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ele_science_6-1_tutor
P. 55
‘단원 마무리하기’의 정답과 해설
11
1 2 3 4 5 6 7 8 9 10 차시 『과학』 42 쪽~43 쪽 『실험 관찰』 18 쪽~19 쪽
생 그물 각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과학 기술
이렇게 정리해요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예술 조선 시대 별자리 그림, • 과학적 사고력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적혀 있는 내용
하기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고, 『과학』 123`쪽에서 알맞은 붙임딱지를 찾아 붙여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 변화: 달은 약 7 일 주기로 모양 변화를 실험 관찰 「천상열차분야지도」 의 특징을 설명하게 한다.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반복함.
지구의 자전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우리나라의 과거 별자리의 •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조사
모습을 증강 현실 기술로 보여 주었습니다. 이 별자리들은 「천상열차분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은 붙이는 곳 붙임딱지 붙이는 곳 붙임딱지 붙이는 곳 붙임딱지 붙이는 곳 붙임딱지 야지도」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었습니다. 하는 활동을 통해 천문학과 관련 있는 과거 우리
1 에서 2 (으)로 위치가 달라짐.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관측한 천체들을 12`개의 범위로 나누어 차례 문화유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탐색하게 한다.
지구의 3 :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음력 2 일 ̄3 일 음력 7 일 ̄8 일 음력 15 일 22 일 ̄23 일 음력 27 일 ̄28 일 음력 문제로 확 확인 하기 로 늘어놓은 그림이라는 뜻으로, 이 그림에는 조선 시대에 보였던 1467`개
하루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하는 것 의 별과 290`개의 별자리가 그려져 있습니다. 별자리뿐만 아니라 태양과 2
동해 여러 날 동안 달의 위치 변화: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 관측한 달은 서쪽에서 달, 행성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과거 우리나라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 지구와 단원
4 의 자전 때문에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운동 8 (으)로 날마다 위치가 달라짐. 다음 중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방향을 옳게 짝 지은 것은 어느 것입 자료참고 다음 보기 에서 계절별 별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두 가지 골라 기호를 써 봅시다.
밤하늘의 모습을 짐작하게 해 주는 소중한 자료입니다.
달의 위치가 달라지고 낮과 밤이 나타남. 지구의 자전 1 4
음력 7`일 ̄8`일 니까? (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자리
)
①
지구의 공전 보기 2
계절에 따라 볼 수 있는 별자리가 달라짐. 음력 10`일 ̄11`일 음력 5`일 ̄6`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정중앙은 북극이며 가장 바깥 단원
지구의 공전: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태양 달 태양 달 ㉠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은 지구가 공전하기 때문이다. 2
5 (으)로 회전하는 것 음력 15`일 음력 2`일 ̄3`일 ① 동쪽 → 서쪽 동쪽 → 서쪽 ② 동쪽 → 서쪽 서쪽 → 동쪽 둘레는 365`개의 눈금으로 나뉘어 있고 총 1467`개의 ㉡ 봄철 남쪽 하늘에서 보이던 별자리는 같은 시각 가을철 남쪽에서 볼 수 있다. 단원
동 남 서
③ 서쪽 → 동쪽 동쪽 → 서쪽 ④ 서쪽 → 동쪽 서쪽 → 동쪽 별이 표시되어 있다. 북극을 중심으로 주극원이 표시되 ㉢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는 어느 계절에 하루 동안 밤하늘을 관측했을 때 오래
평가 해요 ⑤ 달라지지 않음. 달라지지 않음. 어 있으며, 주극원의 안쪽에 있는 별들은 조선 시대 한 보이는 별자리이다.
양에서 계절과 관계없이 항상 지평선 위에 떠 있는 별
동해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을 지구의 자전으로 『과학』 점검하기 풀이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동쪽에서
설명할 수 있나요? 24 쪽 ~ 27 쪽 들이다. 주극원 안에는 161`개의 별자리가 있다.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할 수 서쪽으로 달라진다. ( ㉠ , ㉢ )
동해 있나요? 30 쪽 ~ 35 쪽 풀이 지구의 공전 때문에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진다. 봄철 남쪽 하늘에서 보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보이는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를 설명할
때문에 수 있나요? 36 쪽 ~ 39 쪽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이던 별자리는 같은 시각 가을철에는 볼 수 없다. 어느 계절에 하루 동안 밤하늘을 관측했 『실험 관찰』 교과서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 지구의 6 생 그물 을 완성하고, 『실험 관찰』 18 쪽 ~ 19 쪽의 ‘문제로 확인하기’를 풀며 실력을 키워 봅시다. 을 때 오래 보이는 별자리를 그 계절의 대표적인 별자리라고 한다.
각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고 보이는 위치도 달라짐. 2 다음은 지구의 자전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입니다. 옳게 말한 학생은 누구인지 써 봅시다. 주극원
조선 시대에 관측한 별자리는 지금과 어떻게 다를지 생각해 봅시다.
42 42 43 43 44 44 5 다음 중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 같은 장소에서 관측한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에 대
지구는 지구는 자전축을 지구가 자전하면서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③ )
초등과학6-1_②단원(21~44)OK.indd 42 2022-06-09 오후 2:43:21 초등과학6-1_②단원(21~44)OK.indd 43 2022-06-09 오후 2:43:25 하루에 두 바퀴씩 중심으로 서쪽에서 태양 빛을 받는 곳은
초등과학6-1_②단원(21~44)OK.indd 44
2022-06-09 오후 2:43:28
회전해. 동쪽으로 회전해. 밤이 돼. ① 달의 모양은 변하지 않는다. ‘문제로 확인하기’의
생 그물 각 6 공전 ② 달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풀이 지구의 공전으로 지구의 위치가 달라져 계절에 따라 볼 수 ‣ 활용 방법
지구의 자전 있는 별자리가 달라진다. •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 방송을 보여 주 ▲ 「천상열차분야지도」–주극원 ③ 음력 7`일 ̄8`일에는 상현달이 보인다.
1 동쪽 2 서쪽 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주극원 바깥쪽에는 주극원보다 큰 원 두 개가 위치해 ④ 달은 약 20`일 주기로 모양 변화를 반복한다.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
풀이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달을 관측하면 달의 모양과 위치는
풀이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은 지구의 자전 방향(서쪽 → 동쪽)과 7 30 • 조선 시대 별자리의 모습을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 민준 있다. 중앙에 위치한 원은 천구의 적도이다. 지구의 적 ⑤ 태양이 진 직후 여러 날 동안 달을 관측하면 달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날마다 위치가 정답과 해설
누리
나라
달라진다.
반대 방향(동쪽 → 서쪽)으로 위치가 달라진다. 찾아볼 수 있게 한다. ( 나라 도를 천구까지 투영한 것으로 이를 따라 하늘을 12 등 변한다. 음력 7`일 ̄8`일에는 상현달이 보인다. 달은 약 30`일 주기
)
분으로 나누었다. 중앙에서 약간 치우친 위치에 표시된
풀이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회전하며, 지구의 로 모양 변화를 반복한다. 태양이 진 직후 여러 날 동안 달을 관측하
• 학생들은 「천상열차분야지도」에 기록된 별자리를 살
3 자전 원은 태양이 지나가는 경로인 황도이다. 태양이 1`년 사고력 문제 해결력 면 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날마다 위치가 달라진다.
펴보고 지금과 무엇이 다른지 생각해 과학 글쓰기
풀이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 자전으로 인해 태양 빛을 받는 곳은 낮이 되고, 태양 빛을 받지 못하는 곳은 밤이 된다. 동안 별자리들의 사이를 어떤 궤도로 운행하는지 기록 6 다음은 지구와 태양의 모습입니다. ㉠과 ㉡ 중 낮이 되는 곳을 찾아 기호를 쓰고, 낮과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구의 자전이라고 한다. 풀이 달의 모양은 약 30`일을 주기로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 보도록 한다. 밤이 하루에 한 번씩 번갈아 나타나는 까닭을 설명해 봅시다.
현달, 그믐달로 변한다. 한 것이다. 별은 점으로 표시했고 점의 크기에 차이를
4 지구 3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보기 에서 골라 각각 써 봅시다. 두어 별의 밝기까지 나타냈다.
풀이 지구의 자전 때문에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 8 동쪽 보기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천구의 황도
고 낮과 밤이 나타난다. 풀이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에 달을 관측하면 초승달이 서 조선 시대에 관측한 별자리는 지금과 어떻게 다를지 ㉠ ㉡
태양 달 하루 1`년
쪽에서 보이고 상현달이 남쪽에서 보이며 보름달이 동쪽에서 보
생각해 봅시다.
인다.
지도 방향 관측한 별자리들이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어떻게 기록되
)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
㉡
)을/를 중심으로 (
른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보도록 지도한다.
지구의 공전 평 가 해요 지구가 ( 어 있는지 사진을 보며 생각해 보게 한 후 지금의 별자리와 무엇이 다
회전하는 것을 지구의 공전이라고 한다. ⑴ 낮이 되는 곳: ( ㉡ )
5 동쪽 평가 피드백 학습한 내용을 생각하며 ‘스스로 평가해요’에 색칠하는 예시 답안 조선 시대에 관측한 별들의 위치와 지금 관측했을 때 보이
천구의 적도
태양
), ㉡: (
풀이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쪽 과정에서 아쉬운 부분은 해당 쪽으로 돌아가 부족한 부분을 학습할 는 별들의 위치는 서로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천상열차분야지도」에 1`년 ) ⑵ 까닭: 예시 답안 지구가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하기 때문에 낮과 밤이 하루에 한 번씩
㉠: (
그려진 별자리의 모습은 지금의 별자리의 모습과 다르게 보인다.
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구의 공전이라고 한다. 수 있게 한다. 풀이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구의 ▲ 「천상열차분야지도」–천구의 적도와 황도 풀이 태양 빛을 받는 곳이 낮이 되고, 태양 빛을 받지 못하는 곳이 밤이 된다.
번갈아 나타난다.
18 공전이라고 한다. 지구가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하기 때문에 낮과 밤이 하루에 한 번씩 19
136 제 2 부 지도의 실제 18 2. 지구와 달의 운동 137 번갈아 나타난다. 19
초등과학(실험)6-1_②(12~19)OK.indd 18 2022-04-08 오후 7:17:42 초등과학(실험)6-1_②(12~19)OK.indd 19 2022-04-08 오후 7:17:44
138 제 2 부 지도의 실제 2. 지구와 달의 운동 139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36 2022-06-10 오후 2:53:10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37 2022-06-10 오후 2:53:12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38 2022-06-10 오후 2:53:12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39 2022-06-10 오후 2:53:12
③ 대단원별로 단원 평가, 수행 평가, 서술형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자 저작물에 있어요.
1 다음은 하루 동안 같은 장소에서 관측한 태양의 모 3 다음은 지구의 자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 [5~6] 다음은 지구 역할을 하는 학생이 전등을 등지고 전자 저작물에 있어요.
7
다음 중 달의 이름과 그 달을 관측할 수 있는 날짜를
습입니다. 먼저 관측한 순서대로 태양의 기호를 써 입니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각각 써 서쪽에서 동쪽으로 전등 주위를 회전하며 계절별 별자 옳게 짝 지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④ )
봅시다. 봅시다. 리를 관찰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물음에 답해 봅시다. 달의 이름 날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 ㉣ ① 그믐달 음력 2`일 ̄3`일 전자 저작물에 있어요.
지구가 자전하면서 태양 빛을 받는 곳은 2
㉡ ( ㉠ )이/가 되고, 태양 빛을 받지 못하는 곳 1 다음은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 변화에 대한 나라와 ㉡ 성취 기준 6과 09-01 ㉢ ② 보름달 음력 7`일 ̄8`일 3 다음은 우리나라에서 4`월 20`일 오후 9`시 무렵 예시 답안 사자자리는 오후 9`시 무렵에 여름철에는 서쪽에서 보이
단원
③
1
에 관측한 밤하늘의 모습입니다. 사자자리가 같은
전등
은 ( ㉡ )이/가 된다. 민준이의 대화입니다. 물음에 답해 봅시다.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상현달 음력 15`일 오른쪽은 같은 장소에서 하루 동안 태양과 태양의 위치 변화 고, 겨울철에는 동쪽에서 보인다. 별자리가 보이는 위치가 달라지 3 다음은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관측한 달의 모습입니다. 물음에 답해 봅시다.
시각 여름철, 겨울철에 관측되는 방위를 쓰고, 별
설명할 수 있다. ④ 하현달 음력 22`일 ̄23`일 는 까닭은 지구가 공전하기 때문이다.
㉠ ㉢ • 나라: 어제 하루 동안 태양을 관측했는데 태 ⑤ 초승달 과학적 사고력 달의 위치 변화를 관측하여 기록한 것입니다. 오전 7`시 30`분 오후 12`시 30`분 풀이 겨울철 동쪽에서 보이던 사자자리는 같은 시각 봄철에는 남 2 단원 과학적 사고력
음력 27`일 ̄28`일
㉠: ( 낮 ), ㉡: ( 밤 ) 예시 답안 (1) ㉠ 동, ㉡ 서 자리가 보이는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을 설명해 봅
오후 5`시 30`분
동 남 서 양의 위치가 ( ㉠ )쪽에서 ( ㉡ )쪽 (2) 낮과 밤이 하루에 한 번씩 번갈아 나타난다. 성취 기준 6과 09-03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방 쪽, 여름철에는 서쪽으로 위치가 달라진다. 지구의 공전으로 지구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시다.
향을 쓰고, 그 까닭을 설명해 봅시다.
달의 모양과
( ㉠ ) → ( ㉡ ) → ( ㉢ ) 성취 기준 6과 09-01 으로 달라졌어. 풀이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쪽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달의 위치 변화 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고, 별 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
• 민준: 응,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가 달라지는 자리들이 보이는 위치도 달라진다.
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성취 기준 6과 09-01 으로 설명할 수 있다. 까닭은 지구의 자전 때문이야. 5 위 실험에서 지구 역할을 하는 학생이 ㉡ 다음으로 있다. 오후 7`시 자정 오전 5`시 단원
평가 기준
달라지며, 낮과 밤이 하루에 한 번씩 번갈아 나타난다. 풀이 음력 2`일 ̄3`일에는 초승달, 음력 7`일 ̄8`일에는 상현달,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 풀이 지구가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하기 때문에 태양 빛을 받는 볼 수 있는 계절별 별자리의 기호를 순서대로 써 봅 동 남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사자자리의 위치를 설명하고,
서
시다.
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곳은 낮이 되고, 태양 빛을 받지 못하는 곳은 밤이 된다. ⑴ 위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각각 써 평가 기준 음력 15`일에는 보름달, 음력 22`일 ̄23`일에는 하현달, 음력 27 상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보이는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
㉡ → ( ㉢ ) → ( ㉣ ) → ( ㉠ ) 일 ̄28`일에는 그믐달을 관측할 수 있다.
풀이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달라진다. 따 봅시다. 상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고, 지구의 자 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했다. ㉠ ㉡ ㉢
라서 태양의 위치가 동쪽에 가까울수록 빠른 시각에 관측한 것 ㉠: ( ), ㉡: ( 성취 기준 6과 09-02 ) 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했다. 성취 기준 6과 09-01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보이는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
이다. ⑵ 지구의 자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한 가지 설명 중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 변화를 설명했다.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중 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했다. ⑴ 위와 같은 달을 관측할 수 있는 음력 날짜를 달의 이름과 함께 각각 설명해 봅시다.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
명할 수 있다.
하
해 봅시다. 하 지구의 자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했다. 예시 답안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달라진다.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동쪽에서 서쪽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사자자리의 위치를 설명했다.
남
동
서
풀이 지구 역할을 하는 학생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전등 주위를 으로 달라지는 까닭은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이다.
회전하면 ㉡, ㉢, ㉣, ㉠의 순서대로 계절별 별자리가 보인다. 풀이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달라진다.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서
성취 기준 6과 09-02
6 다음은 위 실험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입니다. 잘못 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면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달라진다.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
2 다음 중 지구의 자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4 다음 중 계절별 별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말한 학생은 누구인지 써 봅시다. 8 다음은 음력 1`일부터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 할 수 있다. 평가 기준 ⑵ 태양이 진 직후 같은 장소에서 달을 관측했을 때 달이 보이는 순서대로 기호를 쓰고, 달이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방향을 설명하고, 그 까닭을 지구의 자전과 관련지어 설명
은 어느 것입니까? ( ④ ) 어느 것입니까? ( ④ )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관측한 달의 모양과 위치 변화를 나타낸 것입니다.
•우리: 이 실험은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 변화에 상 보이는 방향 변화를 설명해 봅시다.
했다.
①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한다. ① 봄철과 여름철 대표적인 별자리는 같다. 2 다음은 하루 동안 같은 장소에서 시간에 따라 보름 대해 알아보는 실험이야. 가장 나중에 관측한 달의 모습을 찾아 기호를 써 봅
성취 기준 6과 09-01
②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② 가을철과 겨울철 대표적인 별자리는 같다. •나라: 지구 역할을 하는 학생의 위치에 따라 다 시다. 중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을 지구의 자전과 관련지어 설명했다.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탐구 능력
③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한다. ③ 각 계절마다 대표적인 별자리는 한 개뿐이다. 달을 관측해 기록한 것입니다. 물음에 답해 봅시다.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하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방향을 설명했다.
설명할 수 있다.
른 계절의 별자리가 보여. ㉢
4
④ 지구의 자전 때문에 하루 동안 태양의 위치는 서 ④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는 하루 동안 그 계절의 •만세: 전등 주위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하 ㉡ 2 ㉣ 오른쪽 별자리를 봄철 대표적인 별자리라고 부르는 까닭을 설 예시 답안 7 일 뒤에는 ㉠에 위치한 달을 볼 수 있다. 여러 날 동안 태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 같은 장소에서 달을
예시 답안 (1) ㉡
쪽에서 동쪽으로 달라진다. 밤하늘에서 오래 보이는 별자리이다. 는 까닭은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서쪽 ㉠ 명해 봅시다. ㉤ 관측했습니다. 오늘 밤 달의 위치가 다음과 같을 양이 진 직후 달을 관측하면 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날마다 위치가 성취 기준 6과 09-03
사자자리
(2) 하루 동안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까닭은 지구가 서쪽에서 동
⑤ 지구의 자전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낮과 밤이 하 ⑤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는 하루 동안 그 계절의 에서 동쪽으로 공전하기 때문이야. 과학적 사고력 때 약 7`일 뒤에 보이는 달의 위치를 골라 기호를 목동자리 달라지기 때문이다.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루에 한 번씩 번갈아 나타난다. 밤하늘에서 가장 짧은 시간 동안 보이는 별자리 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이다. 동 과학적 탐구 능력 서 쓰고, 그 까닭을 설명해 봅시다. 풀이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 같은 장소에서 달을 관측하면 음력 예시 답안 (1) ㉠은 음력 2`일 ̄3`일에 관측할 수 있는 초승달이다. ㉡은 음력 7`일 ̄8`일에 관측할 수 있는 상현달
남
이다. 풀이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쪽 2`일 ̄3`일에는 초승달이 서쪽에서 보이고, 음력 7`일 ̄8`일에는 상
(
우리
)
처녀자리
성취 기준 6과 09-01 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하루 동안 달의 위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달 ( ㉠ ) 오늘 현달이 남쪽에서 보이고, 음력 15 일에는 보름달이 동쪽에서 보인다. 이다. ㉢은 음력 15`일에 관측할 수 있는 보름달이다.
(2) 태양이 진 직후 같은 장소에서 달을 관측하면 ㉠, ㉡, ㉢ 순으로 달이 보인다.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 같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 성취 기준 6과 09-02 성취 기준 6과 09-02
라진다.
평가 기준
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 ⑴ 자정 이후에 관측할 수 있는 달의 위치를 골라 평가 기준 성취 기준 6과 09-03 ▲ 봄철 대표적인 별자리 여러 날 동안 주기적으로 바뀌는 달의 위치를 설명 은 장소에서 달을 관측하면 초승달이 서쪽에서 보이고, 상현달이 남쪽에서 보이고, 보름달이 동쪽에서 보인다. 이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
처럼 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날마다 위치가 달라진다.
풀이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서쪽에서 동 명할 수 있다. 기호를 써 봅시다. 명할 수 있다.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 ㉡ 상
성취 기준 6과 09-02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고, 그 까닭을 지
쪽으로 자전하는 것을 지구의 자전이라고 한다. 지구의 자전 때 풀이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며 각 계절 풀이 이 실험은 지구의 공전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이다. 지구 역 있다.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고, 그 까닭을 설명했다. 풀이 (1) 음력 2`일 ̄3`일에는 초승달, 음력 7`일 ̄8`일에는 상현달, 음력 15`일에는 보름달, 음력 22`일 ̄23`일
상
구의 자전과 관련지어 설명했다.
⑵ 위와 같이 하루 동안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까 에는 하현달, 음력 27`일 ̄28`일에는 그믐달을 관측할 수 있다.
문에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달라지 마다 대표적인 별자리는 여러 개이다.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는 닭을 설명해 봅시다. 할을 하는 학생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전등 주위를 회전하면 학생 풀이 여러 날 동안 태양이 진 직후 달을 관측하면 달은 서쪽에 동 남 서 중 여러 날 동안 주기적으로 달의 위치가 바뀌는 까닭 (2) 음력 2`일 ̄3`일에 관측할 수 있는 초승달은 태양이 진 직후 서쪽에서 보인다. 음력 7`일 ̄8`일에 관측할 수 있는
예시 답안 사자자리, 목동자리, 처녀자리는 봄철에 하루 동안 밤하늘을 관측했을 때 오래 보이는 별자리이기 때문이다.
며, 낮과 밤이 하루에 한 번씩 번갈아 나타난다. 하루 동안 그 계절의 밤하늘에서 오래 보이는 별자리이다. 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진다. 하루 동안 달의 위치가 변하는 까닭을 지구의 자전 을 설명했다.
서 동쪽으로 날마다 위치가 달라진다.
중
여러 날 동안 주기적으로 바뀌는 달의 위치를 설명
성취 기준 6과 09-03
과 관련지어 설명했다. 풀이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는 그 계절에 하루 동안 밤하늘을 관측했을 때 오래 보이는 별자리를 말한다. 봄철 대 상현달은 태양이 진 직후 남쪽에서 보인다. 음력 15`일에 관측할 수 있는 보름달은 태양이 진 직후 동쪽에서 보인다.
하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하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를 설명했다. 표적인 별자리인 사자자리, 목동자리, 처녀자리는 봄철에 하루 동안 밤하늘을 관측했을 때 오래 보인다. 했다. 평가 기준
140 제 2 부 지도의 실제 2. 지구와 달의 운동 141
평가 기준 상 달을 관측할 수 있는 음력 날짜와 달의 이름을 설명하고, 여러 날 동안 달을 관측했을 때 달이 보
상 봄철 대표적인 별자리의 의미를 설명했다. 이는 순서와 방향 변화를 설명했다.
중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의 의미를 설명했다. 중 여러 날 동안 달을 관측했을 때 달이 보이는 순서와 방향 변화를 설명했다.
142 제 2 부 지도의 실제 2. 지구와 달의 운동 143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40 2022-06-10 오후 2:53:13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41 하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의 의미를 설명하지 못했다. 하 달을 관측할 수 있는 음력 날짜와 달의 이름을 설명했다.
2022-06-10 오후 2:53:14
144 제 2 부 지도의 실제 2. 지구와 달의 운동 145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42 2022-06-10 오후 2:53:14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43 2022-06-10 오후 2:53:15
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44 2022-06-10 오후 2:53:15초등과학(지도서)6-1_②(094~145)OK.indd 145 2022-06-10 오후 2:53:16
제3부 과학 교육의 이해
① 과학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과학의 본성, 과학 탐구 과정, 과학 학습 이론, 과학 학
습 모형, 과학 교수·학습 방법, 과학 학습 평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② 과학실(실험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에 대한 과학 안전 지도 내용을 구성
하였다.
1 과학의 본성 미래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면서 핵심 역량과 과학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반성적 시민으로서
전승준 외(2017)는 과학적 소양을 ‘과학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회적 경험에 적용하는 것,
2 과학 관련 이슈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의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제
시된 미래 세대 과학 교육 표준[KSES: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 for the
과학 탐구 과정
사파(SAPA)에 기초한 탐구 과정 기능
1
현대 사회의 과학 기술은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미래를 이끌어 나갈 수 Next Generation]에서는 과학적 소양을 ‘과학 관련 역량과 지식을 지니고 개인과 사회
사파(SAPA)에서는 과학 탐구에서 사용되는 기능들을 ‘기초 탐구 과정 기능(basic
있도록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 기술 창조력을 겸비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 요구된다 의 문제 해결에 민주 시민으로서 참여하고 실천하는 태도와 능력’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교육부, 2015).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대부분의 국가에서 과학 교육을 통해 3 (송진웅 외, 2018). 과학적 소양은 역량, 지식, 참여와 실천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며, 이
process skills)’과 ‘통합 탐구 과정 기능(in&tegrated process skills)’으로 구분해 제시했
요소들이 함께 잘 어우러져야 완성된다.
미래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과학 학습 이론 다. 이 중 기초 탐구 과정 기능에는 관찰하기(observation), 공간 및 시간 관계 사용하기
보와 통합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이렇게 인지적 비평형 상태에서 인지 구조의 변화를
과학 교육의 목표를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나눈다면 하나는 과학 지식을 이해하는 것이고,
통해 새로운 평형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을 조절이라고 한다.
현대 과학 교육의 목표는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를 길러 개인과 (using space /time relationships), 수 사용하기(using numbers), 측정하기(measuring),
다른 하나는 그 지식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는 것
인지 발달 이론에서 평형화는 동화와 조절 두 과정에 의해 형성된다고 하지만, 학습을 불연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데 있다. 이를 분류하기(classification), 의사소통하기(communicating), 예상하기(predicting), 추론
은 과학 탐구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과학 탐구는 과학자의 과학 활동의 핵심을 가장 잘 드
속적인 인지 구조의 변화로 보는 관점은 조절을 더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지 구조는
위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학교에서 학습하는 과학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4 하기(i&nferring)가 포함되며, 통합 탐구 과정 기능에는 가설 설정하기(formulating
2
러내며, 과학자의 탐구 수행 과정에서 과학적 방법은 특정한 절차가 정해져 있지 않고 매우 과학 학습 모형 발견 학습 모형
hypothesis), 변인 통제하기(controlling variables), 자료 해석하기(in&terpreting
2
과학의 본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과학 학습 이론은 과학을 배우는 학습자가 과학 지식의 특성에 근거해 그것의 의미를 이해 평형화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위로 발달한다. 인지 발달의 네 단계는 다음과 같다.
과학의 본성
다양하며 복합적이다. data), 조작적으로 정의하기(defining operationally), 실험하기(experimenting)가 포 ▼ 인지 발달의 단계 과학자는 탐구 대상을 관찰, 측정 등으로 탐구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탐색해 발견 학습 모형을 적용
하고 자신의 인지 구조에 체화하는 인지적 과정을 이론화한 것이다. 따라서 과학 학습 이론은
196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당대의 혁신적 교육과정인 사파[SAPA: Science–A Process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면 교수·학습 방향의 항목에서 과학의 잠정성, 단계 특징 개념을 발견하고 일반화한다. 즉, 과학자가 발견한 개념이나 법칙 등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 할 때의 유의점
함된다.
교육학에서 다루는 지식 습득의 인지적 과정에 관한 일반 이론을 과학 지식의 특성에 적용하는
Approach]는 지식의 구조와 체계를 중시하는 학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으로 탄생했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 과학 윤리,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련성, 과학적 모델의 특성 등 감각 운동기 비언어, 반사 행동(울음, 빨기, 쥐기), 놀이, 모방, 대상 영속성 •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제6 차 교육과정 이후 이 내용이 명시적으로 등장했고,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하다. 1990`년대 이후 국내의 과학 교육학 서적에서는 과학 학습
다. 과학 지식 자체보다는 과학 탐구에 필요한 능력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과학 탐구 능력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내용을 적절한 소재를 활용하여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교육부, 2015). 언어 사용, 상징적 사고, 자기중심적 사고, 중심화 료를 탐색해 얻은 결과이다.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
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탐구 과정 기능을 연습할 수
1 과학적 소양 을 작은 단위의 ‘기능’ 혹은 ‘과정’으로 단순화해 제시했고, 이것은 ‘탐구 과정’, ‘탐구 기능’, ‘탐 과학의 본성은 과학이 지닌 본질적인 속성을 의미한다(이영희, 2013 & 보존 개념 형성, 서열화, 관계화, 덧셈·뺄셈·곱셈·나눗셈 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규칙성을 발견하고 개념을 형성하는 데 초 • 제시할 자료를 충분히
학습 모형은 교사가 수업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구성하는 수업의 순서와 방법 전 조작기
발견 학습 모형은 귀납적 방법에 바탕을 둔다. 이 모형에서는 학생들이 자연 현상이나 사물
이론을 대부분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행동주의 심리학은
의 총체이다. 교사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업을 조직하기 위해 수업 목적과 활동에 적합 구체적 조작기
파블로프(Pavlov, I. P., 1849 ̄1936)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쏜다이크(Thorndike, E. L., 2014). 과학의
있는 단원이 별도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탐구 과정 기
구 과정 기능’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사파(SAPA)의 탐구 과정 기능 구분은 오늘날까지
준비한다.
한 과학 학습 모형을 선택해야 한다. 과학 학습 모형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적용하려면 각 모 형식적 조작기
능에 대해 설명하며, 이에 국정 과학 교과서에 과학 탐구 단원이 구성되었다. 2015 개정 과
과학적 소양은 연구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과학적 소양은 일반적으로 ‘사회 1874 ̄1949)의 도구적 조건화 이론, 스키너(Skinner, B. F., 1904 ̄1990)의 조작적 조합 논리, 비례 논리, 변인 통제, 가설적 사고, 연역적 사고 점을 맞춘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을 최종적인 형태로 제공하지 않고, 학생 • 교사의 학습 안내나 통
본성은 과학 인식, 과학 과정, 과학 방법, 과학 지식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정의적인
과학 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1960`년대 과학 교육이 이러한 ‘탐구 과정 기
구성원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과학에 대한 지식과 이해’로 정의되며(김찬종 외, 조건화 이론 등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아동의 학습을 관찰이나 측정을 통한 검증 가능한 들 스스로 최종적인 형태를 발견하도록 요구하는 상황에서 학습이 일어난다. 제를 최소화해 학생들
요소 등을 포함해 범위가 넓다. 과학은 포괄적인 인간 활동을 포함하므로 과학의 본성 또한
학과 교육과정과 국정 과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탐구 과정 기능은 ‘기초 과학 탐구 과정 기능’
형을 이해하고, 모형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조건 등을 알아야 한다. 또, 학생들이 과학을 학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
습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 학교 시설, 교육 환경 등도 고려해야 한다.
과 ‘통합 과학 탐구 과정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기초 과
능’을 지나치게 강조했고, 과학 활동에서 과학 이론이나 개념의 역할, 특정한 맥락의 중요성
다양한 관점들로 구성된다. 과학의 본성은 대략적으로 과학의 일반적 특성, 과학의 구성 요소,
2019), ‘과학과 기술의 가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에 행동의 변화로 이해한다. 예를 들어 학습을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칭찬이나 벌을 주어 2 인지 발달 이론을 적용한 과학 학습 사례 발견 학습 모형에서는 탐구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규칙성을 발견하거나 개념을 형성해야 달하게 한다.
을 간과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과학의 진보로 구성된다(김찬종 외, 1999).
학 탐구 과정 기능을 주로 활용한 활동들이 적합하고, 초등학교 중학년 이상에서는 통합 과
대해 합리적으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이나현 외, 2019). 학습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관점으로 바라본다. 다양한 과학 개념의 이해를 단순히 행동의 하루 또는 여러 날 동안 밤하늘에서 천체들의 움직임을 관찰해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천 • 학생들의 성취가 미흡
하므로 이를 위해 전략적으로 수업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수업 시간에 제시할 자료를 충분
현대에는 탐구 과정 기능이 통합적으로 작용하며 과학 개념이나 이론과 분리될 수 없다는 하면 교사가 새로운 자
과학적 소양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미국 과학 진흥회[AAAS: American 변화만으로 파악하기 쉽지 않으므로 과학 학습에서는 행동주의 학습 이론을 그대로 적용하기 체들은 지구 주위를 공전한다는 지구 중심 우주관을 인지 구조로 가진 학습자가 있다고 하 료를 제시해 중요한 부
학 탐구 과정 기능을 주로 활용한 활동들이 적합하나 학년 수준에 너무 얽매일 필요는 없다.
히 준비하고, 자료를 제시하는 순서도 구체적으로 계획한다.
과학의 본성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점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과학 탐구 과정 기능과 관련해 두 가지를 주의해야 한다. 1 경험 학습 모형 자. 이 학습자가 화성을 몇 주에 걸쳐 관찰하고 배경 별자리와 비교하면서 화성이 어느 기간 분을 암시적으로 강조
각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견 학습 모형은 규칙성 발견이나 개념 형성, 일반화를 강조한다. 따라서 이 학습 내용이
어려울 수 있다.
첫째, 실제 탐구 활동은 탐구 과정 기능의 한 가지 특정 요소만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여러 에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다가, 어느 기간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발견 하거나 일반화를 유도
주변의 구체적인 사례에서 일반적인 과학 개념이나 법칙을 이끌어 내는 것일 때 적용한다.
이 장에서는 주요 학습 이론에서 인지주의 학습 이론의 갈래로서 피아제(Piaget, J., 1896 경험 학습 모형을 적용 하는 질문을 한다.
경험 학습 모형은 그 용어가 암시하듯이 학생들이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자연
• 자연 세계와 친숙하고 이의 통합성을 존중한다. 탐구 과정 기능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관찰만 단독 과학의 일반적 특성 과학의 구성 요소 했다. 이때 학습자는 자신의 인지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 화성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그
 ̄1980)의 인지 발달 이론과 오수벨(Ausubel, D., 1918 ̄2008)의 유의미 학습 이론을, 과학의 진보
할 때의 유의점
발견 학습 모형이 적용된 수업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학습이 이루어지며, 학생들 스스
• 수학, 기술 및 과학이 서로 의존하는 중요한 방식을 이해한다. 으로 일어나기보다 관찰과 추리, 관찰과 분류가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현상이나 사물에 친숙해지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장명덕, 2014). 궤도에 있는 작은 주전원을 따라서 움직인다는 모델을 도입해 관찰한 현상을 설명했다. 이것
1
구성주의 학습 이론의 갈래로서 비고츠키(Vygotsky, L. S., 1896 ̄1934)의 사회적 구성 기초 과학 탐구 과정 기능
• 학생들이 관찰하거나
로 탐색하고 일반화할 수 있도록 교사는 주로 질문을 활용한다. 발견 학습 모형은 일반적으
분류할 수 있는 실물이
• 과학의 주요 개념과 원리를 이해한다. 둘째, 탐구 과정 기능은 정보를 얻고 사용하는 과정과 관련되므로 학생의 기존 지식이나 개 경험 학습 모형은 자연과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나 사물을 관찰, 분류 등을 통해 직접적 은 학습자가 기존의 인지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인지 구조에 맞추어
기초 과학 탐구 과정 기능은 관찰, 분류, 측정, 추리, 예상, 의사소통이다.
주의 학습 이론을 소개한다.
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 과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갖춘다. 념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관찰을 할 때에도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따 자 연 논 반 으로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학습 모형이다. 이 모형은 탐구 대상을 자유롭게 나 사진, 동영상을 충
현
교56-ㅣ05
대
그 정보를 학습하는 동화의 사례에 해당한다.
분히 준비한다.
귀
과
라 주목하는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며, 분류나 변인 통제와 같은 활동도 기존 지식의 영향을
과
반
의
• 과학, 수학, 기술이 인간의 활동임을 알고, 이들의 강점과 한계를 포함하여 이들이 무엇인지를 세 리 증 경 험 재 잠 자 기 과 탐색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1 차적인 목표라고 볼 수 있어, 새로운 학습 소재를 도입할 때 그러나 학습자가 갈릴레이(Galilei, G., 1564 ̄1642)가 발견한 자료, 즉 이오, 유로파, • 학생들은 학습 자료를 탐색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 문제를 파악한다.
•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학
납
학
학
증
계 적 가 현 정 과 적합한 학습 자료를 다 탐색 및
기
주
태
주
안다. 많이 받는다. 따라서 과학을 학습할 때 탐구 과정 기능과 개념은 함께 사용되고 발달하도록 중 수 에는 모든 학생에게 적합하다. 경험 학습 모형은 학생들의 구체적이고 조작적인 감각 경험을 • 교사는 학습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또, 교사는 학생들의 호
지
를 체 능 성 성 학 분류 추리 의사소통 문제 파악
양하게 활용한다.
가니메데, 칼리스토라는 작은 천체들이 목성 주위를 공전한다는 것과 금성의 크기와 모양이
식
도
의
능
교 56 -ㅣ 03 의
대
철
계
성
• 개인적, 사회적 목적을 위해 과학 지식과 사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시 정 중시하며, 관찰, 분류 등의 기초 탐구 기능을 익히는 데 초점을 둔다. 또, 개념을 가르치거나 • 학생들이 관찰이나 분 기심을 자극하고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달라지고 보름달 모양의 금성이 관측된다는 새로운 정보를 접한 후에는 모든 천체가 지구를
상
학
사소하거나 비과학적인 내용에 탐구 과정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과학이라고 할 수 없다. 탐 일반화를 이끌어 내기보다 과학 내용을 활용해 경험을 유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경험 학습 류에 어려움을 겪는다
면 교사가 안내자가 되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1 인지 발달 이론 ▲ 과학의 본성을 구성하는 요소 모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중심으로 공전한다는 지구 중심 우주관의 인지 구조에 인지적 갈등이 유발되어 인지적 비평 • 교사는 필요한 자료를 선택해 제시하고, 학생들은 제시된 자료를 관찰, 분류,
구 과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사실이나 용어만 학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과학을
교56-ㅣ02
어 관찰 활동을 지원
측정 등의 방법으로 자유롭게 탐색한 후 그 결과를 발표한다.
한다.
Development]에서 실시한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2018)」에서는 과학적 소양을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에서 학습은 동화(assimilation)와 조절(accommodation)에 의해 형 상태가 된다. 이 학습자는 새로운 관측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와 다 • 교사는 학생들이 탐색한 결과가 의도한 것과 다르더라도 개방적인 자세로
자료 제시 및
과학 교육을 하려면 과학과 학생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과학의 본성을 잘 이해하는
이해하는 학습을 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른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태양 중심 우주관으로 자신의 인지 구조를 변형하고,
관찰 탐색
‘교양 있는 시민으로서 과학적 사고를 가지고 과학에 관련된 문제에 참여하는 능력’으로 정의 평형화와 조직화를 거쳐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통제해 인지 구조에 학습 내용을 정착시키는 관찰 • 학생들은 준비된 학습 자료를 오감이나 도구로 관찰, 분류, 자료를 이용한 놀이 예상 • 모둠 활동으로 진행하 수용한다.
것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적이 될 수 있다. 과학의 본성을 잘 이해하려면 과학의 일반적
측정
면 긍정적 상호 작용을
자유 탐색
등을 하여 자유롭게 탐색한다.
특성과 과학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를 이해해야 한다. 초중등학교에서 과학의 본성을 교육의
경험하게 할 수 있다.
하고 있다. 과학적 소양을 몸에 익힌 사람은 과학 및 기술과 관련된 문제를 이해하고 비판적 과정으로 본다. 인지 발달 이론에서 ‘학습’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인지 구조의 변화를 의 • 학습 자료와 친숙해지고 탐구 대상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한다. 목성의 위성과 금성에 관한 관측 자료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 사례는 인지적 비평형 상태
토론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 ‘과학적 탐구의 평가 탐구 과정 목적으로 다룰 때 과학의 본성은 일반적인 수준의 주요 측면에서 논쟁의 여지가 적으며, 모든 에서 조절을 통해 인지 구조가 변형되어 평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과학 개념 기능 과학 개념 미한다. 이 변화는 학습자가 직면한 현상이나 사건이 기존의 인지 구조와 대응해 평형화되는 • 교사는 학생들의 탐색이 개념을 발견하거나 일반화하는 데 부족할 경우 보충
탐구 과정
⑴ 관찰: 관찰은 사람의 오감(시각, 후각, 청각, 촉각, 미각)이나 감각을 확장하는 도구를 사
및 설계’, ‘자료 및 증거의 과학적 해석’의 세 가지 역량이 필요하다(조성민 외, 2019). 과정이며, 평형화 과정은 동화와 조절이라는 대조적인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용해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얻는 과정이다. 즉,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한다 추가 자료 • 학생들이 더 많은 탐색을 통해 스스로 개념을 발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이므
기능
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Abd–El–Khalick & Lederman, 2000).
자료를 제시해 탐색하게 한다.
•자유 탐색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종합해 탐색 결과를 발표한다.
제시 및
탐색 결과
동화는 학습 상황에서 접한 외부의 정보를 기존의 인지 구조에 맞추는 과정이다. 만약 어떤 •교사는 학생들의 활동 수준과 내용을 파악한다. 2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 이론
317
1. 과학의 본성
316 제 3 부 과학 교육의 이해 ▲ 탐구 과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과학 개념을 ▲ 과학 학습에서는 과학 개념과 탐구 과정 발표 는 것은 눈, 코, 귀 등의 감각 기관을 사용해 사물이나 현상의 색깔, 냄새, 소리, 질감 등 관찰 탐색 로 이전 자료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해 목표 개념을 명료화하거나, 이전
•다른 학생들의 발표를 주의 깊게 듣고 자신의 탐색 결과와 비교한다.
학생이 인지 구조에 암석을 자연 상태에서 만들어졌으며 단단한 알갱이(광물)로 이루어진 딱
자료와 상반된 자료를 제시해 이미 발견한 개념을 확신하게 할 수도 있다.
학습하면 암기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과학 기능이 함께 사용되고 발달하도록 하는 것이 을 주의 깊게 탐색하는 것이다.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해 얻은 정보는 그에 대한 흥미를 유
개념과 관련되지 않은 탐구 과정 기능을 학습하는 바람직하다. 딱한 고체 덩어리로 인식하고 있다면, 그 학생이 현무암을 관찰할 때 그것이 암석의 한 종류 1 유의미 학습(meaningful learning)
것은 무의미할 수 있다. 발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해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임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이와 같이 암석에 관한 인지 구조가 강화되는 장면은 동화에 의한 피아제는 인지 구조를 거시적인 사고 체계로 이해했지만, 오수벨은 인지 구조를 단일 개념
• 교사는 탐색 결과에 대해 질문해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서 보완해야 할 점을 • 학생들은 관찰, 분류, 측정 등의 방법으로 탐색한 결과를 발표하고, 토의를
규칙성 발견 및
교사의 안내에
학습의 예로 볼 수 있다. 조절은 동화와 달리 학습자가 접한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인지 구조 파악한다. 에 관한 의미 체계로 이해했다. 오수벨은 사고 체계가 아닌 개념 단위에서 동화와 조절, 인지
거쳐 일반화하거나 규칙성을 발견한다.
초등과학(지도서)6-1_⑥3부(314~412)OK.indd 316 322 제 3 부 과학 교육의 이해 2022-04-21 오후 8:19:39초등과학(지도서)6-1_⑥3부(314~412)OK.indd 317 따른 탐색 • 교사는 새로운 관점이나 기준을 제시해 학생들이 추가로 탐색하도록 유도 2. 과학 탐구 과정 323 개념 정리 • 교사는 학생들이 탐색한 사실들로부터 경향성이나 규칙성을 발견하고 기술하
2022-04-21 오후 8:19:39
와 맞지 않을 경우, 학습자는 자신의 인지 구조에 불편함을 인식해 인지적 갈등 또는 인지적 한다. 적 평형화 과정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의 선개념과 새로운 정보가 서로 도록 안내한다. 이렇게 기술한 내용을 개념 또는 일반화한 추리라고 한다.
비평형 상태가 된다. 이때 학생은 교사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인지 구조를 변형해 새로운 정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해 동화될 때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봤다. 오수벨의 학습 이론은 인지
학생들은 스스로 탐색한 결과와 교사의 안내에 따라 탐색한 결과를 종합해 정
학생들은 발견한 규칙성이나 개념을 새로운 맥락이나 환경에 적용해 개념의 활
탐색 결과 정리
초등과학(지도서)6-1_⑥3부(314~412)OK.indd 322 330 제 3 부 과학 교육의 이해 2022-04-21 오후 8:19:39초등과학(지도서)6-1_⑥3부(314~412)OK.indd 323 2022-04-21 오후 8:19:40 적용 및 응용 3. 과학 학습 이론 331
리한다.
용 범위를 넓힌다.
▲ 경험 학습 모형의 요소와 단계 ▲ 발견 학습 모형의 요소와 단계
초등과학(지도서)6-1_⑥3부(314~412)OK.indd 330 336 제 3 부 과학 교육의 이해 2022-04-21 오후 8:19:40초등과학(지도서)6-1_⑥3부(314~412)OK.indd 331 2022-04-21 오후 8:19:40 4. 과학 학습 모형 337
초등과학(지도서)6-1_⑥3부(314~412)OK.indd 336 2022-04-21 오후 8:19:41초등과학(지도서)6-1_⑥3부(314~412)OK.indd 337 2022-04-21 오후 8:19:41
2.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