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2 - ele_science_4-2_tutor
P. 372
• 절수형 샤워기 이용: 수압이 낮은 곳에서 살수판에
미세한 구멍이 있는 샤워기를 사용하면 수압이 높아
손실량
43 % 이용 가능 댐 져서 적은 물로도 샤워를 할 수 있다. 샤워기 헤드에
수자원량 16 %
57 %
하천 버튼이 있는 절수형 샤워기는 버튼을 누르는 동안만
9 %
물이 나오는 제품으로, 필요한 만큼만 물을 이용할
유실(바다) 지하수 수자원 총량의 28 %만
3 %
29 % 사용 가능 수 있다. 수도꼭지에 장착되어 있는 시간 표시 단추
* 댐+하천+지하수
를 돌려 맞추면 정해진 시간 동안만 물이 나오는 샤
▲ 우리나라에서 이용 가능한 물의 양
워기도 있다.
출처: 물정보포털(www.water.or.kr)
• 우리나라의 물 사용량: 우리나라의 물 사용량은 • 빗물 이용: 물을 마시거나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깨
1960 년대 중반부터 1990 년대 후반까지 30여 년 끗한 물이 필요하지만, 청소하거나 화장실 변기 물로
동안 인구 증가, 경제 성장에 따른 산업 발달, 농업을 쓸 때, 화단에 물을 줄 때에는 조금 낮은 수질의 물을
위한 관개 시설의 증가 등으로 6 배 이상 증가하였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물은 사용하려는 목적이나
다.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수질, 장소에 따라 수질을 다르게 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
생태계, 경관 등의 보호를 위한 유지용수의 사용량도 로 빗물을 받아 저장했다가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
꾸준히 증가해 왔다. 하지만 2000 년대 이후부터는 나고 있다. 아파트에서는 건물 옥상에서 배수관으로
총사용량이 증가하는 비율이 완화되고 있다. 2007 년 내려가는 빗물을 물탱크에 모으고, 일반 주택에서는
에는 총사용량의 48 %인 농업용수가 가장 큰 비중 마당이나 옥상에 빗물 저장조를 두고 빗물을 모아
을 차지하고 있으며, 생활용수는 23 %, 유지용수는 사용한다. 저장한 빗물은 화단에 물을 주거나 청소,
23 %, 공업용수는 6 %를 차지하고 있다. 1998 년 세탁 등에 사용한다.
이후 생활용수와 공업용수의 사용량은 비슷하게 유
지되고 있으나, 농업용수의 사용량은 감소하고 있다. ➍ 국가와 기업에서 물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반면 하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용수의 사용 위한 노력
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 투수성 도로를 이용한 지하수의 보존: 이전의 도로는
사용
400 물이 지하수로 스며들지 못하는 불투수성 구조였다.
량 350 유지 자연 소재를 그대로 이용한 투수성 도로를 설치하면
용수
억 m 3 300 64 71 75 78 121 농업
250 용수 공극을 통해 자연스럽게 물이 스며들도록 하여 지하
년 200 160
149 158 159 152 공업 수위를 올려 줄 수 있다.
( )
150 25 용수
100 29 26 23 생활
102 26 21
50 62 73 76 75 76 용수
0 19 7
1980 1994 1998 2003 2007 2014
연도(년)
▲ 우리나라의 연도별 물 사용량
출처: 국토교통부(www.molit.go.kr)
➌ 가정에서 물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 ▲ 투수성 도로 ▲ 불투수성 도로
• 스마트 절수 시스템 이용: 온수를 틀면 온수가 나올 • 지하 댐의 건설: 지하 댐이란 지하수의 흐름을 막기
때까지 시간이 약간 걸리는데, 그때까지 나오는 물은 위해 땅속에 설치한 차수벽을 가리키는 말로, 지하
그대로 버려진다. 스마트 절수 시스템은 이렇게 버려 댐으로 지하수의 흐름을 제어하여 지하수층에 모인
지는 물을 활용하는 것으로, 온수가 나오기 전까지 물을 펌프로 끌어올려 사용할 수 있다. 물 부족으로
나오는 물이 변기로 모두 이동한 뒤에 온수가 배수되 어려움을 겪었던 속초시의 경우 지하 댐을 설치하여
는 시스템이다. 식수원을 확보하고 있다.
370 5. 물의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