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ele_science_6-1_tutor
P. 51

문제로 확인하기
                   각 단원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과학과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

                 로 구성하였다. 또, 탐구 수행 정도를 확인하여 서술하는 문항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문제로  확인 하기
                                확
                               1  다음 중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방향을 옳게 짝 지은 것은 어느 것입  4  다음  보기 에서 계절별 별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두 가지 골라 기호를 써 봅시다.
                                 니까?             (  )
                                                             보기
                                    태양   달       태양   달      ㉠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은 지구가 공전하기 때문이다.   2
                                 ①  동쪽 → 서쪽   동쪽 → 서쪽   ②  동쪽 → 서쪽   서쪽 → 동쪽  ㉡ 봄철 남쪽 하늘에서 보이던 별자리는 같은 시각 가을철 남쪽에서 볼 수 있다.
                                                                               단원
                                 ③  서쪽 → 동쪽   동쪽 → 서쪽   ④  서쪽 → 동쪽   서쪽 → 동쪽  ㉢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는 어느 계절에 하루 동안 밤하늘을 관측했을 때 오래
                                 ⑤  달라지지 않음.  달라지지 않음.       보이는 별자리이다.
                   다양한                                                    (  ,  )
                               2  다음은 지구의 자전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입니다. 옳게 말한 학생은 누구인지 써 봅시다.
                   유형의             지구는   지구는 자전축을   지구가 자전하면서   5  다음 중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 같은 장소에서 관측한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에 대 )
                                                                             (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하루에 두 바퀴씩   중심으로 서쪽에서   태양 빛을 받는 곳은
                  문제 구성            회전해.   동쪽으로 회전해.  밤이 돼.   ① 달의 모양은 변하지 않는다.
                                                            ② 달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③ 음력 7`일 ̄8`일에는 상현달이 보인다.
                                                            ④ 달은 약 20`일 주기로 모양 변화를 반복한다.
                                                            ⑤   태양이 진 직후 여러 날 동안 달을 관측하면 달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날마다 위치가
                                      누리   나라  민준
                                                             달라진다.
                                              (   )
                                                             사고력  문제 해결력
                                                           6  다음은 지구와 태양의 모습입니다. ㉠과 ㉡ 중 낮이 되는 곳을 찾아 기호를 쓰고, 낮과
                                                            밤이 하루에 한 번씩 번갈아 나타나는 까닭을 설명해 봅시다.
                               3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보기 에서 골라 각각 써 봅시다.          서술형
                                 보기
                                                                 ㉠
                                    태양                   달                   하루                   1`년  ㉡  평가 문항
                                 지구가 (  ㉠  )을/를 중심으로 (  ㉡  )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구의 공전이라고 한다.      ⑴ 낮이 되는 곳: (  )
                                                            ⑵ 까닭:
                                        ㉠: (  ), ㉡: (  )
                             18                                               19
                            초등과학(실험)6-1_②(12~19)OK.indd   18  2022-04-08   오후 7:17:42초등과학(실험)6-1_②(12~19)OK.indd   19  2022-04-08   오후 7:17:44
                 탐구할 때 알아야 할 것
                   탐구 활동을 하기 전에 사용하는 실험 기구의 이름, 실험 기구의 올바른 사용 방법, 용액을
                 다룰 때 주의할 점, 실험 보고서 작성 방법 등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안전한 실험 환경을
                 만들기 위해 관련 내용을 『실험 관찰』 교과서에 구성하였다.
                             여러 가지  실험 기구
                             여러 가지
                                                              기체 발생 실험을 안전하게 하는 방법
                                         실험 기구
                                  나침반    실험 기구           레이저 지시기(3구, 확산형)
                                         ㄱ 자 유리관  사용 방법
                                                   레이저 보안경
                                                              유리 기구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
                                                                   유리 기구를 만지기 전에 반드시 보안경, 실험용 장갑, 실험복을 착용합니다.
                                           광학 현미경 사용 방법            유리 기구의 물기를 제거하고 유리 기구에 금이 가거나 깨진 부분이 있는지
                                     구멍이 한 개
                                     뚫린 실리콘 마개    2         레이저 지시기(1구) 확인합니다.
                                                                   끝이 날카로운 유리관이나 유리 막대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1                        비커, 집기병 등을 옮길 때에는 한 손으로 옆면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아래를 받칩니다.
                                               회전판
                                          주사기                      유리 기구를 세척하거나 정리할 때에는 깨뜨릴 수 있으므로 조심히 다룹니다.
                              갓 없는 전등  핀치 집게
                                                       손잡이가 있는
                                                       볼록 렌즈
                                                  현미경의 전원을 켜고, 조리개로 빛의 양을 조절  약품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
                                                                   약품을 만지기 전에 반드시 보안경, 실험용 장갑, 실험복을 착용합니다.
                                         회전판을 돌려 배율이 가장 낮은 대물렌즈가   합니다.  프리즘  볼록 렌즈
                                         가운데에 오게 합니다.              실험실의 창문을 열어 환기합니다.
                                                  4                실험에서 사용할 용액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안전
                                          3                     하게 행동합니다.
                                           영구 표본                   비커 등에 고체 약품을 넣을 때 약숟가락을 사용하며, 약숟가락에 있는 약품을 다시 약품 통에 넣지 않습
                                                                니다.
                                                                    실험을 마치면 사용한 약품은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정해진 곳에 버립니다.
                                               재물대
                                                  현미경을 옆에서 보면서 조동 나사로 재물대를 올려
                                          영구 표본을 재물대의 가운데에 고정합니다.  영구 표본과 대물렌즈의 거리를 가장 가깝게 합니다.  광학 현미경
                               깔때기  집기병  가지 달린    뚜껑이 있는 투명한 사각 수조  불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
                                                                    불을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보안경, 면장갑, 실험복을 착용합니다.
                                         삼각 플라스크   6   미동 나사
                                           5   조동 나사                점화기의 작동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불을 사용할 때에는 손이나 얼굴에 가까이 하지 않습니다.
                                                                  53
                            52                                      점화기로 불을 붙일 때 사람을 향하지 않으며, 점화기를 가지고 장난치지 않습니다.
                                                                    향불에 손을 가까이 하거나 불꽃을 만지는 등 장난치지 않습니다.
                                                                    점화기를 사용한 뒤에는 반드시 잠금장치를 잠급니다.
                          초등과학(실험)6-1_⑥(50~66)OK.indd   52  2022-04-07   오후 6:53:32초등과학(실험)6-1_⑥(50~66)OK.indd   53 미동 나사로 상이 뚜렷하게 보이도록 조절하고,   2022-04-07   오후 6:53:39   55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며 조동 나사로 재물대를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바꾸어 가며 관찰합니다.
                                          천천히 내리면서 상을 찾습니다.
                                                                               2022-04-07   오후 6:53:44
                                          54
                                                           2022-04-07   오후 6:53:44 초등과학(실험)6-1_⑥(50~66)OK.indd   55
                                         초등과학(실험)6-1_⑥(50~66)OK.indd   54
                 꾸러미
                                                      『과학』 71  쪽  식물 퍼즐
                   탐구 과정이나 결과 정리에 활용할                  꾸러미              『과학』 97  쪽  여러 가지 모양의 종이 판
                                                                        꾸러미
                 수 있도록 뜯기 자료와 붙임딱지 등을
                 구성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높이도록 하였다.
                                                  ▶  점선을 따라 접어서 뜯으세요.  ▶  점선을 따라 접어서 뜯으세요.
                                                  77
                                                                      79                2022-04-07   오후 6:54:02
                                                  초등과학(실험)6-1_꾸러미(67~92)OK.indd   79  2022-04-07   오후 6:54:02
                                                                      초등과학(실험)6-1_꾸러미(67~92)OK.indd   81
                                                                              2.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49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