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9 - ele_science_4-2_tutor
P. 379
2 다음은 물 부족을 해결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참고 자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봅시다.
➊ 와카워터(Warkawater)
물 부족이 심한 지역에서는 물의 ( ) 과정 이탈리아의 건축가 비토리(Vittori, A., 1971 ̄)는 5
을 이용하여 깨끗한 물을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다. 에티오피아를 여행하다가 물 부족에 시달리는 아프리 단원
카 사람들을 도울 방법을 고민하였다. 그 결과, 일교차
( 순환 ) 가 큰 아프리카 지역의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식수원
물 부족을 해결하는 장치에서 깨끗한 물을 모으 이 될 수 있는 와카워터를 만들었다.
평가 목표
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와카워터는 대나무와 같은 식물의 줄기를 엮어 탑
깨끗한 물을 모으는 과정을 앞에서 학습한 내용
지도 사항 모양의 틀을 만들고, 거기에 이슬이 잘 달라붙도록 촘
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보게 한다.
촘한 나일론 소재의 그물을 달아 놓은 것이다. 아프리
풀이 물 부족이 심한 지역에서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카 지역은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커서 응결이 잘 일어나
물이 되는 물의 순환 과정을 이용해 물을 효과적으로 모은다.
는데, 와카워터는 이 응결 현상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서 물을 모을 수 있는 장치이다. 새벽에 맺힌 이슬이
그물을 타고 내려가 바닥에 있는 그릇에 모이는데, 약
10`m 높이의 탑에서 매일 50`L∼100`L의 깨끗한 물
3 다음은 물을 모으는 장치인 이슬 물통을 나타낸 것입 을 얻을 수 있다.
니다.
▲ 그물에 맺힌 물방울 ▲ 바닥에 있는 그릇에 모인 물
▲ 이슬 물통
이슬 물통과 같은 물을 모으는 장치는 ‘물의 순환’과 ➋ 이슬 물통(Dew bank)
어떤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는지 설명해 봅시다. 남아프리카 나미비아의 나미브 사막은 연간 강수량
예시 답안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는 과정이 있다. 이 약 20`mm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건조하고 일교차
가 큰 지역이다. 이곳에 사는 딱정벌레(나미브사막딱정
물의 순환과 물을 모으는 장치의 공통점을 설명
평가 목표
할 수 있다. 벌레)는 등에 돌기가 있어 물방울이 잘 맺히기 때문에
‘응결’이라는 용어를 포함하여 설명했으면 정답 새벽에 땅 위로 나와 머리를 숙이면 등에 있는 돌기에
인정 답안
으로 인정한다. 물방울이 맺히고, 이 물방울이 머리 쪽으로 흘러 물을
적절한 공통점을 제시했는지 유의하여 평가 마실 수 있다.
한다.
디자이너 박기태는 이 딱정벌레의 물 채집 방법을 이
평가기준 배점(%)
용하여 이슬 물통을 만들었다. 이 장치는 몸체가 스테
유의 사항 수증기가 응결하는 과정이 있다고 옳
100 인리스 스틸로 되어 있어 저녁에 밖에 두면 강철 본체
게 설명한 경우
가 식는다. 그리고 아침이 되어 주변 공기가 따뜻해지
응결 현상을 썼지만 옳지 않은 내용을
40
덧붙여 설명한 경우 면 표면에 수증기가 응결하여 맺힌 물방울이 물결 모양
의 틈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려 가장자리를 둥글게 감고
풀이 물을 모으는 장치는 대부분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이 되는 원리를 이용해 물을 모은다. 물의 순환 과정에서 수증 있는 부분에 모인다. 물통 안에 모인 물은 옆면의 뚜껑
기가 하늘 높이 올라가 응결하면 구름이 된다. 을 열어 마실 수 있다.
2 물 부족 현상의 해결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