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0 - ele_science_4-2_tutor
P. 380
바닷물을 넣는 곳
공기층
증류 장치 깨끗한 물
증류수를
모으는 그릇 필터층
오염된 물
▲ 바닷물을 넣고 햇빛이 잘 드 ▲ 행복한 대야: 흙탕물에 담그
는 곳에 둔 다음, 바닷물에서 면 물을 여과하여 깨끗한 물
▲ 이슬 물통 기화한 증류수를 모으는 장치 을 내부에 모으는 장치
➎ 물을 모으는 장치의 또 다른 예
➌ 워터콘
제주도 촘항은 나무 밑에 ‘촘’을 걸어 두고 비가 오면
오염된 물이나 흙탕물에 워터콘을 덮고 기다리면 순
빗물이 촘을 따라 항아리로 흘러 들어가게 하여 물을
수한 물만 증발하여 생성된 수증기가 다시 응결하여 장
모으는 장치이다.
치의 벽면에 물방울이 맺히고, 내부의 벽면을 따라 물
이 바닥에 모이게 된다. 물이 모이면 원뿔 끝의 뚜껑을
열고 장치를 뒤집어서 증류된 맑은 물을 병에 담아 마
실 수 있다. 24`시간 증류했을 때 1`L ̄1.7`L 정도의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다.
▲ 촘항
▲ 워터콘
➏ 적정 기술
적정 기술은 1973`년 영국의 경제학자 슈마허
➍ 여러 가지 물을 모으는 장치
(Schumacher, E. F., 1911 ̄1977)가 그의 저
비닐
서 『작은 것이 아름답다』를 통해 제안한 중간 기술
(In&termediate technology)에서 시작되었다. 중간
찬물 바닷물
증류된 기술은 저개발국의 토착 기술보다 우수하면서 선진국
물
의 거대 기술에 비해 값싸고 소박한 기술을 뜻한다. 슈
▲ 바닷물에서 증발한 깨끗한 물 ▲ 잎이 내보내는 수증기에서 물 마허는 중간 기술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만큼
을 모으는 장치 을 모으는 장치
값이 싸고, 소규모 이용에 적합하며, 인간의 창조적 욕
비닐 돌멩이 빨대 안개가 응결하여 구에 부합할 수 있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적정 기술
물방울이
맺히는 곳
도 이러한 맥락에서 정의할 수 있다. 즉, 적정 기술은
많은 비용이 들지 않고 누구나 쉽게 배워서 쓸 수 있는
물을 모으는
그릇 물을 모으는 통 기술로, 주로 저개발국의 환경이나 정치·경제·사회적
▲ 땅 밑에서 형성된 이슬을 모 ▲ 딱정벌레의 등 껍데기를 모방 여건을 고려하여 삶의 질 향상과 빈곤 퇴치 등을 위해
으는 장치 하여 안개 속의 수분을 모으
는 장치 사용하는 기술을 뜻한다.
378 5. 물의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