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7 - ele_science_4-2_tutor
P. 377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글과 그림을 이용하여 알아보기 쉬운 장              오개념 지도   수증기의 응결
                  치 안내서를 만들고, 발표하게 한다.                            공기 중에는 물이 기체 상태의 수증기로 존재하지만, 수증기는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학생들은 이를 알기 어려울 수 있다. 공기 중의 수증
                    평가기준 예시_관찰 평가(모둠 평가), 발표 평가                   기가 차가운 공기를 만나면 응결하여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이해하              5
                  방법 요소             평가기준             상 중 하        게 한다.                                            단원
                           모둠원과 토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였는가?                                    2   물 부족 현상의 해결 단원을 얼마나 이해했는지 스

                      태도
                           다른 모둠이 안내서를 소개할 때 이                         스로 빈칸에 색칠해 봅시다.
                  관찰       야기를 잘 들어 주었는가?
                                                                          물 부족 현상의 원인과 그 해결 방법을 다양한 사
                  평가       물을 모으는 장치를 구체적으로 조사
                      탐구                                           최고야    진과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일상생활
                           하였는가?
                                                                          에서 물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려는 노력을 적
                           물을 모으는 장치의 특징을 이해하였                            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지식
                           는가?
                                                                          물 부족 현상의 원인과 그 해결 방법을 조사하고,
                  발표 평가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는가?
                                                                   잘했어    일상생활에서 물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려는
                 평가 피드백  탐구 수행 과정에서 태도, 탐구, 지식을 상중하로 구분하                  노력을 실천할 수 있다.
                 여 간략하게 문장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제시된 평가 이외에도 필요
                                                                          물 부족 현상의 원인과 그 해결 방법을 조사할 수
                 한 평가 요소에 따라 평가기준을 추가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 모둠
                                                                   아쉬워    있다.
                 별 동료 평가 결과를 활용할 수도 있다.
                                                                   평가 길잡이  성취기준, 평가기준과 연계한 평가 방법
                                                                  학생들이 색칠한 결과는 성취기준, 평가기준과 연계하여 상중하로

                  정리                                              나눌 수 있다.

                                                 『실험 관찰』 64 쪽~65 쪽
                 물 부족을 해결하는 장치의 원리 정리하기
                                물 부족을 해결하는 장치
                 •  물 부족을 해결하는 장치는 어떤 원리를 이용하여 만
                                      조사하여 안내서 만들기
                   들었나요?
                   -   물의 순환 원리입니다.
                              물 부족이 심한 지역에서는 그 지역의 특성에 알맞은 방법으로
                             깨끗한 물을 모아서 이용하기도 합니다. 다음 탐구로 물 부족 현상을
                   -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이 되는 원리입니다.                형성  평가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찾아보고, 활용 사례를
                             소개하는 안내서를 만들어 봅시다.
                    교과서 그림 설명                                     1   다음 중 오른쪽 장치에 대
                             준비물
                   지역의 특성을 생각하여 만든 물을 모으는 장치                        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스마트 기기
                                      그림 도구
                             1
                   오염된 물이나 흙탕물에 덮고 기다리면 태양열로 인해 증발한                 은 어느 것입니까?
                              조사하기
                              모둠별로 지역의 특성을 생각하여 만든 물을 모으는 장치에는 무엇이
                   수증기가 응결하여 벽면에 맺히고, 내부 벽면을 따라 흘러내려                           (   ②    )
                             있는지 조사합니다.
                   모인다.
                             터콘                                     ① 그물에 물방울이 맺힌다.              ▲ 와카워터
                                                       와카 터
                                                                    ② 빗물을 모으는 장치이다.
                                                                    ③ 수증기가 응결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④ 낮과 밤의 기온 차이가 큰 곳에 설치한다.
                           이슬 물통  2 공기 중에는 수증기 상
                                   토의하기
                                  위  1  조사하기  의 장치 중에서 한 가지를 고르고, 다음 내용을   ⑤ 맺힌 물방울이 모이도록 아래에 물통을 놓는다.
                                  태의 물이 있다.
                                 조사하여 토의합니다.
                                       수증기가 차가운 그물에 닿으면 응                      물을 모으는 장치의 원리와 특징을 설명할 수
                                                설치된 장소는 어디인가요?        평가 목표
                                       결해서 물방울이 되고, 시간이 지                      있다.
                                                모양이나 형태는 어떠한가요?
                                                물을 모으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나면서 물방울이 점점 커져서 흘러                      와카워터는 낮과 밤의 기온 차이가 큰 곳에서
                                       내려 아래쪽 물통에 모인다.                지도 사항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맺힌 물방울을
                   116       5. 물의 여행
                   수증기가 표면에 닿아 응결하여 물방울이 되고, 물결 모양의 틈을                         모으는 장치임을 지도한다.
                   타고 흘러내려 모인다.
                                                                     풀이  와카워터는 공기 중에서 물을 모으는 장치이다.
               초등과학4-2_⑤단원(103~120)OK - 복사본.indd   116    2022-07-14   오전 11:08:07
                                                                                     2   물 부족 현상의 해결       375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