니다.
                                                                    ➍  답을 알아맞히면 물체의 이름을 쓴 붙임쪽지를 보여
                  수업   흐름                                             줍니다.


                  도입                                                수업 도우미
                 ➊ 물체의 뜻과 예를 알아보기                                 • 물체의 이름을 적는 사람을 정하는 방법은 학교의 실정, 학생들의
                                                                    발달 정도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대표적인 방법에
                 •  물체란 무엇일까요?
                                                                    는 가위바위보 하기, 사다리 타기 등이 있다.
                   -   모양이 있고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 붙임쪽지에 적은 물체의 이름이 보이지 않도록 붙임쪽지를 반으로
                 •  학교에는 어떤 물체가 있을까요?
                                                                    접게 한다.
                   -   운동장에는 미끄럼틀과 철봉, 그네 등의 물체가                  • 열고개이므로 질문은 열 번만 할 수 있다는 것을 안내한다.
                     있습니다.                                        • 물체의 이름을 직접 묻거나 활동과 관계없는 질문을 하지 않도록
                   -   교실에는 책상과 의자, 칠판 등의 물체가 있습니다.                 지도한다.
                   -   음악실에는 피아노, 장구 등의 물체가 있습니다.                 • 상황에 따라 교실 이외의 장소인 과학실, 음악실, 운동장 등에 있는
                                                                    물체를 가지고 열고개 알아맞히기 활동을 할 수도 있다.
                 ➋ 교실에 있는 물체 관찰하기

                 •  교실에 있는 물체를 관찰해 보고, 열고개로 물체 알
                   아맞히기를 해 봅시다.                                    정리
                   -   교실에는 가볍고 색깔이 다양한 휴지통, 나무로
                                                                  활동 정리하기
                     만든 교탁 등의 물체가 있습니다.
                                                                  •  열고개로 물체 알아맞히기 활동을 통해 알게 된 것을
                                                                    이야기해 봅시다.
                                                                    -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지 물체가 있습니다.
                  전개
                                                                    -  물체들은 각각 다른 성질이 있습니다.
                 활동으로 열고개를 통해 물체 알아맞히기                              수업 도우미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지 물체가 있다는 것을 먼저 알
                   열고개로 물체 알아맞히기                                  도록 지도한다.

                   구성 의도                                             평가기준 예시_관찰 평가(참여도 평가)
                   물질의 성질을 학습하기 전에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
                                                                   방법 요소             평가기준             상 중 하
                 지 물체가 있고, 이 물체들은 각각 다른 성질이 있음을
                                                                       태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교실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물체
                                                                            교실에 있는 물체에 대한 적절한 질
                 를 이용하여 ‘열고개로 물체 알아맞히기’ 활동을 하면서
                                                                   관찰       문을 하였는가?
                 물체의 의미를 알 수 있게 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                    평가  탐구   자신의 생각을 모둠원에게 잘 표현하
                 을 자극하도록 한다.                                                였는가?

                   활동 목표                                               지식 물체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는가?
                   교실의 다양한 물체에 호기심을 가지고 ‘열고개로 물체                   평가 피드백  활동 수행 과정에서 태도, 탐구, 지식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알아맞히기’ 활동을 통해 물체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간략하게 문장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1. 물질의 성질       127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