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0 - ele_science_3-1_tutor
P. 160

9     12  차시                     『과학』  33 쪽

                                                              수업 전 확인 사항
                  과학   우리 주변에 있는                              33`쪽 [활동] 준비물은 아래와 같이 준비한다.
                   기술
                       유해 물질
                                                               개인별  필기도구
                유해 물질은 우리 몸에 들어와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물질을
               말합니다. 일부 장난감뿐만 아니라 학용품에서도 유해 물질이 발
               견되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습니다.
                                                              핵심역량 활동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가구나 세제 등에도 아주 적은
               양이지만 유해 물질이 들어 있습니다. 우리는 아직 성장
                                                            •   과학적 탐구 능력   우리 주변에 유해 물질이 있음을 알고, 안
               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유해 물질이 몸에 들어오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전한 생활을 위한 생활 수칙을 만드는 과정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른다.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안전한 생활을 위해 만든 생활 수칙을 발
                                                              표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른다.


                                                              전자저작물 이용
                    유해 물질로부터 안전한 생활 수칙 만들기
                활동
                                                탐구  의사
                                                   소통
                 유해 물질로부터 안전한 생활을 하기 위해 집이나 학교                   수업 자료      학습 지도안
                에서 지켜야 할 생활 수칙을 만들어 봅시다.   건강한 학교 생활을 위한
                                            생활 수칙
                준비물
                    필기도구                1. 실내 환기를 자주 해요.
                                        2. 연필과 지우개는 입에 넣지 않아요.
                1   집이나 학교에서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떠올립니다.               참고 누리집
                                        3. 비누나 세정제로 손을 깨끗하게 씻어요.
                2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서 필요한 습관을 생활 수칙
                 으로 만듭니다.                                       케미스토리(www.chemistory.go.kr) 어린이 환경과
                                             2   물질의 성질 비교      33 33  유해 물질에 관련하여 다양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초등과학3-1_①단원(15~38)OK - 복사본.indd   33       2022-07-14   오후 1:26:33
            차시   운영 방안                                       수업    흐름

             구성 의도
                                                             도입
              우리 주변에 유해 물질이 있음을 알고, 유해 물질로부터
                                                             우리 주변에 있는 유해 물질 알아보기
            안전한 생활을 하기 위해 집이나 학교에서 지켜야 할 생활
            수칙을 만들어 보게 하였다.                                   유해 물질이 우리 주변에 있음을 알고, 안전한 생활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게 한다.

                                                             읽기 자료          설명
             학습 목표
                                                               장난감이나 학용품에 들어 있는 유해 물질
              우리 주변에 유해 물질이 있음을 알고, 유해 물질로부터
                                                                화려한 색상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안료 및 페인트에
            나를 보호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한 생활 수칙을 만들 수
                                                               납, 카드뮴, 크로뮴 등의 중금속 물질이 들어 있을 수 있고,
            있다.                                                반짝이거나 부드럽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폴리염화비닐)
                                                               으로 구성된 제품에는 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지우개나 필통 등에서 향기가 나는 제품에는 향료가 포함
             차시 수업 전개도                                         되어 있는데, 항료 중에서도 유해 물질이 있을 수 있다.
                                                                납, 카드뮴, 크로뮴 등과 같은 중금속은 어린이의 피부
              도입    우리 주변에 있는 유해 물질 알아보기
              (5 분)                                            를 자극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성장기 어린
                                                               이의 신경 계통 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다. 프탈레이트는
              전개    [활동] 유해 물질로부터 안전한 생활 수칙 만들기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며, 성장기 어린이의 내분비계 장
              (25 분)
                                                               애 발생에 영향을 주는 물질로 추정된다.
              정리    활동 정리하기                                                   출처: 환경부(http://www.me.go.kr)
              (10 분)

           158        1. 물질의 성질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