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9 - ele_science_6-1_tutor
P. 249

참고   자료                                          기도 한다. 또, 오미자 열매는 기침과 천식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의 발견
                   로버트 훅(Hook, R., 1635 ̄1703)은 자신이 직접             • 옷감
                 설계한 현미경으로 여러 가지를 관찰하였다. 그러던 중                      모시풀, 삼, 목화는 예로부터 옷감으로 사용된 식물
                 코르크 조각을 들여다보다가 무수히 많은 작은 방 모양                    이다. 모시는 줄기를 이용해서 천을 짜서 만드는데, 주
                 을 발견하고 작은 방이라는 의미의 세포(cell)라는 이                  로 여름용 옷감으로 쓰였다. 삼으로 짠 천인 삼베는 통
                 름을 붙이게 되었다.                                      풍이 잘되어 모시와 마찬가지로 여름철 일상 옷감으로
                   사실 그가 발견한 것은 죽은 세포로, 세포벽만 남은                   사용되었다. 목화솜은 목화 열매에서 솜털을 수확하여
                 빈 공간이었지만 훅의 발견이 시초가 되어 과학자들의                     만드는데, 보온성이 뛰어나 겨울용 옷감과 이불의 내장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1800`년대에 들어서 모든                  재로 쓰인다.
                 생물의 기본 단위가 세포라는 주장이 나오게 되었다.                     • 환경 정화
                                                                    공기 정화 식물로는 산세비에리아, 맥문동, 고무나무                   4
                                                                  등이 있다. 산세비에리아는 낮에는 기공을 닫고 밤에는
                 코르크의 활용                                                                                           단원
                                                                  기공을 열어 수분을 보존하고 이산화 탄소와 일산화 탄
                 • 코르크 마개
                                                                  소를 흡수한다. 고무나무는 폼알데하이드라는 오염 물
                   코르크가 수축되고 팽창되는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질을 제거해 주며, 맥문동은 암모니아 제거에 효과적이
                 포도주병을 눕혀 놓으면 코르크 마개에 와인이 닿아서
                                                                  다. 이러한 식물은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잎의 기공으
                 코르크가 팽창하면서 병의 주둥이를 막게 되어 포도주
                                                                  로 흡수하고, 오염 물질은 줄기와 뿌리를 거쳐 토양으
                 병을 밀봉하는 효과가 있다.
                                                                  로 이동한다. 토양으로 이동한 오염 물질은 뿌리의 미
                 • 신발이나 건축의 바닥재
                                                                  생물에 인해 분해된다.
                   코르크가 환경친화적이고 가벼우며 탄력성이 좋은
                 특성을 활용한다.                                        • 몸과 마음의 안정
                 • 천장과 지붕, 벽 등에 사용되는 단열재                            로즈메리의 잎은 항산화 작용, 살균과 소독 및 방충
                   코르크는 많은 부분이 기체로 채워져 있어 단열과 방                   작용을 하며 향으로 뇌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도 한다.
                 음, 방수가 잘 되는 특성을 활용한다.                            애플민트 잎은 각종 요리의 보존제로 쓰이며 감기에 효
                 • 냉동 산업                                          능이 있다. 편백나무는 잎과 줄기에서 피톤치드가 많이
                   코르크가 해로운 화학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외부의                   나와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물질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해 주는 특성을 활용한다.                      있다.

                                                                  • 천연 가습기
                 생활 속에서 식물의 다양한 활용                                  토피어리는 자연 그대로의 식물을 인공적으로 다듬

                 • 음식                                             어 여러 가지 동물 모양 등으로 보기 좋게 만든 것이다.
                   식물은 생활 속에서 음식의 재료로 가장 흔히 활용된                   마른 물이끼에 물을 묻혀 원하는 형태의 틀에 붙여서
                 다. 전 세계인이 다양한 방식과 조리법으로 식물의 뿌                    모스 토피어리를 만들면 물이끼가 물을 흡수하고 방출
                 리, 줄기, 잎, 꽃, 열매 등을 이용하고 있다. 쌀이나 밀                하면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한다.
                 과 같은 주식은 식물의 열매이며, 식용 꽃을 샐러드나                    • 친환경 녹색 커튼
                 장식용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건물 외벽에 벽을 타고 올라가는 식물을 심어 친환경
                 • 약용 치료                                          녹색 커튼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식물이 벽을 타고 자
                   인삼과 도라지 뿌리에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은 콜레                   라면서 햇빛을 차단하고 식물 잎에서 증산 작용이 일어
                 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지방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날 때 기화가 일어나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내
                 라지 뿌리는 기관지염에 효과가 좋아 차로 달여서 마시                    려가서 여름철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4. 식물의 구조와 기능    247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