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ele_science_4-2_tutor
P. 133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환경이 어디인지 써 봅시다.                   •높은 곳에 사는 식물
                                                                   산처럼 높은 곳은 춥고 강한 바람이 불며 눈이 쌓여
                     •햇빛이 강하다.                                    있기도 하다. 높은 곳에 사는 식물은 줄기가 짧고 굵으
                     •물이 부족하다.                                                                                     1
                                                                  며, 키가 작다. 또, 땅 위에 낮게 자라거나 줄기가 옆으
                     •선인장, 바오바브나무 등이 산다.                                                                           단원
                                                                  로 자라고 뿌리를 땅속 깊이 뻗고 있어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으며, 줄기, 잎 등에 털이 나 있기도 한다.
                                                                  높은 산에는 두메양귀비, 산솜다리, 눈잣나무, 구상나
                                                                  무 등이 산다.
                              ▲ 선인장     ▲ 바오바브나무

                                          (       사막        )

                     평가 목표    식물이 사는 곳을 설명할 수 있다.
                              햇빛 등의 환경과 사는 식물의 종류를 통해 사는
                     지도 사항
                              곳을 유추하게 한다.
                                                                        ▲ 두메양귀비                 ▲ 눈잣나무
                    풀이  사막은 햇빛이 강하고 물이 부족한 환경이며, 선인장, 바오
                   바브나무 등 사막 환경에 적응한 식물이 산다.                      •바닷가에 사는 식물
                                                                   바닷가는 강한 바람이 불고 땅에 소금 성분이 많으며
                 3  다음 식물이 사는 곳을 쓰고, 그곳의 환경을 설명해                  햇빛이 강하다. 또, 육상과 해양의 물리적·화학적·생
                   봅시다.                                           물학적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조수 간만에 의한
                                                                  환경 변화가 심해 식물의 분포가 제한되는 특이한 지
                            개구리밥      검정말      부들
                                                                  역이다. 바닷가나 염분이 있는 호숫가와 암염(돌소금)
                                                                  이 있는 내륙 지대에 사는 식물을 염생 식물이라고 한
                    예시 답안  강이나 연못(물), 물이 흐르거나 고여 있다.
                                                                  다. 염생 식물은 땅 위를 기어가듯이 줄기를 뻗거나 땅
                     평가 목표    식물이 사는 곳의 환경을 설명할 수 있다.
                                                                  위에 붙어 낮게 자라 강한 바람에 잘 견디며, 잎이 두
                              식물이 사는 곳을 강이나 연못, 물 중 하나만 써
                     인정 답안                                        꺼워 강한 햇빛에도 견딜 수 있다. 또, 윤기가 나는 잎
                              도 정답으로 인정한다.
                                                                  이 있어 잎으로 들어오는 소금 성분을 막아 주고 건조
                                       평가기준            배점(%)
                                                                  한 곳에서도 견딜 수 있다.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모래
                              식물이 사는 곳과 그곳의 환경을 모두
                     유의 사항                              100
                              옳게 설명한 경우                           에 파묻혀도 땅 위로 새로운 줄기가 빨리 자라며, 모래
                              식물이 사는 곳만 옳게 쓴 경우         50        사장에서 부족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뿌리가 땅속 깊
                                                                  이 뻗어 있다. 염생 식물은 흡수된 염분을 배출하고 세
                    풀이  개구리밥은 물에 떠서 살고, 검정말은 물에 잠겨 산다. 부들
                   은 뿌리를 물속의 땅에 뻗고 잎은 물 밖에 나와서 자란다.               포에 많은 수분을 저장하여 세포의 삼투압을 조절한다.
                                                                  바닷가에는 통보리사초, 순비기나무, 갯메꽃 등이 살
                                                                  며,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벌에는 칠면초, 해흥나물, 퉁
                                                                  퉁마디, 나문재 등이 산다.


                 참고   자료

                 식물이 사는 다양한 환경
                  식물은 지구의 대부분 지역에서 살며, 종류에 따라
                 사는 곳의 환경이 다르다. 식물은 사는 곳의 환경에 따
                 라 독특한 생김새와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다.                                ▲ 갯메꽃                 ▲ 퉁퉁마디

                                                                                2   식물의 생김새와 생활 방식       131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