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ele_science_6-1_tutor
P. 87
➋ 실험 결과 정리하기 형성 평가
• 실험하면서 관찰한 양초 세 개의 촛불 모습을 그림으로
1 다음은 ‘양초 심지의 굵기에 따른 촛불의 길이’를 알
나타내 봅시다. 실험 관찰
아보는 실험을 한 뒤 학생들이 나눈 대화입니다.
• 스마트 기기로 찍은 사진 속 양초 세 개의 촛불 길이를 1
잘못된 부분을 찾고, 그 까닭을 설명해 봅시다. 단원
각각 측정해 써 봅시다. 실험 관찰
수업 도우미 •우리: 심지 지름이 1 mm인 양초의 촛불 길이는
촛불의 길이는 양초 위로 올라온 심지의 길이, 유리그릇에 넣은
15 mm, 심지 지름이 2 mm인 양초의
양초 점토의 양, 관찰하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
촛불 길이는 30 mm가 나왔어.
다. 따라서 학생들이 관찰 내용을 수정하지 않고 기록하게 하며,
•만세: 심지 지름이 3 mm인 양초의 촛불 길이는
모둠별 탐구 결과를 발표하여 서로 비교해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45 mm로 예상했는데 40 mm야.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민준: 실험 결과를 45 mm로 고쳐 쓰자. 잘못된
부분
• 과학적 탐구 능력 변인을 통제하며 계획한 대로 실험을
수행하고 자료를 수집하게 한다. 예시 답안 민준이의 “실험 결과를 45`mm로 고쳐 쓰자.”가 잘못
• 과학적 문제 해결력 실험 중 변인 통제나 측정 과정에서 되었다. 실험을 하여 측정한 결과는 예상과 다르더라도 고치지
않아야 한다.
문제가 생겼을 경우, 모둠별 토의를 통해 가능한
풀이 실험을 하면서 관찰하거나 측정한 내용은 있는 그대로 기록
해결 방법을 찾게 한다.
하고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르더라도 고치지 않는다.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모둠 평가)
평가 기준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상 잘못된 부분을 찾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했다.
실험 계획에 따라 각자 역할을 충실히
태도 잘못된 부분은 언급하지 못하고 실험 결과를 고치
수행하며 실험에 참여했는가? 중
지 않아야 한다고만 설명했다.
실험 계획에 따라 실험을 할 수 있
하 대화 장면에서 잘못된 부분만을 찾았다.
관찰 는가?
탐구
평가 실험 결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기록
참고 자료
할 수 있는가?
촛불의 길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을 초의 연소에 관한 오개념 지도
지식
설명할 수 있는가? 초가 탈 때 발생하는 현상은 다음과 같다.
① 심지에 불을 붙이면 고체 상태의 초가 촛불의 열에
평가 피드백 변인 통제에 유의하며 실험을 했는지 확인하고, 안전
수칙의 준수, 모둠원의 역할 분담 및 참여도와 관련된 태도를 중점적 녹아 액체 상태가 된다.
으로 평가한다. ② 액체 상태의 초가 모세관 현상으로 심지에 흡수된다.
③ 액체 상태의 초 일부가 불이 붙은 심지에서 기화하며
정리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해 불꽃을 내며 탄다.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 주의할 점 정리하기 초가 심지 근처에서 녹아 액체 상태가 되는 것은 눈
•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 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기체 상태의 초는 눈으로
하여 써 봅시다. 실험 관찰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학생들은 처음 고체 상태의 초에
• 만약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르게 나왔다면 어떻게 기록 불이 붙어 탄다고 생각한다. 초의 연소는 6학년 2학기
해야 할까요? 에서 다루지만, 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 관찰한 그대로 기록해야 합니다. 초의 연소 과정을 물질의 상태 변화와 관련지어 간단히
- 실험 결과를 고치거나 삭제하지 않습니다. 설명한다. 심지 근처에서 불꽃에 의해 고체인 초가 녹
• 같은 실험을 반복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아 액체 상태가 되고, 이 액체가 심지를 타고 올라가 뜨
- 더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거운 불꽃에 의해 기체 상태로 탄다는 것을 설명한다.
1. 과학자처럼 탐구해 볼까요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