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3 - ele_science_4-2_tutor
P. 233

➋ 명화 속의 빛과 그림자                                    그림에 다양한 밝기의 그림자를 넣으면 더 실감 나게
                  렘브란트(Rembrandt, H. V. R., 1606 ̄1669)의           보인다. 그림을 그릴 때 빛을 받는 부분을 생각하여 밝

                 「야경」 은 막 출동하려는 민병대의 모습을 담은 그림으                   은 곳과 어두운 곳을 구분하면 물체를 입체적으로 표현                    3
                 로 세월이 흐르면서 그림이 어둡게 변하여 「야경」 이라                   할 수 있다.
                                                                                                                   단원
                 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민병대 대장의 얼굴을 자세
                 하게 보면 물체에 빛을 비추었을 때 밝고 어두운 부분
                 이 두 단계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단계로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렘브란트는 물체의 그림자를 그릴 때 단순히 검은색
                 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물체의 원래 색을 어둡게
                 나타내는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 달리는 말을 표현한 소묘 작품


                                                                    다른
                                               ◀ 민병대 대장의 얼굴                흰 종이에 그림자가 생기는 조건 찾아보기

                                                                  준비물    손전등, 공, 흰 종이, 실, 셀로판테이프, 가위
                                                                  과정을 알아봐요
                                                                  1   흰 종이에 공의 그림자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예상
                                                                    합니다.
                                                                  2   자신의 예상이 맞는지 실험을 통해 결과를 관찰합니다.

                                                                  결과를 정리해요
                                                                   1    과정 1에서 예상한 것은 무엇인가요?
                                                                     예시 답안
                                                                     • 공에 손전등의 빛을 비춘다.
                                                                     • 흰 종이와 불을 켠 손전등 사이에 공을 놓는다.
                             ▲ 렘브란트의 「야경」 (1642 년)
                                                                     • 흰 종이에 손전등의 빛을 비추고, 그 사이에 공을 놓는다.
                   수업 도우미   명화 관찰을 통한 그림자 이해하기                     2    흰 종이에 그림자가 생기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빛과 물체가 만나 그림자를 이루는 과정과 관련된 명화가 많다. 이들
                                                                     예시 답안
                 작품을 수업에 이용하면 좋다. 그림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대로 보는 것이 중요하므로 다양한 그림 작품 속에 표현된 그림자를
                 관찰하게 한다.
                   수업 도우미   자신의 옷에 생긴 그림자 관찰하기
                 학생 각자의 옷에 생긴 그림자의 색깔을 살펴본다. 옷에서 주름진 부
                 분의 그림자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푸른색 옷에 생긴 그림자는 좀 더
                                                                          손전등
                 어둡기만 할 뿐이지 역시 푸른색이라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공

                 ➌ 그림과 그림자                                                                          흰 종이

                  소묘를 할 때에는 물체의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해
                 명암과 그림자를 활용해야 한다. 물체의 밝고 어두운                        • 물체에 빛을 비추어야 한다.
                 부분을 표현하는 명암과 그림자는 조명의 위치에 따라                        • 빛과 물체가 있어야 한다.
                 달라진다.                                               • 불을 켠 손전등과 흰 종이 사이에 물체를 두어야 한다.

                                                                                               1   그림자       231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