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ele_science_6-1_tutor
P. 89
수업 흐름 어떻게 할까요
1 실험 결과를 어떤 형태의 그래프로 나타내면 좋을지
도입 생각해 봅시다. 실험 관찰
➊ 두리네 모둠의 실험 결과 확인하기 - 막대그래프로 나타내면 좋겠습니다. 1
단원
• 두리네 모둠이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을 보고 알 - 막대그래프로 나타내면 촛불의 길고 짧음을 한눈에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봅시다.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양초 심지의 굵기가 다른 양초 세 개로 실험을 했
2 그래프의 제목을 정해 봅시다. 실험 관찰
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양초 심지의 굵기에 따른 촛불의 길이’라고 정했
‘
- 양초 심지의 굵기에 따라 촛불의 길이가 다르다는
습니다.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업 도우미 그래프의 제목을 정하는 방법
• 두리네 모둠이 실험 결과를 정리한 표를 보고 알 수 • 그래프의 제목은 실험 결과가 잘 드러나게 정하게 한다.
있는 사실은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 실험에서 다르게 한 조건에 따라 나타난 결과를 제목으로 쓴다.
- 양초 심지의 굵기에 따른 촛불의 길이를 알 수
3 그래프의 가로축과 세로축에 무엇을 나타내면 좋을지
있습니다.
이야기해 봅시다. 실험 관찰
- 심지 지름이 1`mm인 양초의 촛불의 길이가
- 가로축에는 실험에서 다르게 한 조건인 ‘양초 심지
15`mm로 가장 짧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의 굵기’를 나타냅니다.
- 심지 지름이 3`mm인 양초의 촛불의 길이가
- 세로축에는 실험에서 측정한 값인 ‘촛불의 길이’를
45`mm로 가장 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타냅니다.
수업 도우미 이전 차시 실험 결과를 확인할 때 유의점
실험 결과를 확인할 때 미리 결론을 내리지 않게 하고, 각 모둠에서 수업 도우미 그래프를 그릴 때 유의 사항
실험으로 얻은 자료의 의미를 있는 그대로 이야기하게 한다. 이 실험에서 그래프의 세로축에는 실험에서 측정한 촛불의 길이
를 나타내고, 세로축 눈금의 범위는 측정한 값 중 최솟값과 최댓
➋ 자료를 변환하는 까닭과 방법 알아보기 값을 모두 표시할 수 있게 정한다. 눈금의 간격은 측정한 값을 고
• 자료를 변환하는 까닭을 이야기해 봅시다. 려하여 중간에 분포한 값을 표시할 수 있게 정하게 한다.
- 실험 결과로 얻은 자료의 특징을 한눈에 알아보기
4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 봅시다. 실험 관찰
쉽기 때문입니다.
수업 도우미 그래프 그리는 순서 안내하기
• 자료를 변환할 때 생각할 점을 이야기해 봅시다.
① 그래프의 제목을 쓴다.
- 실험 결과를 잘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② 그래프의 가로축과 세로축을 그린다.
- 표와 그래프는 자료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③ 가로축의 이름을 ‘양초 심지의 굵기’라고 쓰고, 가로축에 각각 심지
선택합니다. 지름 1 mm, 심지 지름 2 mm, 심지 지름 3 mm라고 쓴다.
④ 세로축의 이름을 ‘촛불의 길이(mm)’라고 쓰고, 세로축의 눈금은
전개 5 mm를 한 칸으로 표시한다.
⑤ 가로축에 표시한 심지 지름 1 mm와 세로축의 눈금 15 mm가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기
만나는 곳에 점을 찍고, 가로축까지 막대를 그린다.
⑥ 같은 방법으로 심지 지름 2 mm의 막대, 심지 지름 3 mm의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기 막대를 그린다.
‣ 구성 의도 실험에서 수집한 자료를 알맞은 형태로 변환
5 그래프를 보고 알 수 있는 사실을 이야기해 봅시다.
하고, 변인 사이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낼 실험 관찰
수 있게 하였다. - 심지의 굵기가 굵을수록 촛불의 길이가 길어집니다.
‣ 탐구 목표 실험 결과를 알맞은 자료로 변환하고, 그 의 - 심지의 굵기가 1`배, 2`배, 3`배 굵을수록 촛불의
미를 해석할 수 있다. 길이도 1`배, 2`배, 3`배 길었습니다.
1. 과학자처럼 탐구해 볼까요 87