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7 - ele_science_3-1_tutor
P. 347

➍ 달의 환경 - 물                                      암스트롱과 함께 달에 도착한 올드린(Aldrin, B.,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달의 남극에 물이 존재할 것으                     1930 ̄)은 처음 본 달의 모습을 장엄하고 황량한 풍경

                 로 추정했다. 2009 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이라고 표현했다. 우주 비행사들은 약 2 시간 30 분 동                 4
                 는 달에 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달의 남극에                     안 달에 머무르며 사진을 촬영하고 달을 탐사하기 위한
                                                                                                                   단원
                 엘크로스(LCROSS) 탐사선을 충돌시켰다. 그 결과,                   여러 과학 장비를 설치한 뒤 달의 암석과 토양을 채취
                 물로 추정되는 물질을 발견하였으나 실제 물인지는 명                     해 지구로 돌아왔다.
                 확하지 않았다.










                                                                     ▲ 아폴로 11 호의 우주          ▲ 달에서 바라본 지구
                                                                      비행사가 남긴 발자국

                                 ▲ 엘크로스 탐사선
                  2020 년에 물의 유무를 정확하게 가릴 수 있는 적외
                                                                  ➐ 우주복의 구조와 기능
                 선으로 달을 관측하여 달의 남극 지역 일부에서 실제로
                 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달에 존재                       우주 탐사를 위해서는 우주복이 필요하다. 우주는 태

                 하는 물은 극소량이므로 생물이 살아가기에 충분하지                      양 빛이 비치는 곳과 비치지 않는 곳의 온도 차가 매우
                 않다.                                              크고 인체에 해로운 방사선들도 있다. 또, 우리가 숨을
                                                                  쉬기 위해 필요한 산소도 없기 때문에 우주 탐사를 위

                 ➎ 지구와 달의 물리량 비교                                  해서 사람이 우주에서 버틸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이
                                                                  담긴 우주복이 개발되었다.
                  구분           지구                 달
                                                                  • 헬멧
                  적도
                            약 6400`km          약 1737`km
                 반지름                                               우주에서 태양 빛을 직접 보면 눈이 상하기 때문에
                  질량      약 6.0\10^24`kg     약 7.2\10^2^2`kg      태양 빛을 막아 주는 기능을 한다. 또, 카메라와 조명이
                  표면                                              달려 있어 우주에서 지구의 관제 센터에 주변 상황을
                                1            지구의 약 0.17`배
                  중력
                                                                  알려 준다.
                  자전                                              • 생명 유지 장치
                  주기          약 1 일            약 27.3 일
                                                                   우주 비행사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 주고 우
                         출처: John P. Grotzinger 외 1 명(이의형 외 13 명 역),
                                       『지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2018)     주복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 준다. 통신을 위한
                                                                  전기를 생산해 전달하는 기능도 한다.
                 ➏ 인류의 달 탐사 시도                                    • 장갑
                  인류가 달을 탐사하기 위한 시도는 1950 년대부터                     우주 비행사들은 우주에서 다양한 작업을 한다. 우주
                 꾸준히 이어져 왔다. 1969 년 7 월 16 일 미국항공우주               복의 장갑 끝에는 실리콘 고무가 있어 작업 효율을 높

                 국(NASA)은 아폴로 11 호를 발사했다. 7 월 20 일,               여 준다. 우주복 안의 공기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장갑
                 아폴로 11 호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표면에 착륙했                   은 우주복과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 달에 착륙한 우주 비행사 암스트롱(Armstrong,                 • 냉각 순환 장치
                 N., 1930 ̄2012)은 “한 인간에게는 작은 걸음이지                  우주복 안은 매우 뜨겁기 때문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우주복 안의 온도를 적절하게 낮춰 준다.

                                                                                       2   지구와 달의 비교       345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