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4 - ele_science_6-1_tutor
P. 54
① 대단원 총괄 내용으로 단원의 개관, 단원의 성취 기준 상세화, 단원 연계 및 개념 구조, 단원
의 학습 목표, 단원의 평가 기준, 단원의 참고 도서 및 참고 누리집, 단원의 지도 계획, 단
원의 배경지식을 10`쪽으로 구성하였다.
2 단원 연계 및 개념 구조 이 단원의 학습 단원의 지도 계획 후속 학습 영역 / 핵심 개념 6과 09-0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단원의 평가 기준 변화 단원 열기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를 지구의 자전과 관련지어 설명할
단원의 성취 기준 상세화
차시명
학습 요소
성취 기준, 탐구 활동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진의 순서 찾기
하루 동안
선수 학습
평가 기준
교육과정 성취 기준
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제시한 내용은 지역 및 학교의 실정, 교육 여건에 따라 목표에 알맞은 활동 내용으로 재구성해 운영할 수 있다.
2
6과 09-0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의 위치
어떻게 달라질까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차시에서 (+)는 증가가 가능한 차시, (-)는 감소가 가능한 차시이다.
3~4학년군
상
5~6학년군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할 수
수 있다.
단원
탐구 활동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관찰
지구의 모습
지구의 자전,
계절의 변화
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과학』 쪽
중
학습 목표 있다.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학습 내용 및 탐구 활동
5~6학년군
『실험 관찰』 쪽
낮과 밤
탐구 활동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
하
지구의 자전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3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에는 무
화 관찰하기
계절별
엇이 있을까요
우주/태양계의
중학교 1~3학년군
5~6학년군
• 태양의 위치로 사진의 순서를 찾는 문제 해결
해결
위치로
태양의
사진의
•
찾는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할 수
단원 열기
『과학』 쪽
차시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단원 열기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
문제 별자리 변화,
순서를 6과 09-02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
4 계절에 따라
태양계와 별 지구와 달의 운동 (증감) 1/ 차시 11 1/11 『과학』 『과학』 22 쪽 ~ 23 쪽 태양계, 별과 우주 구성과 운동 차시명 하기 6과 09-02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흥미와 지구의 공전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지도상의 유의점 • 시간 순서대로 사진 정리하기• 시간 순서대로 사진 정리하기 개인별 개인별 필기도구 필기도구 과학 탐구 2 단원 준비물 과학과 핵심 역량 평가 방법 『과학 지도서』 쪽 교사용 전자 저작물
상
차시명
요소(기능)
활동을
활동을 통해 태양의 위치 변화에 흥미와 호기
『실험 관찰』 쪽
통해
(증감)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 찾아보기
쪽
위치
탐구 활동
태양의
쪽
22
~
23
변화에
동해
호기
위치
지구의 자전 속도는 약 1600 km/h(적도 기준) 정도이
단원의 배경지식
태양의
진의 순서 찾기 심을 가질 수 있다. 있다. 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할 수 있 보이는 별자리가 있다. 계절별로 대표적인 별자리를 찾을 수 있다. 생각해 보기 지구의 공전 2 단원 멀티미디어 자료 교수 · 학습 자료실 광행차는 영국의 천문학자 브래들리(Bradley, J.,
•
• 태양의 위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기
변화에
진의 순서 찾기
대해
가질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수
심을
다.
자전을 중
•
지구의
동
다. 일정한 속도로 빠르게 달리는 기차 안에서 기차의 움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활동이므로
지구와 달의 운동 2~3/11 『과학』 24 쪽 ~ 25 쪽 1 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수 있다. 루 22 동안 쪽 ~ 23 태양과 쪽 달의 위치 기 단원 열기 단원 열기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 5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지구의 공전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달의 위치 변화 관 의사소통 추리,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관찰 관찰 평가 평가 동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구의 공전이라고 한다. 지구 1693 ̄1762)가 발견한 것으로 별빛의 실제 방향과 겉
전
배우기
• 지구의 자전을 배우기 전 활동이므로 하루 동
하루
6과 09-03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위도에 따른 천체의 일주 운동
탐구 활동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 찾아보
개념도
위치
천구는 가상의 구에 관측자를 중심으로 지구 위의
태양의
설명하지
안 태양의 위치 변화에 대한 원인은 설명하지
보기 방향과의 차이를 말한다.
안
대한
원인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과학적 탐구 능력,
변화에
직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처럼 우리는 지구가 매우 빠른 과학적 탐구 능력, 추리,
달의 위상
하
『과학』 22 쪽 ~ 23 쪽
『과학』
•
104
쪽
1/
관측할
11
105
2
하
~
변화를
쪽
104 쪽 ~ 105 쪽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를 관측할
위치가
탐구 활동
태양의
않고,
진의 순서 찾기 변화
달라진다는
의사소통
하루
않고,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가 달라진다는
1/11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보이는 달의
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동안
속도로 자전하고 있다는 것을 일상에서 느끼지 못한다.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진의 순서 찾기
는 1`년 동안 한 바퀴 회전하므로 하루에 약 1°씩 이동
모든 천체를 투영해서 나타낸 구를 말한다. 천구의 중
동안
• 탐구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관
광행차 v
태양과
• 탐구
하루
3/
동안
6과 09-03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
11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해
태양과 모양과 위치 관찰하기
단원
하루
달의
위치는
『과학』 24 쪽 ~ 25 쪽
수 있다.
2~
인식하는 상
것을 인식하는 정도로 지도한다.
지도한다. 측하기측하기
것을
정도로
동안
설명할 수 있다.
(-) (-) 『실험 관찰』 지구의 자전 어떻게 달라질까요 •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를 설명할 심에는 지구가 있고 지구의 적도를 연장했을 때 천구 개인별 개인별 나침반, 태양 관측 안경, 필기도구, 그림 도구 나침반, 태양 관측 안경, 필기도구, 그림 도구 한다.
루
하
위치 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융합 활동 달의 모양 변화를
태양과
어떻게 달라질까요
달의
창의
변화를
설명할
『실험 관찰』 12 쪽 ~ 13 쪽12 쪽 ~ 13 쪽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위치
와 닿는 부분을 천구의 적도라고 한다. 지구의 자전축
•
동안
지구의 운동 수 있다. 탐구 활동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보이 맨눈으로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이 바뀌는 것을 관찰해 설명할 수 있다. 실제 지구의 공전 궤도는 타원이고, 태양은 지구의 별빛의 겉보기
하루
변화
태양과
달의
있다.
지구 자전의 증거
수
중
위험하므로
태양을
• 태양을 맨눈으로 관측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관측하는
•
것은
이용한 달력 만들기
방향
지구의 공전 을 연장한 선이 천구에 닿으면 그곳을 천구의 북극, 천 푸코 진자의 진동면 회전은 지구의 자전으로 나타나는 공전 궤도의 중심에서 약간 치우쳐 있기 때문에 지구가 실제 별빛의 2
관측 달의 모양이 바뀌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안경을
관측하도
착용한
반드시
태양 하
후
구의 남극이라고 한다. 천구의 북극 근처에는 북극성이
지구와 달의 운동 는 달의 모양과 위치 관찰하기 단원 마무리하기 반드시 태양 관측 안경을 착용한 후 관측하도 현상이다. 푸코 진자를 매달아 진자의 진동 방향을 관찰 관찰 관찰 평가, 공전하는 동안 지구의 위치에 따라 지구와 태양 사이의 v P 방향 단원
평가,
록 안내한다.
3/
사고력,
2~
2~3/11 『과학』 24 쪽 ~ 25 쪽
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11 『과학』 24 쪽 ~ 25 쪽 1 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록 안내한다. • 탐구 • 탐구 하루 동안 지구의 움직임 알아보기 관찰, 관찰, 과학적 과학적 사고력, 보고서 보고서 평가, 거리가 달라진다.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
동안
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
위치는
알아보기
동안
달의
태양과
하루
지구의
움직임
하루
106 쪽 ~ 111 쪽
~
쪽
평가,
떠 있다.
106
개념
개념 영상
영상
111
쪽
어떻게 달라질까요
위치
관측
변화
자료
활동은
동안
달의
해석
자료 해석
과학적 탐구 능력
『실험 관찰』 12 쪽 ~ 13 쪽12 쪽 ~ 13 쪽
을
달 4/ 11 4/11 『과학』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 (-) 『실험 관찰』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할 어떻게 달라질까요 • 하루 •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 관측 활동은 반드 반드 하면 푸코 진자의 진동면은 지구 자전 방향과 반대인 동 과학적 탐구 능력 지필 지필 평가 평가 져 있을 때 지구의 위치는 원일점이라 하고, 가장 가까 정지된 망원경 움직이는 망원경
수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 지구의 자전• 지구의 자전
모둠별 책상, 갓 없는 전등, 붙임쪽지, 회전의자, 투명 방향 판(『실험 관찰』 책상, 갓 없는 전등, 붙임쪽지, 회전의자, 투명 방향 판(『실험 관찰』
있다.
모둠별
『과학』 26 쪽 ~ 29 쪽26 쪽 ~ 29 쪽
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천구의 북극
안내하고,
시 시 보호자와 함께 하도록 안내하고, 과제 학 학 쪽에서 서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구가 자전 ▲ 광행차
천정
하도록
과제
함께
보호자와
성취 기준 해설
• 낮과 밤
과학 이야기 지구의 자전을 주장 • 지구의 자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낮과 밤을 • 지구의 자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낮과 밤을
『실험 관찰』 14 쪽14 쪽
(+) (+) 『실험 관찰』 과학 이야기 지구의 자전을 주장 • 6과 09-02 별자리 명칭보다는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다르고 별자리의 위치가 달라 • 낮과 밤 69` 69`쪽)쪽) 이 있을 때는 근일점이라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지
이 단 을 배우며 해결해 봐요 습으로 습으로 제시한다. 지구의 적도 하지 않는다면 진자의 진동면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진 만약 지구가 정지해 있다면 관측자 머리 바로 위에
제시한다.
지구의
자전을
홍대용
설명할
수
설명할 수 있다.
있다.
한 홍대용
한 홍대용 지는 까닭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 북극 • • 지구의 자전을 주장한 홍대용 구가 원일점에 위치할 때는 여름이 되고, 근일점에 위
주장한
지구의
자 진동면이 회전하는 것은 지구 자전의 증거가 된다. 위치한 별빛을 볼 때 망원경을 머리 위쪽으로 향하면
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4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은 • 6과 09-03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현상을 관찰하여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둔 지구 주위를 도는 인공위성이 북극과 남극을 지나갈 치할 때는 겨울이 된다. •학습 •학습 지도안 된다. 하지만 지구가 공전하고 있으면 이 별빛을 보기
동해
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는 지구의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는 지구의
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사고력,
지도안
지구의
평가,
대표적인
•
3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에는 무 •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에는 무엇이 있는지 •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에는 무엇이 있는지
4/11 다.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모양, 즉 위상이 변하는 까닭은 다루지 않는다.
계절별
•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
자전으로 인한 겉보기
4/
~
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은 무 무엇일까요 『과학』 『과학』 30 쪽 ~ 31 쪽 31 쪽 3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에는 무 11 『과학』 『과학』 26 쪽 ~ 29 쪽26 쪽 ~ 29 쪽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자전으로 인한 겉보기 남극운동이므로 ‘위치가 달 운동이므로 ‘위치가 달 별자리 관찰, 관찰, 과학적 과학적 사고력, 관찰 관찰 평가, 개념 영상, 동해 위해서 망원경을 지구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기울여야
개념 영상, •수업
쪽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30
117
5/ 11 5/11 천구의 때 지구를 도는 경로는 일정하지만 지구에서 관측할 경 과학적 탐구 능력, 서술형 서술형 평가, 112 112 쪽 ~ 117 쪽 쪽 •수업 PPTPPT
모둠별
과학적 탐구 능력,
모둠별 스마트 기기 스마트 기기
평가,
쪽
~
설명할 수 있다.
봄
설명할
천저 천구의 남극 • 탐구
적도
것처럼 • 탐구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 찾아보기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 찾아보기
엇이 있을까요
『실험 관찰』 15 쪽15 쪽
‘움직이는
추리
과학 이야기 지구의 자전을 주장 지구의 자전을 주장
또는
보인다.’와
엇일까요 5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는 어떻게 달라 『실험 관찰』 엇이 있을까요 (+) (+) 『실험 관찰』 수 있다. 과학 이야기 라진다.’ 라진다.’ 또는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와 같 같 우 인공위성의 공전 궤도가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 과학적 문제 해결력 면담 면담 평가 평가 실험 실험 영상 영상 •『과학』 23.5$ 한다. 기울여야 하는 방향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
추리
『실험 관찰』 14 쪽14 쪽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 PDFPDF
은 표현을 사용한다.
은
사용한다.
한 홍대용
한 홍대용
표현을
3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질까요 교수·학습 방법 및 • 이 단원에서는 관찰과 실험을 중심으로 지구와 달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을 이해하고 지구 처럼 관측된다. 이를 인공위성 궤도의 서편 현상이라고 태양 •『실험 관찰』 PDF 함에 따라 계속 변하게 된다. 이처럼 별빛의 실제 방향
•『실험 관찰』 PDF
▲ 천구
동해
단원의 학습 목표 유의 사항 『과학』 • 『과학』 30 쪽 ~ 31 쪽 31 보이는 쪽 별자리가 단원의 참고 도서 및 참고 누리집 한다. 인공위성 궤도의 서편 현상은 지구가 자전하기 때 과학적 과학적 탐구 능력. 능력. 여름 • • 『과학 지도서』 과 겉보기 방향에 차이가 생기는 까닭은 지구가 공전
까닭
따라
지구의 자전 때문에 지구에 서 있는 관측자에게는 지
계절에
『과학
지도서』
•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
달라지는
겨울
3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에는 무
30
쪽
관찰,
~
관찰,
3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에는 무 • 계절별 별자리를 조사하는 활동에 초점을 두• 계절별 별자리를 조사하는 활동에 초점을 두
탐구
5/11 와 달의 운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현상을 탐구할 수 있는 활동이 필요하다.
•
설명할
쪽
• 탐구탐구
~
계절에
따라
5/ 별자리가
수
한다. 1`년 동안 지구의 움직임 알아보기 1`년 동안 지구의 움직임 알아보기
32
『과학』 『과학』 32 쪽 ~ 35 쪽 35 쪽 4 4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11 을 을 설명할 수 있다. 있다. 구를 둘러싼 천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지구의 자전 방 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모둠별 모둠별 책상, 갓 없는 전등, 붙임쪽지, 투명 방향판(『실험 관찰』 69`쪽), 책상, 갓 없는 전등, 붙임쪽지, 투명 방향판(『실험 관찰』 69`쪽), 관찰 관찰 평가 평가 계계 (원일점) 118 쪽 ~ 121 쪽118 쪽 ~ 121 쪽 개념 개념 영상 영상 PDF PDF (근일점) 하기 때문이다.
보이는
고
엇이 있을까요
의사소통능력
암기하는
의사소통
『실험 관찰』 15 쪽15 쪽
고 암기하는 학습은 지양하도록 한다.
학습은
엇이 있을까요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 변화 등은 관찰 시기와 방법을 안내한
6~ 탐구
영역 태도 6~7/11 7/ 11 지식 『실험 관찰』 • 김지현, 김동훈,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어바웃어 지양하도록 • 에듀넷·티–클리어(www.edunet.net) 의사소통 과학적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도플러 효과는 빛이나 소리와 같은 파동이 관측자와
•교과서 그림 자료
『실험 관찰』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 • 지구의 공전으로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 향과 반대 방향인 동쪽에서 서쪽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공전 절별 별자리 판(『실험 관찰』 71` •교과서 그림 자료
보이는
지구의
절별 별자리 판(『실험 관찰』 71`쪽 ̄74`쪽)쪽 ̄74`쪽)
『실험 관찰』 16 쪽16 쪽
공전으로
• 지구의 공전
별자리
계절에
지구의
따라 북, 2019.
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설명할
위치가
있다.
달라지는
의
•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천문 현상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후 관찰하도록 한다. 특히 야간에 달을 관찰할 경우 안전 사항을 준수하도록 한다. • •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 가을 파원의 상대적인 속도에 의해 파장이 다르게 관측되는
수
오른쪽,
방향을
왼쪽
때
공전
• 지구의 공전 방향을 탐구할 때 오른쪽, 왼쪽
보인다. 이에 따라 천구상에 있는 천체의 위치가 동쪽
•
지구의
것을 • 아이작 아시모프(이강환 옮김), 『아시모프의 코스모
•다른 탐구 활동지
탐구
에서 서쪽으로 이동하고, 관측자가 보는 방위에 따라
개념 영상, •다른
사고력,
평가,
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진다. 를 관측하고, 그 결과를 기록할 와 낮과 밤의 변화를 지구의 자전 • 이 단원은 초등학교 5 ̄6학년군의 ‘계절의 변화’, 중학교 1 ̄3학년군의 ‘태양계’, ‘별과 우 탐구할 • 사이언스타임즈(www.sciencetimes.co.kr) 관찰, 관찰, 과학적 과학적 사고력, 관찰 관찰 평가, ▲ 지구의 공전(우리나라 기준) •지도서 그림 자료•지도서 그림 자료 현상을 말한다. 빛이 관측자로부터 멀어지고 있을 때는
활동지
쪽
4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과 같은 방향을 사용하면 오개념이 생길 수
계절에
별자리가
『과학』
따라
보이는
32
『과학』 32 쪽 ~ 35 쪽
쪽
개념 영상,
35
과 같은 방향을 사용하면 오개념이 생길 수
~
평가,
능력,
7/
탐구
11
• 달의 모양 변화를 이용한 달력을 수 있다. 으로 설명할 수 있다. 6~ 6~7/11 주’와 연계된다. 4 스』, 문학수첩, 2021.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astro.kasi. 추리, 추리, 과학적 과학적 탐구 능력, 서술형 서술형 평가, 122 122 쪽 ~ 127 쪽 쪽 •형성 평가 평가 파장이 길어져 빛의 스펙트럼이 전체적으로 붉은색 쪽
이동하는 경로가 다르게 나타난다.
127
실험 영상 •형성
~
쪽
여러
•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를 관측
•
있으므로 동쪽, 서쪽과 같은 방위를 사용해
『실험 관찰』 16 쪽16 쪽
변화를
서쪽과
위치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달라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있으므로
관측
단원의 개관 『실험 관찰』 날 동안 달의 모양과 • 이이화, 박시화, 『이이화 역사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같은 방위를 re.kr) 사용해 실험 영상
동쪽,
해결력
문제
의사소통
제작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를 조사 36 쪽 ~ •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 달의 모양과 위치 할 수 있다. 있다. 관측자의 위도에 따라 천구의 천체들이 이동하는 모 모양과 위치 변화 관측하기 의사소통 과학적 과학적 문제 해결력 면담 면담 평가 평가 •단원 •단원 평가 평가 으로 이동하고, 가까워지고 있을 때는 파장이 짧아져
• 탐구
• 탐구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관측하기
여러
『과학』
『과학』 36 쪽 ~ 39 쪽
동안
날
5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쪽
지도한다.
5
39
지도한다.
할
수
달의
여한다.
천문학 이야기』, 파랑새어린이, 2011.
8~
• 한국물리학회(www.kps.or.kr)
『실험 관찰』 17 쪽17 쪽 라지는 까닭을 지구의 공전으로
이 단원에서는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태양과 달이 뜨고 지는 현상, 달의 모양 변화 등을 탐구함으로써 천문 현상에 대한 할 수 있다. 8~9/11 9/ 11 『실험 관찰』 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 •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를 설명 설명 습도 다르게 보인다. 북쪽 고위도 지방에서 천체들은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개인별 개인별 나침반, 필기도구, 그림 도구 나침반, 필기도구, 그림 도구 지구 공전의 증거 •수행 •수행 평가 평가 빛의 스펙트럼이 전체적으로 푸른색 쪽으로 이동한다.
달의
날
여러
날
여러
동안
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
•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변화를
위치
모양과 • 이한주, 『별지기 아저씨가 들려주는 별이야기』, 진선
학습
평가
•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보이는
•서술형 평가
•서술형
모양과
•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의 까닭은 다루지 않는
위치
•
흥미와 호기심을 갖도록 한다.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직접 관찰하며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르고,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방법 및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를 관찰한 보고서나,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보이는 달 까닭은 다루지 않는 ▲ 인공위성 궤도의 서편 현상 관찰 관찰 평가, 연주 시차를 통해 지구가 공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별빛의 도플러 효과를 확인하면 지
변화의
달의
지평선과 나란히 움직이는 모습이 보인다. 중위도 지방
있다.
수
평가,
할 수 있다.
할
목표 달의 모양과 위치를 관측하고, 그 • 여러 날 동안의 달의 모양과 위치 의 모양과 위치를 관찰한 보고서를 평가할 수 있다. 시차란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같은 점을 바라볼 때 생
유의 사항
날
쪽
그 까닭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를 조사 활동을 통해 찾아보고, 계절에 따라 보이는 8~9/11 9/ 11 『과학』 『과학』 36 쪽 ~ 39 쪽 39 쪽 5 출판사, 1999. 달의 모양과 에서는 지평선에서 비스듬하게 뜨고 지는 모습을, 적도 북반구의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이동하는 물체는 진 과학적 과학적 사고력, 보고서 보고서 평가, 128 128 쪽 ~ 133 쪽 쪽 개념 개념 영상, 구가 공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안
여러
사고력,
36
위치
5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다.
영상,
다.
~
평가,
~
133
관찰
쪽
관찰
과학적 탐구 능력
도움
• 뒤집기 29–지구와
영상
『실험 관찰』 17 쪽17 쪽
매우
빛이
보름달은
• 보름달은 빛이 매우 강하므로 망원경을 사용
• 정민경, 『선생님도 놀란 과학
도움 영상
『실험 관찰』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을 지구의 공전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관찰을 통해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의 주기적인 변화를 설명할 수 있 8~ • 낮과 밤, 달과 별의 움직임, 달의 모양 변화 등에 대한 여러 가지 관찰 결과를 올바르게 해 강하므로 망원경을 사용 행 방향의 동쪽으로 휘어지고,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이 과학적 탐구 능력 면담 면담 평가 평가 기는 시선의 차이 각이다. 6`개월의 시간 차를 두고 별을
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지방에서는 지평선에 수직으로 뜨고 지는 모습을 볼 수
주의한다. • 음력에 대해 알아보기• 음력에 대해 알아보기
달』, 성우주니어, 2020.
창의 · 융합 활동 달의 모양 변화를 • 달의 일정한 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만든 음력• 달의 일정한 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만든 음력
개인별 투명한 플라스틱 컵 두 개, 그림 도구, 유성 펜(검은색, 노란색), 검 투명한 플라스틱 컵 두 개, 그림 도구, 유성 펜(검은색, 노란색), 검
않도록
관측하지
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인식하도록 하고, 달의 모양 변화를 바탕으로 하여 음력 달력을 만들어 보도록 한다. • 모형실험으로 천문 현상에 대해 다. 창의 · 융합 활동 달의 모양 변화를 석하는지에 대한 서술형 평가 혹은 면담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해 해 관측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동하는 물체는 진행 방향의 서쪽으로 휘어진다. 이와 관측하게 되면 지구의 공전으로 지구의 위치가 달라져
개인별
있다.
『과학』 40 쪽 ~ 41 쪽
10/
10/11 『과학』 40 쪽 ~ 41 쪽
11
만들기
• Stephen A. Gregory, Michael Zeilik, 『Introd
나만의
만들
달력
달력을
있다.
알고,
이용한 달력 만들기
도화지
친구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다. 이용한 달력 만들기 을 을 알고, 나만의 달력을 만들 수 있다. • • 나만의 달력 만들기 은색 은색 도화지 시차가 발생하게 된다. 6`개월 동안 발생한 시차의 절반
나만의
수
북극성
사고력,
• 달의 주기적인 모양 변화를 이용 천구 북극(북극성) 천구 적도 같은 현상은 지구의 자전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코
ucto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four&th
94 제 2 부 지도의 실제 창의 · 융합 활동 달의 모양 변화를 2. 지구와 달의 운동 천구 95 관찰, 관찰, 과학적 과학적 사고력, 관찰 관찰 평가, 을 연주 시차라고 한다.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가 멀수
적도 북
창의 · 융합 활동 달의 모양 변화를 • 음력은 달의 모양 변화와 관련된 내용이기 때• 음력은 달의 모양 변화와 관련된 내용이기 때
평가,
과학적 탐구 능력,
한 달력을 만들 수 있다. 단원 마무리하기 10/ 10/11 『과학』 40 쪽 ~ 41 쪽 edition』, Brooks/Cole, 1997. 동 성 극 동 리올리 효과라고 한다. 지구상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운 과학적 탐구 능력, 록 별의 연주 시차는 작아진다. 달의 운동
쪽
~
『과학』 40 쪽 ~ 41 쪽
134 쪽 ~ 135 쪽
쪽
135
11
134
있다.
수
의사소통
수업할
이용한 달력 만들기
전시
이용한 달력 만들기
단원 마무리하기
관련지어 • 생각 그물• 생각 그물
의사소통
학습과
개념을
달의
『과학』 『과학』 42 쪽 ~ 44 쪽 44 쪽 • •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개념을 스스로 정리 정리 문에 문에 전시 학습과 관련지어 수업할 수 있다. 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겉보기 힘을 전향력 과학적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능력 산출물 산출물 평가 평가
운동에
42
스스로
~
지구와
쪽
위도
대한
참여와
학습
90$-위도
평생
확인하기
11/ 11/11 11 직업 탐험하기 • • 문제로 확인하기 개인별 개인별 필기도구 필기도구 멀리 있는 별 달은 지구 주위를 약 한 달에 한 바퀴씩 회전하는 공
직업 탐험하기 조선 시대 별자리 조선 시대 별자리
문제로
있다.
수
『실험 관찰』 천구 적도=지평선 지평선 서 지평선 서 이라고 하며, 전향력은 대기와 해수의 운동에 영향을
평가할
『실험 관찰』 18 쪽 ~ 19 쪽18 쪽 ~ 19 쪽
2. 지구와 달의 운동 97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 중위도 지방
시대
▲ 적도 지방
「천상열차분야지도」
•
조선
• 조선 시대 별자리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96 제 2 부 지도의 실제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하고 하고 평가할 수 있다. ▲ 북극 지방 • • ‘스스로 평가해요’로 성취 기준에 도달한 정도 별자리 정도 그림, 주어 바람과 해류의 방향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전을 한다. 달이 공전하면서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인
성취
도달한
기준에
‘스스로
평가해요’로
단원 마무리하기
단원 마무리하기 가까이 위치들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달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94 2022-06-10 오후 2:51:37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95 『과학』 『과학』 42 쪽 ~ 44 쪽 44 쪽 를 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다. 2022-06-10 오후 2:51:37 과학적 과학적 사고력, 관찰 관찰 평가, 연주 있는 별
확인할
쪽
~
있게
수
평가,
42
사고력,
11/ 11/11 11 직업 탐험하기 의사소통 136 136 쪽 ~ 139 쪽 쪽 시차 의 모양이 달라진다.
~
쪽
직업 탐험하기 조선 시대 별자리 조선 시대 별자리
의사소통
139
평생
『실험 관찰』 18 쪽 ~ 19 쪽18 쪽 ~ 19 쪽
학습
참여와
2. 지구와 달의 운동 99
98 제 2 부 지도의 실제 『실험 관찰』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지구의 자전 • 학교의 실정, 학생의 발달 정도에 따라 『실험 • 학교의 실정, 학생의 발달 정도에 따라 『실험 과학적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능력 지필 지필 평가 평가 6 월에 본 하늘 12 월에 본 하늘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도 한다. 달의 자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문제로
관찰』의
확인하기’로
대체할
수
관찰』의 ‘문제로 확인하기’로 대체할 수 있다.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96 2022-06-10 오후 2:51:37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97 지구의 자전은 지구가 북극과 남극을 이은 가상의 선 있다. 2022-06-10 오후 2:51:37 전 방향과 공전 방향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같으며, 자
인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회전하는 것이 6 월 지구 태양 12 월 전 주기와 공전 주기도 같다.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
100 제 2 부 지도의 실제 다. 자전 방향은 우주에서 지구의 북극을 내려다볼 때 2. 지구와 달의 운동 101 기가 같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같은 면만 볼
2022-06-10 오후 2:51:37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99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98 시계 반대 방향인 서쪽에서 동쪽이다. ▲ 전향력과 물체의 진행 방향 2022-06-10 오후 2:51:38 ▲ 연주 시차 수 있다.
102 제 2 부 지도의 실제 2. 지구와 달의 운동 103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00 2022-06-10 오후 2:51:38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01 2022-06-10 오후 2:51:38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02 2022-06-10 오후 2:51:39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03 2022-06-10 오후 2:51:42
② 차시별로 교과서 이미지, 차시 운영 방안(학습 목표, 수업 흐름, 수업 전 확인 사항, 과학과
핵심 역량 및 평가 방법, 지도상의 유의점, 전자 저작물 이용), 수업 흐름(수업 흐름에 따른
질문 및 예시 답안, 수업 도우미, 평가 기준 예시, 정답 및 지도 지침이 기록된 『실험 관찰』
이미지)으로 구분하여 제공하였고, 차시별 형성 평가, 참고 자료 등도 제시하였다.
차시 구분 『과학』 교과서 쪽 수업 흐름
1 2 3 4 5 6 7 8 9 10 11 차시 『과학』 22 쪽~23 쪽
수업 흐름 • 분수대 앞에서 찍은 사진들을 시간 순서대로 어떻게
놀이공 에서 찍은 사진의 순서 찾기 시간 순서대로 사진 정리하기 정리할 수 있을까요?
『과학』 교과서 으로 이동할 때까지 재미있게 놀았습니다. 집으로 돌아와 놀이공원에서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진들을 시간 순서대로 써 봅시다. 도입 - 태양의 위치가 동문 쪽에서 서문 쪽으로 바뀌는
만세는 아침 일찍 놀이공원에 갔습니다. 동문 쪽에 떠 있던 태양이 서문 쪽
것을 보고 시간 순서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찍은 여섯 장의 사진들을 꺼내 보니 사진이 뒤섞여 있었습니다. 놀이공원 1 2 3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진의 순서 찾기 내용 알아보기
지도와 사진을 살펴보고, 사진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해 봅시다. • 만세는 놀이공원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놀았나요? - 분수대 앞에서 찍은 사진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
면 3`번, 6`번, 1`번 순서입니다.
놀이 기구를 타러 가기
이미지 어떻게 움직였는지 오늘 하루 동안 전에는 항상 분수대 앞에서 분수 공연을 보는 모습 롤러코스터를 타는 모습 분수대 앞에 서 있는 모습 - 태양이 동문 쪽에서 서문 쪽으로 이동할 때까지 • 놀이공원 지도와 사진을 함께 살펴보며 사진들을 시 2 단원 표시
사진을 찍었네.
지도에 표시했어.
놀았습니다.
4 5 간 순서대로 정리해 봅시다. 단원
6 • 만세는 놀이공원에서 어떻게 움직였나요?
롤러코스터 대관람차 - 분수대 앞에서 사진을 찍고, 회전목마를 타러 갔 - 3`번, 4`번, 6`번, 2`번, 1`번, 5`번 순서대로 사진
오후 3 시 습니다. 을 찍었습니다.
회전목마를 타는 모습 대관람차를 타는 모습
풍선을 받는 모습 - 롤러코스터를 타러 가기 전 분수대 앞에서 한 번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더 사진을 찍었습니다.
분수대 동문 4 • 과학적 탐구 능력 만세가 분수대 앞에서 찍은 사진들
오후 7 시 - 롤러코스터를 탄 후 분수대를 지나서 대관람차를 을 비교해 설명하게 한다. → 질문 예시: 분수대
타러 갔습니다.
서문 5 2 앞에서 찍은 사진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놀이공원 지도와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진들을 살펴
인지 설명하게 한다.
회전목마 사진의 순서를 어떻게 알아냈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보면서 사진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해 봅시다.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사진의 순서를 정한 기준이 무엇
오전 10 시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
차시 운영 22 22 23 23 전개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초등과학6-1_②단원(21~44)OK.indd 22 2022-06-09 오후 2:42:01 초등과학6-1_②단원(21~44)OK.indd 23 2022-06-09 오후 2:42:03 태양의 위치를 비교하는 활동에 호기
차시 운영 방안 과학과 핵심 역량 및 평가 방법 활동하기 태도 심을 가지고 참여했는가? 탐구의
방안 학습 목표 핵심 역량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시간 순서대로 사진 정리하기 관찰 문제 해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
는가?
태양의 위치로 사진의 순서를 찾는 문제 해결 활동을
평가 방법 관찰 평가 ‣ 구성 의도 그림 속 단서를 통한 문제 해결 활동으로 평가 분수대 앞에서 찍은 사진 속 태양의
통해 태양의 위치 변화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질 수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 변화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 위치를 비교해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 기준
있다. 질 수 있게 하였다. 탐구
‣ 활동 목표 문제 해결 활동을 통해 하루 동안 태양의 사진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한 기준을
수업 흐름 지도상의 유의점 위치 변화를 인식하도록 한다. 설명할 수 있는가? 예시
‣ 활동 유의 사항 태양의 위치를 비교할 때에는 지구의 평가 피드백 활동 수행 과정의 태도, 탐구와 참여도를 상중하로 구분
도입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놀이공원에서 찍은 사진의 • 지구의 자전을 배우기 전의 활동이므로 하루 동안 태 자전과 같은 과학적 개념을 언급하지 않고, 사진에서 해 간략하게 문장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10 분) 순서 찾기 내용 알아보기 양의 위치 변화에 대한 원인은 설명하지 않고,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인식하는 정도 찾을 수 있는 단서를 바탕으로 하여 비교하도록 한다.
전개 시간 순서대로 사진 정리하기
(25 분) 로 지도한다. • 여섯 장의 사진 중 놀이 기구에서 찍은 사진들은 무
• 지구의 움직임에 따른 태양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과 엇인가요? 정리
정리 활동 정리하기
(5 분) 학적 개념보다는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 변화에 흥미 - 회전목마에서 찍은 사진은 4`번입니다. 활동 정리하기
를 느끼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지도한다. - 롤러코스터에서 찍은 사진은 2`번입니다.
• 사진의 순서를 어떻게 알아냈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 대관람차에서 찍은 사진은 5`번입니다. - 사진 속 태양의 위치를 보고 알아냈습니다.
수업 전 확인 사항 • 1`번, 3`번, 6`번 사진의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수업 도우미 활동 정리 방법 ‘탐구’의
준비물은 아래와 같이 준비한다. 전자 저작물 이용 - 1`번, 3`번, 6`번 사진은 분수대 앞에서 찍었습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 차시 수업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단원에서
• 분수대 앞에서 찍은 사진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개인별 필기도구 교수 · 학습 자료실 학습 지도안, 수업 PPT - 태양의 위치가 다릅니다.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 변화와 태양의 위치가 변하는 까닭에 대해 상세한 해설
공부할 것을 안내한다.
104 제 2 부 지도의 실제 2. 지구와 달의 운동 105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04 2022-06-10 오후 2:51:44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05 2022-06-10 오후 2:51:44
실험 관찰
확인 해요 참고 자료 다양한
탐구 2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 관측하기 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 동쪽 )에서 서쪽으 태양, 달, 별의 일주 운동
관측 장소의 남쪽을 중심으로 기준이 될 수 있는 주변 건물이나 나무 등을 그리고, 1`시간 로 달라집니다. 일주 운동은 지구의 자전 때문에 천체들이 하루에 한
2 의사소통 능력 저녁 무렵에 동쪽에서 관측한 달의 위 바퀴씩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겉보기 운동을 말한다. 참고 자료
간격으로 관측한 달의 위치와 시각을 기록해 봅시다. 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방향으로 달라질지 이야 지구의 자전으로 지구가 움직여도 지구에 있는 관측자에
도움말 직접 관측이 어려울 경우 천체 관측 프로그램을 이용해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를 관측할 수도 있어요. 게는 지구가 정지해 있고, 태양, 달, 별이 움직이는 것처
지도 방향 기해 봅시다. 2
오후 10`시 이후는 자정 2 지도 방향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를 떠올려 보게 한다. 럼 보인다.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단원
너무 늦은 시간이기 단원 예시 답안 저녁 무렵 동쪽에서 관측한 달의 위치는 시간이 지나 천체들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위치가 달라진다.
때문에 학생들이 관 면서 서쪽으로 달라질 것이다. 지구는 24`시간 동안 360°를 자전하기 때문에 1`시간
측해 기록하는 것이 오후 10`시 오후 11`시 오전 1`시 오전 2`시 풀이 하루 동안 달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위치가 달라진다. 에 15°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하루 동안
어렵다. 스마트 기
기를 사용한 조사 태양과 달도 1`시간에 15°씩 동쪽에서 서쪽으로 위치가 ‘스스로 확인해요’
활동으로 대신 하게 오후 9`시 오전 3`시 달라진다. 별의 일주 운동도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와 마
한다. 형성 평가 찬가지로 1`시간에 15°씩 지구의 자전 방향과 반대 방향
오후 8`시 오전 4`시
으로 회전한다.
1 다음은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에 대한 학
오후 7`시 오전 5`시 생들의 대화입니다. 잘못 말한 학생은 누구인지 써 별의 일주 운동은 위도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우리 해설
봅시다. 나라와 같은 중위도 지방에서는 별이 지평선에 비스듬
하게 뜨고 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리: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같은 방향으 북극성 천구
적도
로 달라져. 동
동 남
동 남 서 서 •대한: 태양은 오전 9`시 무렵에 서쪽에서 볼 수 위도 90$-위도
있어. 지평선 서
『실험 관찰』에 하루 동안 달은 동 쪽에서 서 쪽으로 •두리: 하루 동안 달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위치가 우리나라에서 별의 일주 운동을 관측하면 북쪽 하늘
▲ 중위도 지방의 별의 일주 운동
달라져.
에서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면서 시계 반대 방
위치가 달라진다.
( 대한 ) 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남쪽 하늘에서 별은
대한 상세한 풀이 태양은 오전 9`시 무렵에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위치가 달라지며 동쪽과 서쪽 하늘
정리해 볼까요 2 다음은 하루 동안 관측한 태양의 위치를 나타낸 모습 에서는 별이 지표면에 비스듬히 뜨고 지는 모습을 관측
할 수 있다.
해설 탐구 1 과 탐구 2 에서 하루 동안 관측한 태양과 달의 위치는 어떻게 달라졌나요? 입니다. 오후 5`시 무렵에 보이는 태양의 기호를 써
봅시다.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위치가 달라졌다. .
㉡
▲ 북쪽 하늘 ▲ 남쪽 하늘
평가 해요 ㉠ ㉢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를 관측할 때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참여했나요? 동 남 서 차시별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를 관측했나요?
( ㉢ )
지도 방향 학생 스스로 학습 태도, 학습 내용을 평가해 보게 한다. 이 외에도 필요한 평가 요소에 따라 평가 기준을 풀이 오후 5`시 무렵은 태양이 질 무렵으로 가장 서쪽에 있는
13 추가하여 평가하게 할 수 있다.
13 ㉢이 정답이다. ▲ 동쪽 하늘 ▲ 서쪽 하늘 형성 평가 문제
110 제 2 부 지도의 실제 2. 지구와 달의 운동 111
초등과학(실험)6-1_②(12~19)OK.indd 13 2022-04-08 오후 7:17:41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10 2022-06-10 오후 2:51:48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11 2022-06-10 오후 2:51:52
52 제 1 부 2015 개정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