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ele_science_5-2_teacher
P. 13

지도상의 유의점
                                                  •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은 하나의 예시이므로 차시 운영, 준비물, 탐구 방법 등을 학교 및 학급별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활동할 수 있다.
                                                  • 탐구 계획에 따라 탐구를 실행하게 하며, 탐구 결과가 예상한 대로 나오지 않더라도 있는 그대로 기록
                       를   실행할 때                 해야 함을 인식할 수 있게 지도한다.
                           이렇게 해요                 • 탐구를 실행하는 동안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하게 한다. 특히 활동 내용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남기면
                                                 탐구 결과 발표 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내가                                       나는
                                                           간이 청진기를                                탐구 과정을 사진으로
                   1  탐구 실행하기                                만들게.                                    찍어 둘게.



                           탐구 계획에 따라 탐구를 실행합니다.
                           탐구 결과를 사실대로 빠짐없이 기록합니다.

                          도움말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탐구 활동 내용을 기록합니다.








                                       고무풍선     알루미늄박
                   소리가 크게
                 들리는 진동판의                                      우리의 예상과
                  재료는 뭐였지?             종이       비닐 랩        다른 결과가 나온 까닭은                   2  탐구 결과 정리하기
                                                                무엇일까?


                                                                                  탐구를  하여  얻은  자료를  표와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상한 결과와 실제 탐구 결과를
                                                                              비교해 봅니다.

                                                                                  탐구를 하면서 알게 된 점을 정리

                                                                              합니다.
                                                                                                         개념 영상




                     3     1 에서 만든 간이 청진기의 진동판은 각각 뚜껑이 있는 통의 뚜껑에
                       대고, 귀 꽂이는 스마트 기기의 마이크 부분에 닿게 합니다.


                     4   진동판의 재료에 따른 소리의 세기를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소리의 세기가 가장 컸을 때의 값을 기록합니다.
                                                                      간이 청진기
                 3    탐구를 하면서 알게 된 점을 정리해 봅시다.
                                                                                            평가 기준 예시 _ 관찰 평가(모둠 평가)
                                                                                          •  [태도] 모둠원 모두 역할을 충실히 수행
                                                                                           하며 탐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는가?
                             스피커
                                                                                          •  [탐구] 탐구 계획에 따라 탐구를 실행하여
                                                    뚜껑이 있는 통                               탐구 문제를 해결했는가?
                                                                                          •  [지식] 탐구 과정을 순서에 맞게 설명할 수
                                                                                           있는가?
                                       스펀지        뚜껑이 있는 통의 같은
                                                  부분에 간이 청진기의
                                                                   스마트 기기
                                                  진동판을 대고 소리의                                                  13
                                                  세기를 측정한다.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