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 ele_science_6-1_tutor
P. 213
외떡잎식물은 물관과 체관 사이에 형성층이 없어 부 지를 흡수한다. 뿌리에서 흡수한 물, 엽록소에서 흡수
피 생장이 일어나지 않고, 관다발이 줄기 전체에 흩어 한 빛에너지, 잎의 기공을 통해 들어온 이산화 탄소를
져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용하여 양분을 만든다.
쌍떡잎식물 외떡잎식물
빛에너지
물 + 이산화 탄소 ―――→ 포도당 + 산소
→
설탕 ← 녹말
피층 속
광합성으로 만들어지는 최초의 양분은 포도당이다. 엽
록체에서 만들어진 포도당은 물에 녹지 않는 녹말의 형
태로 전환되어 저장된다. 이 녹말은 물에 잘 녹는 설탕
의 형태로 전환되어 체관을 따라 식물 각 기관으로 이동
물관 하여 사용되거나 저장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광합성으로
형성층 관다발
표피 체관 관다발 물관 표피 만들어지는 물질이 녹말이라고 단정 짓지 않도록 한다.
체관 4
▲ 줄기의 구조 꽃과 열매 단원
증산 작용 꽃의 생식 기관은 암술과 수술이다. 암술과 수술의
증산 작용은 식물 안에 있는 물이 수증기의 형태로 구조는 꽃에 따라 다양하다. 암술은 보통 가늘고 긴 암
식물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액체 상태에서 기체 술대와 암술대 끝에 암술머리가 있다. 암술대를 따라
상태로 변하는 기화가 일어날 때 주변의 열을 흡수하 내려가면 씨방이 있고, 씨방 안에 밑씨가 있다. 수술은
여 온도가 낮아진다. 증산 작용이 일어날 때에도 기화 보통 수술대 끝에 꽃밥이 있고, 꽃밥에는 꽃가루가 있
가 일어나 식물의 온도를 조절한다. 식물 안에 수분량 다. 수술의 꽃밥에 있는 꽃가루가 암술의 암술머리로
이 많은 상태에서 빛이 있는 경우 기공이 열려 식물 밖 옮겨 붙는 것을 꽃가루받이 또는 수분이라고 한다. 수
으로 물이 빠져나가고, 식물 안에 수분량이 적으면 기 술의 꽃밥에 있는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옮겨 붙어야 하
공을 닫아 식물 안의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물 기 때문에 암술머리에서 끈적끈적한 물질이 분비되어
내의 수분량을 조절한다. 또, 기공으로 물이 빠져나가 꽃가루가 잘 붙도록 한다. 꽃가루받이가 이루어지고 나
면 잎맥에서 물을 끌어당기게 된다. 잎의 잎맥, 줄기의 면 꽃가루 속의 핵이 씨방으로 들어가 밑씨와 만나 수
물관, 뿌리의 물관이 서로 연관되어 있어 결국 뿌리에 정이 이루어진다. 수정이 이루어지면 밑씨가 씨로 자라
서 물을 흡수하게 된다. 이렇게 증산 작용은 뿌리에서 게 되고, 밑씨를 둘러싸고 있는 씨방은 열매로 자란다.
물을 흡수하는 원동력이 된다. 뿌리에서 물을 흡수하 보통 씨방이 자라 열매가 되지만, 우리가 먹는 사과 열
고, 줄기에서 물관 내의 응집력과 부착력으로 물이 이 매는 꽃받기가 자라 열매가 된 것이고 열매 안에 씨를
동한다. 잎에서는 증산 작용을 통해 물 분자가 기공을 보호하는 부분이 씨방이 자란 부분이다.
통해 식물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증산 작용은 액체 씨방 씨방
상태의 물이 기체 상태로 변해 식물 밖으로 나가는 현 씨
밑씨
상이므로 증산 작용이 잘 일어나는 조건은 물이 잘 증
꽃받침 꽃받침
발하는 조건과 비슷하다. 햇빛이 강할 때, 온도가 높을
▲ 감나무의 꽃과 열매
때, 바람이 잘 불 때, 습도가 낮을 때 증산 작용이 활발
하게 일어난다. 씨방 씨방
광합성 씨
식물 세포에는 동물 세포에 없는 여러 세포 소기관이 밑씨
있다. 그중에 하나가 엽록체이다. 엽록체는 광합성이 꽃받기 꽃받기
일어나는 장소이다. 엽록체에 있는 엽록소에서 빛에너 ▲ 사과나무의 꽃과 열매
4. 식물의 구조와 기능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