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ele_science_5-2_teacher
P. 9
수업 도우미
문제를 정할 때 • 관찰 대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게 한다.
이렇게 해요 • 감각 기관(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청진기는 어떤
원리로 소리를
사용하여 관찰하게 한다.
듣는 걸까?
• 관찰 대상을 전체로 관찰, 부분으로 관찰,
전체에서 부분으로 관찰, 부분에서 전체로
관찰 등 여러 측면에서 관찰하게 한다.
연결관의 길이가
1 궁금한 것 떠올리기 소리의 세기에 영향을
줄까?
우리 주변에서 관찰했던 현상이나
도구를 관찰한 내용 중에서 궁금
했던 것을 떠올립니다.
진동판은
도움말 귀 꽂이 어떤 재료로 만들어야
소리가 크게 들릴까?
• 책이나 인터넷에서 도구의 모습이나 작동 원리를
찾아보면서 궁금한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어요.
• 도구의 모습을 관찰하고, 직접 작동하면서 진동판
궁금한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어요. 연결관
보충 청진기의 다이어프램
평평한 플라스틱 진동판(떨림판)이 있 연결관은
는 부분으로, 이곳을 통해 진동수 범위 어떤 재료로 만들어야
100`Hz ̄1000`Hz의 소리를 들을 소리가 크게 들릴까?
수 있다. 주로 폐에서 나는 소리, 장이
움직이는 소리 등을 듣는다.
탐구 내용이
잘 드러나게 탐구 문제를
우리 스스로
정해야 해.
탐구할 수 있는
문제여야 해. 2 탐구 문제 정하기
궁금한 것 중에서 탐구를 하여
알아보고 싶은 것을 선택해 탐구
문제로 정합니다.
탐구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을 쉽게
탐구 문제를 구할 수 있어야 해.
어떻게 정하지?
개념 영상
수업 도우미
탐구 문제를 정할 때 생각할 점을 안내한다.
•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탐구 문제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 탐구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한다.
• 간단한 조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탐구 문제는 피해야 한다.
• 탐구 문제는 ‘왜 그럴까?’, ‘이것은 무엇일까?’, ‘~하면 어떻게 될까?’와
같은 질문 형식으로 탐구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쓰게 지도한다.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